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본 연구는 스포츠마사지 처치의 생리학적 효과를 규명하여 댄스스포츠 수행 후 빠른 회복을 위한 수단으로써 효용성을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무용전공 여대생 8명을 대상으로 1주일 간격을 두고 댄스스포츠 수행 후 정적회복(RR)과 스포츠마사지회복(SR)으로 단일집단 반복측정 실험하였다. SR은 댄스스포츠 수행 후 30분 간 스포츠마사지를 실시하였으며, RR은 편안히 누운 상태에서 같은 시간동안 휴식하였다. 댄스스포츠 수행 후 RR과 SR사이의 젖산 및 전해질의 농도변화를 알아본 결과 모든 요인에서 RR과 SR 두 조건 간에 회복 후 유의한 차이(젖산;p<.001, Na+;p<.001, K+;p<.001, Ca++; p<.01, Mg+; p<.05)가 있게 SR이 빠르게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의한 차이는 있으나, 그 수치의 폭이 매우 작아 논란의 여지는 있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 댄스스포츠 수행 후 회복기에 RR에 비하여 SR이 혈중 젖산 및 전해질 농도 회복에 긍정적인 변화 양상을 나타냄을 감안할 때 스포츠마사지가 무용수들의 연습 후 빠른 회복을 위한 수단으로써 효용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무용은 무용수의 움직임에 따라 근의 수축과 이완에 따른 에너지 대사, 호흡과 순환계 그리고 신경계를 동원한 총체적인 신체활동의 특성을 보여주는 전신운동이다(김현권, 2008). 무용인들은 정신과 육체의 이상적인 조화를 이룬 완벽한 연기를 표출해 내기 위하여 신체의 생리학적 한계를 초월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윤완영, 2013). 또한 무용수는 신체의 움직임을 특이하고 다양하게 구사함으로써 미적효과를 창출해 내려한다. 따라서 체내에는 훨씬 많은 피로가 축적되고 미세한 외상이 발생할 수도 있어 공연을 앞둔 무용수에 있어서 충분한 회복은 필수적이다(이해준, 2007). 누적된 피로는 최고의 경기력 발휘에 저해요인이 되고 직접적인 근육 손상이나 근막, 인대 등을 파열시켜 상해를 일으키기도 한다.
· 김기진(2002). 운동과 스포츠생리학. 서울: 대한미디어.
· 구은영(2015). 최대운동 후 스포츠마사지 처치시간이 20대 남성의 혈중 피로물질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 김리나(2003). 무용수행 후 회복 형태가 피로요인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7. 1-9.
· 김영빈(2000). 유형별 스포츠마사지 처치가 심폐기능, 호르몬 반응 및 전해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박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대학원.
· 김준웅(2011). 최대 유산소성 파워테스트 후 회복기 하지 수중 스포츠마사지가 혈중 피로물질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대학원.
· 김태영(2008). 율려선 수련이 중ㆍ장년 남, 녀의 생리적 인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17(4). 1007-1015.
· 김현권(2008). 직업무용수의 12주간 무용훈련 프로그램이 혈중피로 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17. 53-67.
· 김현태(2001). 경기 후 피로회복 방법에 따른 혈액성분 및 전해질 농도변화에 관한 연구. 미간행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 남상남, 김현태(2002). 태권도 경기 후 아로마 오일 적용 방법에 따른 혈액성분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운동생리학회. 11(2). 371-382.
· 문병일(2003). 운동 후 회복방법 유형이 혈중젖산농도 및 젖산 탈수소동위효소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0(2). 1135-1143.
· 박정옥(2001). 스포츠마사지가 무용수의 피로회복과 상해예방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석사학위논문. 경성대학교 대학원.
· 백승현, 강희성, 공미애(2007). 운동 후 회복기 스포츠 마사지가 심장 자율신경 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생리학회.
· 16(3). 271-280.
· 설륜성(2007). 스포츠마사지가 무용수 상해예방에 주는 효과 연구.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대학원.
· 윤신중, 백승현, 김형준, 신명희(2009). 최대부하운동 후 회복기 스포츠마사지가 심혈관계 기능 및 혈중젖산에 미치는 영향. 운동학 학술지. 11(3). 53-60.
· 윤완영(2013). 발레무용수와 일반 여대생의 Q-angle 분석을 통한 상해 예방 제안. 한국무용과학회지. 30(2). 103-113.
· 이경렬, 신원(2013). 무산소성 운동이 경력별 레슬링 선수의 피로물질 및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지. 14(11). 5514-5521.
· 이수천(2000). 운동과 영양. 서울: 정림사.
· 이채산, 이혜진(2009). 스포츠마사지 요법이 운동선수의 혈중 헤모글로빈, 젖산 및 글루코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18(4). 939-948.
· 이해준(2007). 아로마 요법과 발반사 요법이 현대무용수의 피로 회복에 미치는 효과. 한국스포츠리서치. 18(6). 421-431.
· 정미송, 최성이(2004). 자이브, 차차차, 룸바, 삼바, 파소도블레의 종목별 운동 강도 비교연구. 한국무용과학회지. 8(0). 53-62.
· 조영윤(2003). 무용전공자를 위한 스포츠마사지 효과 연구. 미간행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 허보섭, 지진구(2015). 크레아틴 구강투여가 조정선수들의 근활성도와 혈중젖산농도에 미치는 영향. 수산해양교육연구. 27(2). 537-545.
· 홍예주, 구광수, 오덕자(2013). 운동기간이 여성노인의 CBC와 전해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7(3). 157-168.
· Furlan, A. D., Brosseau, L., Imamura, M., & Irvin, E. (2002). Massage for low-back pain: a systematic review within the framework of the Cochrane Collaboration Back Review Group. Spine, 27(17). 1896-1910.
· Hew, T. D., Chorley, J. N., Cianca, J. C., & Divine, J. G. (2003). The incidence risk factors and clinical manifestations of hyponatremia in marathon runner. Clin J Sport Med, 12. 41-47.
· Hsu, M. M., Chien, K. Y., Hsu, C. C., Chung, K. J., Chan, K. H., & Su, B. (2011). Effects of BCAA, arginine and carbohydrate combined drink on post-exercise biochemical response and Psychological condition. J Physiol, 54. 71-78.
· Masayoshi, Herman, S., Alexander, L., Jens, P., & Michael, K. (2005). Crystal structure of recombinant human growth and differentiation factor 5: Evidence for interaction of the type I and type Ⅱ receptor-binding sites. Biochem & Biophys Res. Comm., 329(3). 1076-1086.
· Montain, S. J., Sawaka, M. N., & Wenger, C. B. (2001). Hponatrernia associated with exercise: risk factors and pathogenesis. Exerc Sport Sci Rev, 29(3). 113-117.
· Miller, B. F., Fattor, J. A., Jacobs, K. A., Horning, M. A., Navazio, F., Lindinger, M. I., & Brooks, G. A.(2002). Lactate and glucose interactions during rest and exercise in men: Effects of exogenous lactate infusion. J Physiol, 544(3). 963-975.
· Sedlock, D. A., Lee, M. G., Fynn, M. G., Park, K. S., & Kamimori, G. H. (2010). Excess post-exercise oxygen consumption after aerobic exercise training. J Sport Nutr Exerc Metab, 20. 336-349.
· Sleamaker, R. (1989). Serious training and serious athletes. Leisure Press. Champaign : Illino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