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규형, 「특별기고 : 문화퓨전과 소프트파워(soft power), 그리고 기초학문의 중요성」, 『문명연지』, 제11권 2호, 한국문명학회, 2011
· 강남욱, 김순우, 지성녀, 「대외언어보급정책 비교를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 중국 공자학원 운영정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새국어교육』, 90권0호, 한국국어교육학회, 2012
· 강미영, 이보라미, 「 문화상호주의 기반 언어 정책 접근 방식에 관한 고찰: 국외 한국어 교육 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사회언어학』, 제21권 3호, 한국사회언어학회, 2013
· 김정숙, 「'세종한국어 1~8'의 교수요목 설계 및 단원 구성 방안」, 『이중언어학』, 제 57호, 이중언어학회, 2014
· 김중섭 외, 「국제 통용 한국어교육 표준 모형 개발」, 『국립국어원 발간 자료』, 국립국어원, 2010
· 김중섭 외, 「국제 통용 한국어교육 표준 모형 개발 2단계」, 『국립국어원 발간 자료』, 국립국어원, 2011,
· 김현철, 신승희, 최항섭, 한상미, 「해외(중국·프랑스) 자국어 보급기관 교원 운영현황 조사 연구」,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2014
· 박광희, 「중국의 소프트파워 증대 논의에 대한 연구」, 『국제지역연구』, 13(3),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09
· 배재원, 김민정, 「『세종한국어』기반 문화교육과정 설계방안 연구 - 『세종한국어』1~4권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제 58호, 이중언어학회. 2015
· 백봉자, 「세종학당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새국어생활』,제 18권 제3호, 국립국어원, 2008
· 서창배, 오혜정, 「중국 문화산업화 정책과 소프트파워 전략」, 『문화와 정치』, 1(2),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14
· 세종학당 재단, 「세종학당 운영 지침서(2014년 개정)」, 세종학당 재단, 2014
· 원준철, 「세종학당과 공자학원의 운영 및 교원양성에 관한 비교 연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14
· 윤상희, 「공자학원의 현황 분석과 개선방안」,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9
· 윤지영, 「공자학원과 세종학당의 운영 및 성과 비교」,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3년 2월,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2013
· 이경희, 「중국 문화민족주의와 그 실천전략」, 『한국동북아논총』, 제52권 0호, 한국동북아학회, 2014
· 이원준, 「중국의 외교정책과 공공외교 – 중국 공공외교의 한계와 도전」, 『사회과학연구논총』, 제24권,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연구원, 2010
· 이홍규, 「중국의 소프트파워 평가에 대한 시론적 연구」, 『중국학연구』, 57집, 중국학연구회, 2011
· 이희옥, 「중국공공외교의 확산 : 체계와 목표」, 『중국학연구』, 54집, 중국학연구회, 2010
· 전가림, 「중국의 소프트파워 발전 전략과 그 영향력 – 공자학원과 방송 미디어 매체를 중심으로」, 『중국연구』, 50권0호,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10
· 주성일, 「(2010년 대중국 종합연구) 공자학원을 통한 중국의 소프트파워 증진 연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10권0호,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연구정책세미나, 2010
· 최창현, 박정배, 김종근, 「국력요소 중 소프트파워로서의 문화경쟁력 비교분석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2권 제6호,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4
· 파려, 「세종학당과 공자학원의 문화교육 비교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14
· 하채현, 이무조, 「 세종학당 한국어 교육의 적절성에 관한 논의 –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언어와 문화』, Vol.9 No.3,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13
· 吳曉萍, 「中國形象的提升: 來自孔子學院敎學的啓示」, 『外交評論』, 2011年 1期, 外交学院, 2011
· 구자룡, 「美 ‘공자학원 퇴출론’에 中 런민일보 즉각 반격」, 『동아일보』, 2014.06.23.
· 김도훈, 「중국이 미국을 제치고 세계 1위의 경제대국이 된다」, 『허핑턴포스트』, 2014.04.03.
· 김영현, 「“공자학원 2015년까지 1500개까지 늘릴 것”」, 『연합뉴스』, 2013.05.13.
· 맹경환, 「中 공자학원의 수모... 美 이어 캐나다에서도 퇴출 결정」, 『국민일보』, 2014.09.28.
· 박일근, 「中 공자학원 美 대학서 퇴출」, 『한국일보』, 2014.09.28.
· 손지애, 「한국어 배우기, 가까운 ‘세종학당’을 찾으세요」, 『코리아넷뉴스』, 2013.07.11
· 이준삼, 「“전 세계 중국어 학습인구 1억 명 돌파 <中 매체>”」, 『연합뉴스』, 2014.08.29.
· 이충형, 「"학문 자유 없는 공자학원" 미국서 퇴출 운동」, 『JTBC』, 2014.06.20
· 임서윤, 「“공자학원은 학문의 자유 무시해”... 미국 교수들 퇴출 요구」, 『대기원시보』, 2014.06.20.
· 정주호, 「中 공자학원 500곳 돌파...“앞으로 현지화에 초점”」, 『연합뉴스』, 2015.12.07.
· 최형근, 「공자학원, 미국에서 된서리 맞은 까닭은」, 『중앙일보』, 2015.01.13.
· 홍제성, 「<美 공자학원 퇴출론에 중국 “학문의 자유 침해 없다” 반박>」, 『연합뉴스』, 2014.12.05.
· 韩基韬, 「伦敦中医孔子学院走"特色办学"新路宣传中医药和中国文化」, CRI online, 2012.04.17.
· 세종학당 재단, 『세종학당』, 창간호, 2013
· 세종학당 재단, 『세종학당』, 제 6호, 2016
· 조지프 나이, 윤영호, 『권력의 미래』, 세종서적, 2012
· 인천대학교 공자학원, 문화행사, http://www.ciui.ac.kr/ciui_index.html
· 인천대학교 공자학원, 장학제도, http://www.ciui.ac.kr/ciui_index.html
· 세종학당 재단, 교원 전문성 강화, http://www.ksif.or.kr/business/businessProfessional.do
· 세종학당 재단 홈페이지, 재단 소개, http://www.ksif.or.kr/intro/jaedanprJudge.do
· 세종학당 재단, 한국문화 교육, http://www.ksif.or.kr/business/businessCultureedu.do
· 중국 국가한판 홈페이지, 전 세계 분포 현황 http://www.hanban.edu.cn/confuciousinstitutes/node_10961.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