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윤호, “지방정부 재정지출의 특성, 『한국정책학회보』, 12권 1 , 2003.
· 강윤호, “지방자치와 기초자치단체의 사회복지정책 정향: 시․군․자치구간 비교분석”, 『한국행정학보』, 34권 1호, 2000.
· 강욱모, “영국의 사회복지행정 기능배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중앙과 지방의 사회복지행정 기능배분에 관한 연구』, 1994.
· 구자헌, 『한국사회복지사』, 한국사회복지연구소, 1970.
· 김교성, 이재완, “ 지방정부 사회복지비 지출수준의 결정요인 분석”,『한국사회복지학』,41호, 2000.
· 김기원, “사회복지 재정보조금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학회보』, 4권 2호, 1995.
· 김수완, “한국 지방자치제가 지방정부의 복지예산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1990-1995년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1998.
· 김연명 편, 『한국 복지국가 성격논쟁 I』, 서울: 인간과 복지, 2002.
· 김연명, “지방자치선거와 사회복지부문의 주요 쟁점”,『지식인연대 공개토론 자료집』, 1995.
· 김영오, 이곤수, 박성만, “지역복지향상을 위한 지방정부의 역할”, 『복지행정논총』, 제11권 2호, 2001.
· 김융일, “사회복지 인력과 재정” 『지방화시대와 사회복지』, 한국사회복지협의회, 1991.
· 김정헌, “지방화시대의 지역복지 행정체계확립에 관한 연구(1)”, 『복지행정논총』, 제5권, 1995.
· 김정헌, “지방화시대의 지역복지 행정체계확립에 관한 연구(2)”, 『복지행정논총』, 제8권, 1998.
· 김종해, “지방자치와 지역사회의 쟁점”, 『상황과 복지』, 제4호, 1998.
· 김진수, 『광역자치단체 복지재정의 비교분석과 정책의 차별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학위 논문, 2000.
· 김태일, “지방자치의 실시가 기초자치단체의 사회복지지출에 미친 영향: 서울시 자치구를 대상으로”,『한국정책학회보』, 7권 1호, 1998.
· 김흥식, “지방자치와 사회복지행정체계”,『사회보장연구』, 제10권 2호, 1994..
· 김현소, “지방자치단체간 지방재정 불균형 실태와 완화방안, 『자치발전』, 2002년
· 박광덕, “중앙과 지방간 사회복지사무 배분의 실태와 과제”, 『자치공론』, 1999년 11월호.
· 박광준, “21세기 사회복지와 지방정부의 역할” 한국사회복지학회 1999년 춘계학술대회 자료집,『21세기 복지환경과 사회복지주체의 역할』, 1999.
· 박기묵, “국고보조금의 지방비부담방식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학회보』, 11권 3호, 2002.
· 박병현, “중앙과 지방의 사회복지 기능분담 논의에 관한 일고”, 『지방화시대의 사회복지 과제』, 한국사회복지학회, 1993.
· 박정수, “지방세 확충과 지방재정 건전화방안”, 『자치발전』, 2002년 4월호
· 방성수, 김한양, “일본 자치단체의 복지행정 역할 정립에 관한 연구”, 『복지행정논총』, 12집 2권, 2002.
· 방희덕, “지방자치제 실시와 지역사회복지” 『사회복지』, 여름호, 1987.
· 변재관, 강혜규, “지역복지 전달체계의 현황 및 개선방안: 시범보건복지사무소 및 읍․면․동 기능전환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창간호, 1999.
· 백종만, “지방자치와 사회복지 재원: 지방자치시대의 사회복지사업의 재원조달을 중심으로”,『경성대학교 논문집』, 10집 1권, 1989.
· 백종만,“ 사회복지서비스에서 국가와 민간간의 역할분담 유형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 논문』, 1994.
· 백종만, “해방 50년과 남한의 민간복지”, 『상황과 복지』, 창간호, 1996.
· 보건사회부,『제 3차 5개년계획 보건사회부문사업계획』, 1971.
· 보건사회부,『제 4차 5개년계획 보건 및 사회보장부문계획』, 1976.
· 성경륭, “한국의 정치체제 변동과 사회정책의 변화: 정치사회학적 분석” 『사회복지연구』, 제3호, 1991.
· 송정부, “지방자치와 지역복지의 불평등”,『한국사회복지와 불평등』, 서울: 일조각, 1997.
· 신남균,“사회복지사업법해의,” 『사회복지』, 1970년 6월.
· 신섭중, “지방화시대를 맞이한 사회복지체계의 공사분담” 『사회복지』,겨울호, 1990.
· 심재호, “지방정부의 사회복지정책에 대한 평가연구”, 『사회복지정책』, 제9집, 1999.
· 오정수, “한영지역복지행정의 비교사례연구: 지방화시대 지역복지행정의 과제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1997.
· 오정수, “영국의 공공사회복지실천: 변화와 쟁점”, 한국사회복지학회,『2000년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2000.
· 윤찬영, “지역복지의 규범으로서 조례의 가능성과 한계”, 『상황과 복지』, 제4호, 1998.
· 이동영, 『사회복지비지출의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이상섭, “중앙지방간 복지사무의 효율적 배분을 위한 소고”, 『복지행정논총』, 제7권, 1997.
· 이승종, 김흥식, “지방자치와 지방정부의 정책정향: 복지서비스 기능을 중심으로”『한국행정학보』, 26권 2호, 1992.
· 이인재, “지방화시대의 사회복지 주민참여사례 연구”, 『상황과 복지』, 제4호, 1998.
· 이인재, “지방자치시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사회복지 재정에 관한 연구” 『한신사회복지연구』, 4호, 1996.
· 이현주, “공공복지 전달체계에 대한 새로운 대안 모형의 모색”, 『사회복지연구』, 제18호, 2001.
· 이형호, 정성범, “지방정부에 있어서 복지재정의 문제점과 확충방안”, 『복지행정논총』, 제12권 1호, 2002.
· 이혜경, “권위주의적 자본주의사회에서의 복지국가의 발달:한국의 경험”,『한국사회복지학』, 통권 21호, 1993.
· 이혜경, “한국 사회복지정책의 현황과 발전 방향”, 『연세사회복지연구』, 2권, 1995.
· 이혜경, “21세기 한국 사회복지와 중앙정부의 역할” 한국사회복지학회 1999년 춘계학술대회 자료집,『21세기 복지환경과 사회복지주체의 역할』, 1999.
· 전남진, 사회정책학 강론:복지정책의 수립과 분석, 서울대출판부, 1987.
· 정원오. “21세기 사회복지의 전망: 지방화시대의 지방정부의 역할과 사회복지의 변화”. 상황과 복지. 제2호, 1997.
· 지방자치실무연구소, 『한국의 지방자치』, 서울: 의암출판, 1995.
· 최일섭, “지방자치와 사회복지”『사회복지』, 봄호, 1988.
· 최호택, “우리나라의 지방재정조정제도가 지방정부 사회복지비 지출에 미치는 효과분석” 『복지행정논총』, 제11집 2호, 2001.
· 하상락 편, 『한국사회복지사론』, 서울: 박영사, 1989.
· 한국사회복지협의회 편,『지방자치와 사회복지』, 제5회 전국사회복지대회 보고서, 1987.
· 한태기, “지방재정조정제도의 현황과 발전방안”, 『자치발전』, 2002년.
· 황성동, “미국의 사회복지행정 기능배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중앙과 지방의 사회복지행정 기능배분에 관한 연구』, 1994.
· 현외성, “일본의 사회복지행정 기능배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중앙과 지방의 사회복지행정 기능배분에 관한 연구』,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