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작품에 드러난 악녀 모티프의 유형과 기능
소개글
고전 작품에 드러난 악녀 모티프에 대한 유형과 기능을 레포트로 17페이지로 정리한 자료입니다.관련 과제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목차
1. 기존의 연구성과2. 악녀의 유형
가. 악처형
나. 계모형
다. 팜므파탈형
라. 경제적 악녀 유형
3. 문학 속에서 형상화된 악녀의 기능
가. 시대적 상황과 작가의 의식 반영
나. 교훈적 기능
다. 시실주의적 인물형 창조
라. 해학과 풍자의 기능
본문내용
지금부터 우리는 고전 문학에 나타난 ‘악녀’ 모티프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기존의 연구들은 우리의 문학에 나타난 여성을, 남성의 잣대로 판단해 왔고, 여성의 입장에서 연구한 부분들 역시도, 전통적인 여성성을 중심으로 연구된 것이 대부분이다. 또한 ‘악녀’에 관한 연구 역시, 고전 문학작품에서도 수많은 악녀들이 존재하지만, 그 악녀의 문학적 역할은 주인공의 반동인물, 즉 주인공의 고난과 역경을 형상화하는 모티프로써의 기능을 인정하는데 그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우리 문학에서 ‘악녀’는 다양한 유형으로 존재하며, 그 기능 역시도 문학마다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이번 발표를 통해서 우리 문학에서 나타난 악녀에 대해 유형별로 고찰해 보고, 그 모티프가 작품에서 어떠한 기능을 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다. 가장 먼저 선행되어야 할 부분은 ‘악’은 무엇이며, ‘악녀’는 무엇인가 하는 문제다.
차은경(2003)에서는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넓은 의미로 나쁜 것이라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주인공을 위협하는 모든 인물적, 비인물적 상, 우리가 악마·마귀·마녀·악신·유령·귀신·사나운 짐승·거인·도둑·계모·나쁜 형제·나쁜 이웃, 그리고 보이지 않는 파괴적 세력을 모두 ‘악’이라 통칭할 것이다.”
백과사전에서는 악을 다음과 같이 규정한다.
“인간에게 유해한 여러 가지의 사상(事象) 또는 그것을 가져오는 원인.”
결국, 악은 인간에게 유해하거나, 긍정적인 가치나 세계를 파괴하는 존재로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악’은 가치판단과 관계된 문제로 논의에 앞서 문학작품에서의 ‘악’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자 한다.
문학이 생산된 당대의 가치나 수용된 시기의 가치에 비추어 보았을 때, 보편적 윤리나 사상 혹은 가치체계에 유해하거나, 긍정적인 가치관을 위협하거나 파괴하려는 물질적, 비물질적인 것의 총체.
그렇다면 ‘악녀’ 역시도 위에서 언급한 ‘악’에 관한 행위를 가지거나, 그러한 사상이나 생각을 품고 있는 여성 정도의 정의가 내려질 것으로 보인다.
참고 자료
정출헌 外,『고전문학과 여성주의적 시각』, 소명출판, 2003이화어문학회,『우리 문학의 여성성ㆍ남성성(고전문학편)』, 월인, 2001
이원수,『고전소설 작품세계의 실상』, 경남대학교출판부, 1996
한국고전여성문학회,『고전문학과 여성화자 그 글쓰기의 전략』, 월인, 2003
조혜정,『한국의 여성과 남성』, 문학과 지성사, 1988
이재선,『한국문학주제론』, 서강대학교출판부, 1998
이재선, 『문학주제학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1996
한국고소설연구회,『한국고소설론 제2부』, 아세아문화사, 1991
정재호,『한국 시조 문학론』, 태학사, 1999
조광국,『한국 문화와 기녀』, 월인, 2006
송진영,<얼폐전을 통해 본 ‘악녀’ 이미지 연구>,『중국어문학지 제19권』, 중국어문학회, 2001
차은경,『고전소설에 나타난 악녀형 인물 연구』,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3
조현우,<“사씨남정기” 악녀 형상과 그 소설사적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13』,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6
정출헌, <가부장적 가족제도의 질곡과 “사씨남정기”>, 『고전문학과 여성주의적 시각』, 소명출판, 2003
이금희, <장화홍련전 연구>, 『문명연지 제 5권 제 2호』, 한국문명학회, 2004,
이금희, <계모형 소설 연구-장화홍련전과 김인향전을 중심으로>,『고소설연구 제19권』,한국고소설학회, 2005
한상현, <고소설에 나타난 악녀의 실상>,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96
이지하, <고전장편소설과 여성의 효의식>,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제10권』,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5
정지영, <장화홍련전 - 조선후기 재혼가족 구성원의 지위>,『역사비평 통권61호』,역사비평사, 2002.12
박경열, <가정소설에 나타난 악인의 유형과 악의 의미>, 『문학치료연구 제5집』, 한국문학치료학회, 2006.8
한상현, <古小說에 나타난 惡女의 實相>, 건국대학교대학원,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