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내영, 「중국의 항(抗)한류 현상 연구 : 드라마와 영화를 중심으로」, 『중국학연구』제43권, 2008.
· 김기덕, 「신한류 아이돌 음악과 한국대중음악시장의 생태계 균형에 관한 연구2000-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제15권 제6호, 2015.
· 김승년 외 저, 「중국한류의 경제적 효과에 관한 연구」, 『한중사회과학연구』제13권 제4호, 2015.
· 김영찬 외 저, 「‘아이돌 장르’의 부상에 따른 아이돌 스타덤 연구」, 『한국방송학보』제25권 제6호, 2011.
· 김주연, 외 저, 「아시아국가에서의 K-pop 이용행동과 K-pop으로 인한 국가호감도 및 한국 방문의도 변화」.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제12권 제1호, 2012.
· 김호영 외 저, 「한국 대중문화의 아이돌(idol) 시스템 작동방식」, 『방송과 커뮤니케이션』제13권 제4호, 2012.
· 박은숙 외 저, 「한류가 관광지 이미지와 관광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중국인 관광객을 중심으로」, 『관광연구』제27권 제6호, 2013.
· 박지영 외 저,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한 셀러브리티의 SNS메시지 탐구 : 아이돌의 미투데이 메시지를 중심으로」, 『방송통신연구』제82호, 2013.
· 서정환, 「케이팝의 엔터테인먼트 마케팅전략에 관한 연구」, 『예술경영연구』제24권, 2012.
· 신현준 「K-pop의 문화정치(학) : 월경(越境)하는 대중음악에 관한 하나의 사례연구」, 『언론과 사회』제13권 제3호, 2005.
· 심두보, 「케이팝(K-pop)에 관한 소고 : 한류, 아이돌 그리고 근대성」, 『사회과교육』제52권 제2호, 2013.
· 안기주 외 저, 「스타시스템의 후광효과(Halo effect)를 위한 소역할화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제2권 제2호, 2008.
· 여정경 외 저, 「한류공연에 대한 체험요소가 한류태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관광객을 중심으로」, 『관광연구』제30권 제3호, 2015.
· 원용진 외 저, 「사회적 장치로서의 아이돌 현상」.『대중서사연구』제18권 제2호, 2012.
· 이동연, 「아이돌 팝이란 무엇인가? - 징후적 독해」, 『문화과학』제62호, 2010.
· 이문행, 「국내 연예 매니지먼트 회사의 아이돌 스타 육성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심포지움 및 세미나』 제1호, 2011.
· 임성준, 「K- Pop의 글로벌 경쟁력과 성공요인」, 『Korea Business Review』제17권 제2호, 2013, p.341.
· 정민우 외 저. 「스타를 관리하는 팬덤, 팬덤을 관리하는 산업 : ‘2세대’ 아이돌 팬덤의 문화실천의 특징 및 함의」, 『미디어,젠더&문화』 제12권, 2009.
· 정일서, 「한국 대중음악의 해외진출 현황과 과제」, 『대중음악』제11권, 2013.
· 정현선 외 저, 「국내 대중음악 기획사 색채이미지 연구」, 『한국색채학회논문집』제26권 제2호, 2012.
· 조춘호 외 저, 「국내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해외 진출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제7권 제3호, 2013.
· 주정민, 「한류 콘텐츠에 대한 ‘반한류’ 현상의 원인과 대응 : 중국, 일본을 중심으로」, 『디아스포라연구』제7권 제2호, 2013.
· 황낙건 외 저, 「K-POP과 K-POP 스타가 국가이미지와 한국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해외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6권 제4호, 2012.
· 매일경제 한류본색 프로젝트, 『한류본색』, 매일경제신문사, 2012.
· 심희철 외 저, 『방송연예 산업 경영론』, 북코리아, 2013.
· 장원호 외 저, 『한류와 아시와 팝문화의 변동』, 푸른길, 2014.
· 강소영, 「차이나머니가 덥석 무는 한류자산, 中자본 한류 투자 메커니즘」, 『뉴스핌』, 2016. 05. 31.
· 강수윤, 「"서울시, 한류관광 쇼핑으로 돌아온 유커 잡는다"」, 『뉴시스』, 2015. 11. 22.
· 강수진, 「‘시스템’의 교실에서 아이돌은 큰다」, 『시사저널』, 2010. 11. 08.
· 강수진, 「정용화, 456억 대작 중국 영화 캐스팅」, 『스포츠경향』, 2016. 03. 12.
· 김건우, 「YG엔터, 텐센트 손잡고 1.2조 中공연시장 '정조준'」, 『머니투데이』, 2016. 05. 27.
· 김경미, 「[토요와치] 문화산업 몸통을 흔드는 '팬덤'」, 『서울경제』, 2016. 05. 28.
· 김대종, 「[천자춘추] 중국의 공연시장」, 『경기일보』, 2016. 05. 19.
· 김상호, 「[인앤아웃] 신인아이돌그룹 홍수속 걸출한 신인 없는 이유?」, 『매일경제』, 2011. 12. 06.
· 김원겸, 「아이돌 스타들의 ‘차이나 드림’」, 『스포츠동아』, 2016. 04. 19.
· 류지민, 「네이처리퍼블릭 | ‘알로에 수딩젤’ 앞세워 美·中시장 공략」, 『매일경제』, 2015. 07. 27.
· 박세희, 「중국 팬클럽이 제시카 신보 3억6천만 원 어치를 산 건 사실이다」, 『허핑턴포스트코리아』, 2016. 05. 18.
· 배국남, 「크리스ㆍ루한..엑소 외국인 멤버 왜 계속 이탈할까? [배국남의 눈]」, 『비즈엔터』, 2015. 06. 15.
· 서정훈, 「SM엔터테인먼트 YG엔터테인먼트, 중국사업 경쟁 치열」, 『비즈니스포스트』, 2016. 05. 30.
· 안정주, 「‘만년적자’ 네이처리퍼블릭, 유커 덕 보나?」, 『매일일보』, 2015. 05. 31.
· 안현모, 「[KOREA REPORT] '세계를 휩쓸 트렌드' K-POP 열풍의 비결」, 『SBS CNBC』, 2011. 08. 03.
· 엄동진, 「한경부터 테이스티까지..중국인들의 귀향본능①」, 『일간스포츠』, 2015. 07. 17.
· 유슬기, 「‘쯔위 사태’로 본 외국인 아이돌 스타들의 명과 암」, 『주간조선』, 2016. 01. 25.
· 윤성희, K팝 한류, 한국인 멤버가 끌고 중국인 멤버가 민다 [POP신년기획], 헤럴드POP, 2015. 01. 06.
· 윤호, 「아이돌 데뷔비용 인당 3천만원…2~3년내 ‘떠야’ 손익분기점 맞춰」, 『매일경제』, 2015. 09. 23.
· 이세연, 「웨이보부터 웨이마이까지, 빠르게 변화하는 중국 SNS 마케팅」, 『국민일보』, 2015. 11. 13.
· 이은지, 「[친절한 쿡기자] 다시 불붙는 중국내 ‘혐한’… 한류 열풍에 찬물」, 『국민일보』, 2014. 05. 19.
· 이재훈, 「중국내 한국가요 점유율 1.5%, 그럼에도 한류열풍…근거는?」, 『뉴시스』, 2015. 10. 07.
· 이진영, 「[올댓차이나-여행붐②] 중국인 관광객 10명 중 3명은 20대…"한류팬이에요"」, 『뉴시스』, 2016. 04. 29.
· 이현우, 「신인 아이돌, 2년 안에 씨가 마른다?」, 『매일경제』, 2013. 03. 28
· 장서윤, 「한류 4.0시대, 중국 진출 드라마·예능 콘텐츠 시장에 필요한 것은」, 『스포츠한국』, 2015. 09 15.
· 정상명, 「中 아이돌 음악 시장, '블루오션' 급부상 : SM·JYP도 알리바바·CMC 등 中 기업과 맞손」, 『이뉴스투데이』, 2016.03.05.
· 장윤정, 「차오루, 쯔위, 엘키 "대륙에서 건너온 차세대 아이돌, 니하오"」, 『아주경제』, 2016. 03. 16.
· 추영준, 「中영화·드라마서 활약하는 '한류' 아이돌 멤버들」, 『세계일보』, 2016. 04. 02.
· 홍세영, 「윤아 주연 ‘무신조자룡’, 시청률 2% 돌파…대륙 삼켰다」, 『스포츠동아』, 2016. 04. 27.
· KOCCA, 「중국 공연시장 현황 및 진출 사례」, 2016. 01.
· KOCCA, 「중국콘텐츠산업동향」, 제8호 2016.
· KOCCA포커스, 「국가별 한류 콘텐츠 수출동향과 한국 상품 소비인식 분석」, 제5호,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