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와 미세먼지의 상관관계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와 미세먼지의 상관관계"에 대한 내용입니다.
9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8.06.21 최종저작일 2018.06
9P 미리보기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와 미세먼지의 상관관계
  • 미리보기

    목차

    1. Keywords

    2. Introduction

    3. Main Body
    가. 한국의 미세먼지 농도와 COPD 유병률의 관계
    나. 타국에서 미세먼지 농도와 COPD 유병률의 관계

    4. Conclusion & Prospect

    5. References

    본문내용

    호흡한다, 고로 존재한다. 인간은 호흡함으로써 자신의 존재와 주변의 환경을 동시에 확인한다. 태아와 신생아를 구분하는 가장 큰 기준도 스스로 호흡하는지의 여부이다. 지속적인 호흡은 생명활동이 유지되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이렇듯 산소는 생물의 모든 신체, 정신적 활동의 필수요소인데, 호흡에 지장을 주는 질환은 환자에게 필연적으로 큰 고통을 준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앓는 폐질환에는 폐암, 천식, 기흉 등이 있는데, 이 중 치사율이 높으면서도 한국인들이 가장 많이 앓는 폐질환에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이 있다. 한국에서 만성폐쇄성 폐질환(COPD)은 10위 안에 드는 사망원인으로 꼽힌다.
    그러면 COPD란 왜 발생하는가? COPD는 비가역적인 호흡능력 손상이 특징인 폐질환으로서 만성적인 염증에 의한 각혈과 기도의 호흡능력 손상에 인해 발생한다. 염증을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원인은 흡연이고, 직업적인 유해물질 노출, 실내 오염, 감염에 의해서 생길 수도 있다. 계속적으로 악화되지만 예방과 병세를 유보시키는 수준인 치료가 가능하다. 급성악화가 자주 발생하고 동반하는 질환이 많아 COPD의 발전에 영향을 끼치고 환자 예후에도 영향을 미친다. 당뇨병 골다공증, 우울증 등이 그 예이고 특히 COPD 에 의한 염증과 저산소증에 따라 심혈관 질환의 발생가능성이 크게 증가한다. 만성 폐쇄성폐질환(COPD)은 매우 고통이 큰 질병으로, 만성 호흡기 폐쇄 증후군 만성 호흡기 폐쇄 증후군 환자들의 평균적인 삶의 질 만족도는 비 환자군에 비해 현저히 떨어졌다. 호흡이 어려워 격한 운동 뿐만 아니라 걷기, 식사와 같은 일상생활까지도 힘들어진다. COPD는 진단하기 어려운 병이다. COPD는 오랜 세월에 걸쳐 천천히 진행되며 폐가 절반 이상 손상되기 전까지 어떤 증상도 자각하지 못한다. 진단이 늦으니 치료 시기 또한 늦어지기 쉽다.

    참고자료

    · 통계청. (2017). 2016년 사망원인통계
    · 정영미, & 이희영. (2011). 한국성인의 만성 폐쇄성 폐질환 유병률, 위험요인 및 삶의 질.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2), 149-156.
    · McSweeny, A. J., Grant, I., Heaton, R. K., Adams, K. M., & Timms, R. M. (1982). Life quality of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42(3), 473-478.
    · 방소연. (2016).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삶의 질 관련요인.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7(5), 1349-1360.
    · Brown, JS; Gordon, T; Price, O; Asgharian, B (2013). "Thoracic and respirable particle definitions for human health risk assessment". Part Fibre Toxicol. 10: 12. doi:10.1186/1743-8977-10-12. PMC 3640939 Freely accessible. PMID 23575443.
    · Seinfeld, John. Spyros Pandis (1998).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From Air Pollution to Climate Change (2nd ed.). Hoboken, New Jersey: John Wiley & Sons, Inc. p. 97. ISBN 0-471-17816-0.
    · Anderson, H. R., Atkinson, R. W., Bremner, S. A., & Marston, L. (2003). Particulate air pollution and hospital admissions for cardiorespiratory diseases: are the elderly at greater risk?. European Respiratory Journal, 21(40 suppl), 39s-46s.
    · 박순애, & 신현재. (2017). 한국의 초미세먼지 (PM 2.5) 의 영향요인 분석. 환경정책, 25(1), 227-248.
    · 통계청. 2014. 2013년 사망원인통계
    · Samet, J. M., Dominici, F., Curriero, F. C., Coursac, I., & Zeger, S. L. (2000). Fine particulate air pollution and mortality in 20 US cities, 1987–1994.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43(24), 1742-1749.
    · Leitte, A. M., Petrescu, C., Franck, U., Richter, M., Suciu, O., Ionovici, R., ... & Schlink, U. (2009). Respiratory health, effects of ambient air pollution and its modification by air humidity in Drobeta-Turnu Severin, Romania.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407(13), 4004-4011.
    · Tamagawa, E., Bai, N., Morimoto, K., Gray, C., Mui, T., Yatera, K., ... & Sin, D. D. (2008). Particulate matter exposure induces persistent lung inflammation and endothelial dysfunction.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Lung Cellular and Molecular Physiology, 295(1), L79-L85.
    · Harrison, R. M., & Yin, J. (2000). Particulate matter in the atmosphere: which particle properties are important for its effects on health?.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249(1-3), 85-101.
    · Hu, G., Zhong, N., & Ran, P. (2015). Air pollution and COPD in China. Journal of thoracic disease, 7(1), 59.
    · 오진주, 우정헌, 김용표, 한진석, & 선우영. (2008). 미국의 미세먼지 저감 정책 사례 조사.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35-136.
    · Chan, K. Y., Li, X., Chen, W., Song, P., Wong, N. W. K., Poon, A. N., ... & Sheikh, A. (2017). Prevalence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in China in 1990 and 2010. Journal of global health, 7(2).
    · Pope III, C. A., Ezzati, M., & Dockery, D. W. (2009). Fine-particulate air pollution and life expectancy in the United States.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60(4), 376-386.
    · Tjønneland, A., Olsen, A., Boll, K., Stripp, C., Christensen, J., Engholm, G., & Overvad, K. (2007). Study design, exposure variables, and socioeconomic determinants of participation in Diet, Cancer and Health: a population-based prospective cohort study of 57,053 men and women in Denmark. Scandinavian journal of public health, 35(4), 432-441.
    · Prather, M., Gauss, M., Berntsen, T., Isaksen, I., Sundet, J., Bey, I., ... & Grenfell, L. (2003). Fresh air in the 21st century?.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0(2).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체계적인 구성으로 되어 있어 복잡한 내용을 과제에 쉽게 활용 할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좋은 자료들이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