· 전경숙, 이효영, 이선자, 2004, “대학생의 성지식, 태도, 행동실태 및 성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1(1),45-68
· 최명숙·방나선, 2004. “대학생의 성지식, 성태도, 성경험 성적 자율성에관한 연구”, 『여성건강학회지』, 10(4),318-330
· 강명선, 2011, 『여성의 낙태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교육과학기술부, 2008, “학생미혼모 실태조사 연구”
· 국윤나, “피상적 성교육 … 대학생 성지식은 F학점”, 2015. 05. 18
· 김달중, “전남도교육청,「NO MEANS NO!」캠페인”, 2018. 03. 19
· 김대유, 2016, “국가수준 학교성교육표준안의 쟁점과 논의”, 『한국보건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자료집』, 12
· 김용성, 2006, “성구매 수강명령대상자들의 특성 및 성태도·성행동에 관한 연구; 일반 성인남성과의 비교연구”,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은진, 2009, 『부인암 환자의 치료 전 후 성생활과 부부친밀도의 변화』, 고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재엽·최지현·이지혜, 2010, “남자 청소년의 성충동이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모-자녀 상호작용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가족복지학』, 29(8),5-28
· 김정규, 1998, “성피해의 심리적 후유증”,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7(1),331-345
· 김정은, 1999, “대학생들의 성교육 경험에 관한 내용분석”, 『한국간호학회지』, 5(2)
· 노미영, 2007, 『성별 학교유형별 학년별 중학생들의 성지식 및 성태도 비교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미숙, 2001,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성에 대한 지식 태도 경험 및 성교육 요구도 비교 분석』,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지아, 2016, “2016년 양성평등교육 강사과정”, 『부산여성가족개발원』, 42-43
· 박진화, 2013, 『20대 남성의 조건만남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배성미, 2002. “청소년 성지식 성태도가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보건복지부, 2005, “인공임신중절 실태조사 및 종합대책 수립 보고서”
· 성한기, 1996, “대학생들의 성 의식에 관한 태도와 행동”, 『대구 효성카톨릭대학교논문집』, 52
· 여성가족부, 2007, “2007 전국 성매매실태조사”
· 이규은, 2005, “일 지역 남자대학생의 성매매에 대한 태도, 양성평등태도 및 행동”,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1(4)
· 이복숙·전영주, 2002, “미혼모의 생애사 연구”, 『여성연구집』, 16,1-32
· 이석재·최상진, 2001, “강간통념수용도에 따른 성행동, 성폭력 및 성폭행사건 지각”,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 15(1),97-116
· 이유정·민경원, “[젊어진 수요일] 2030 청춘 리포트 - 대학생의 성”, 2014.05.21
· 이윤수, 2004, "성병의 종류와 증상들", 『레드리본』, 59(10),28-30
· 이지수, 2017, 『성교육 강사의 성인지적 학교 성교육 실천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2011, “대학생 성태도 실태조사”
· 장진숙·박경, 2006, “남녀 대학생 성피해 경험과 성인지 및 정신건강과의 관계”, 『심리치료』, 6(2),61-80
· 정연숙, 2017, 『교육연극을 활용한 청소년 성교육프로그램 연구』, 세종대학교 융합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옥주, “男 대학생 절반 성경험 있지만… 성지식 수준은 '낙제'”, 2012. 05. 11
· 조 국, 2003, 『성매매에 대한 시각과 법적 대책』, 15(2),255-288
· 주간포커스, “지나친 성관계가 일으키는 7가지 후유증”, 2010. 10. 28, http://www.focuscolor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2589
· 하어영·김기태, “한국 남성 10명 중 4명은 지난해 성매매 했다”, 2012. 01. 11
· 한겨레, “수도권 대학생 100명중 4명 성병 감염”, 2005. 02. 17,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1517.html
· 한국건강관리협회, 1988, "성병을 진단한다", 『건강소식』, 8(3),12-24
· 한국성폭력상담소, 2011, “2011년 한국성폭력상담소 상담현황”
· 한희선, 2003, 『대학생 미혼모의 임신과정과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대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헬스조선, “섹스가 보약인 10가지 이유”, 2010. 06. 01,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05/09/29/2005092956254.html
· 황인명, 2009, 『중, 고, 대학생들의 성지식, 성적 자율성, 성태도 및 미혼모 인식에 대한 조사연구』,을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사)푸른 아우성, “네덜란드와 한국 청소년의 성의식 및 성행동 비교”, 7
· EBS 뉴스, “<성교육 기획 13편> 금지' 아닌 '책임' 배우는 해외 성교육”, 2015. 08. 28,
· Carnes P, Green B, Merio L et al. PATHOS, 2012, "A brief screening application for assessing sexual addiction", 『Journal of Addict Med』, 6(1),29-34
· Kraaykamp, G. 2002, “Trends and Countertrends in Sexual Permissiveness: Three Decades of Attitude Change in the Netherlands 1965–1995”,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4, 225-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