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혈성 심부전의 문헌고찰
- 최초 등록일
- 2018.04.30
- 최종 저작일
- 2018.04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판매자luk**** (본인인증회원)
19회 판매

소개글
울혈성 심부전에 관한 문헌고찰 내용입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목차
Ⅰ. 울혈성 심부전(CHF)
1. 정의
2. 원인과 유발요인
3. 병태생리
4. 임상증상
5. 진단검사
6. 치료
7. 간호중재
본문내용
Ⅰ. 울혈성 심부전(congestive heart failure)
1. 정의
심부전이란 심장이 펌프기능장애를 일으켜 조직 대사에 필요한 혈액을 충분히 조직 대사에 필요한 혈액을 충분히 박출하지 못하는 상태로 과도한 혈액량, 부적절한 조직관류, 운동내성 감소 등의 증상으로 특징지어지는 임상 증후군이다. 펌프기능 부전은 조직관류부전이 초래되고 그 후 폐정맥과 전신정맥의 울혈이 초래로 인해 혈관이 울혈되기 때문에 이를 울혈성 심부전(congestive heart failure)이라고 한다.
근본적으로 울혈성 심부전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① 심박출량의 감소로 체내조직의 대사요구를 충족할 수 없다.
② 조직에서는 혈류량이 감소되고 폐혈관 및 전신정맥계에서는 울혈을 초래한다.
③ 심장은 보상기전을 즉시 발현하여 순환에 대처한다.
2. 원인과 유발요인
심부전은 질병에 대한 진단명이 아니라 심장기능에 영향을 주는 선천성, 후천성 심혈관계의 거의 모든 심장질환의 결과로 오는 병태생리학적인 임상상태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울혈성 심부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환자가 갖고 있는 심혈관계 질환이 무엇이며 심부전 상태로 진전된 악화요인 등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심장활동은 아래 네가지 필수적인 요소에 의해서 좌우된다.
▸심근의 수축력(심근수축상태,contractility)
▸전부하(심실의 이완기말 혈액량,preload)
▸후부하(좌심실의 분출에 대항하는 압력, afterload)
▸심박동수(heart rate)
이러한 심장의 결정요소에 변화가 생기면 심부전이 발생한다. 심실기능이 저하된 대상자의 2/3에서 심부전의 주원인은 CHD이다. 그러나 심부전은 다른 질환에 의해서도 유발된다.
심부전의 원인은 다음과 같이 세가지 구분해 볼 수 있다.
① 비정상적으로 부담이 증가된 상태
② 비정상적인 근육기능
③ 좌심실 충만이 제한되는 상태나 질환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