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의 측정
- 최초 등록일
- 2018.06.22
- 최종 저작일
- 2016.03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원리
1) 화학적 산소요구량의 정의
2) 화학적 산소요구량의 측정방법
참고문헌
본문내용
실험목적
폐수의 오염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크게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과 함께 널리 이용되는 화학적 산소요구량(Chemical Oxygen Demand, COD)을 측정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실험원리
◆ 화학적 산소요구량의 정의
물의 오염정도를 나타내는 기준으로서 유기물 등의 오염물질을 산화제로 산화 분해시켜 정화하는 데 소비되는 산소량을 ppm(part per million 백만분율)또는 mg/ℓ로 나타낸 것이다.
물속에 들어 있는 유기물, 아질산염, 제1철염, 황화물 등은 물 속에 녹아 있는 산소를 소비하는데, 이런 물질이 많이 들어 있으면 물 속의 산소가 없어져 물고기와 미생물이 살 수 없게 되고 물이 썩어 고약한 냄새가 나고 물 색깔이 검게 변하여 물이 죽게 된다.
이런 유기 물질이 들어 있는 물에 과망간산 칼륨이나 중크롬산 칼륨 등의 수용액을 산화제로 넣으면 유기 물질이 산화된다. 이때 쓰여진 산화제의 양에 상당하는 산소의 양을 COD값이라고 한다.
참고 자료
동국대학교 화공생물공학과, “화공생물공학기초실험”, 동국대학교, 2014.
화학교재연구회, "일반화학실험", 사이플러스, 2012
강현주, 이주운, "핵심일반화학실험", 자유아카데미,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