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동물은 오랜 세월 동안 사람들의 삶을 영위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원시 시대부터 인간은 동물을 중요한 식량자원으로, 때로는 우상숭배의 대상으로 여기기도 하였다. 애완동물의 역사는 고대인들이 사냥터에서 사로잡은 야생 동물을 길들여 함께 생활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사람들과 같이 지내면서 사람에게 귀여움을 받고 즐거움을 주기위한 일종의 장난감의 용도로 길러지는 애완동물의 의미를 지니고 살아왔다.
그러나 이러한 애완동물의 의미를 변화시킨 것은 한 동물행동학자의 의해서 시작되었다.
과거 애완동물은 인간이 주로 즐거움을 누리기 위한 대상으로 인식되었지만, 동물행동학자인 K.로렌스(Lorentz, K.)가 1983년 오스트리아에서 열린 국제심포지엄에서 처음 애완동물(pet)이라는 말 대신 ‘반려동물’로서 사람의 장난감이 아니며, 사람과 더불어 살아가야 할 생명체로서 존중해야 한다는 의미로 재인식하기를 제안한 후 정의된 용어이다. 반려동물이라는 용어를 제안한 이래 미국 유럽 일본 등에서 일반 용어로 정착하였으며, 국내는 2007년 동물보호법이 개정된 후부터 공식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국립 축산과학원, 2010). 반려동물로서 가족과 함께 더불어 살면서 심리적 안정감과 친밀감을 주는 친구, 가족과 같은 존재라는 인식이 점차로 보편화되어가면서, 이러한 반려동물의 인식변화는 서양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시사상식사전,2016).
농림축산식품부(2015) 발표에 의하면,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는 해마다 꾸준히 늘어 2010년 17.4%, 2012년 17.9%에서 2015년 21.8%로서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는 457만 가구로 약 1000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처럼 반려동물을 기르는 가구가 점차로 늘어가고 있는 가운데, 눈여겨 볼 점은 학령기 아동이 있는 가정에서 반려동물이 아동의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인식아래 많은 부모들이 반려동물을 기르는 것의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농림축산식품부,2015).
· 김경중, 최인숙(1990). 유아 발달심리, 서울 : 형설출판사
· 김민정(2000).부모의 양육행동, 부부갈등 아동의 형제자매 관계와 아동의 공격성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성천(1998). 학교폭력으로 인해 대인관계의 문제를 갖게 된 청소년에 이용한 동물매개프로 그램의 효과에 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5, 85-99.
· 김양순(2009). 가정폭력 피해 아동과 어머니를 위한 부모-자녀 관계치료 10-세션 모델의 효과.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2(2), 63-78.
· 김재철(2010). 초기청소년의 공격성에 대한 부모애착, 교사애착, 친구애착의 영향비교. 아동교육, 19(1), 97-113.
· 김호정(2005). 아동의 애완동물 사육경험과 관련된 아동 및 가족의 특성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아동·가족학과 석사학위논문
· 김효진(2011). 아동의 심리적 가정환경이 아동의 공격성과 학교생활 적응의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학과 석사학위논문
· 문재경(1998). 인지적 행동수정 훈련이 아동의 공격성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배화옥(2011). 아동의 학대경험이 형제폭력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과 공격성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아동복지학, 34, 7-28.
· 손경숙(2001).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도덕적 판단능력 및 공격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교육개발학원 석사학위논문.
· 송윤오(2011). 가정폭력 여성피해자 자녀의 공격성 및 우울에 대한 동물매개치료의 효과. 한국놀이치료학회지. 국립경남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
· 신혜영, 최해림(2003). 부모로부터의 학대경험과 공격성 및 대인불안간의 관계. - 초등학교고학년 아동을 중심으로-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2), 295-307.
· 이화수,(2001). 애완동물 기르기가 유아의 감정이입 및 동물애호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오산여울(2008). 아동이 지각한 심리적 가정환경과 자기통제가 공격성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구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기원,서현숙(2007). 가정폭력에의 노출이 청소년의 비행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노출 유형별 및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청소년학 연구, 14(5), 49-73.
· 황정규(1965). 욕구진단검사. 서울 :코리안테스팅 센터.
· Barker, S. B., Pandurangi, A. K., & Best, A. M.(2003). Effects of animal-assisted therapy on patients' anxiety, fear, and depression before ECT. J ECT, 19(1), 38-44.
· Bryant, B. K. (1985). The neighborhood walk. A study of sources of support in middle childhood from the child's perspective.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 50 , 210.
· Caprilli, S., & Messeri, A. (2006). Animal-assisted activity at A. Meyer children's hospital: A pilot study.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3(3), 379-383.
· Davis, J. H. (1987). Preadolescent self-concept development and pet ownership. Anthrozoos, 1 , 90-94.
· Duncan,G. J., Claessens A.,Huston,A.C.,Pagani,L.S.,Engel,M.,Sexton, H. (1995). School readiness and later achievement. Development al Psychology, 43(6),1428-1446.
· Furman, W. (1989).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social networks. In D. Belle(Ed.),
· Children's social networks and social supports. New York: John Wiley. Kid,A. H., & Kid,. M.(1989). Factors in adults’ attitude toward pets. psychological Reports, 65, 903-910.
· Kid,A. H., & Kid,. M.(1990). Factors in adults’ attitude toward pets. psychological Reports, 66, 775-786.
· Levinson, B. M. (1978).Petsand human development. Springfield. IL: Charles C Thomas, Publisher.
· Melson, G. F. (1991). Children attachment to their pets: Links to socio-emotional development. Children's Environments Quarterly, 82, 55-65.
· Robin, M., & Bensel, R. (1985). Pets and the socialization of children. Marriage and Family Review , 83 (4). 63-78.
· Poresky, R. H., & Hendrix, C. Mosier, J. E., & Samuelson, M. L. (1988). Children's pet and adult's self concepts. The Journal of Psychology. 1225,463-469.
· Paul, E. S. (1992).Pets in Childhood, Individual Variation in Childhood Pet
· Ownership , PhD Thesis, University of Cambridge.
· Triebenbacher, S. L. (2000). The companion animal within the family system:
· The manner in which animals enhance life within the home. In A. H. Fine(Ed.). Handbook on Animal-Assisted Therapy: Theoretical foundations and guidelines for practice. San Diego: Academic Press
· http://noonnoppiblog.com
· http://blog.naver.com/hopefree37
· http://www.aspca.org/fight-animal-cruelty/talking-to-kind-about-animal.
· http://blog.naver.com/storychunjae/220985851392
· http://blog.naver.com/gkskqnxjgkwk
· JTBC/khj3330@xportsnews.com
· New York Times, News Service, 11 Aug. 1991
· The ASPCA is a 501(c)(3) non-for-profit organization.
· 2017 American Society for the Prevention of Cruelty to Animals.
· 국립 축산과학원, 2010
· 엑스포츠뉴스, 2016년.10월.09일
· 인천심리상담센터,(2016). 부모의 태도가 중요해요.
· 카드뉴스, 2016년.1월.15일
· 홍성열,(2006). 강원대 심리학 교수-범죄자프로파일링. 200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