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소가 사회계약론에서 풀고자 한 근본 문제는 무엇이며, 그에 대한 해법으로 제시한 것은 무엇인가 주요 개념들과 함께 설명하라.
- 최초 등록일
- 2018.03.25
- 최종 저작일
- 2018.01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목차
Ⅰ. 루소가 <사회계약론>에서 풀고자 한 근본 문제는 무엇이며, 그에 대한 해법으로 제시한 것은 무엇인가? 주요 개념들과 함께 설명하라.
1. 루소의 문제제기
2. 문제 해법 - 문제해법에 대한
3. 참고자료
Ⅱ. 루소가 최근 한국에서 일어난 국정농단 사건과 대통령 파면 과정을 본다면 어떤 이야기를 했을까? 그리고 새 대통령이 당선된 현재 한국 정치에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이라고 할까?
1. 국정농단 정리
2. 현 사태에 대한 루소의 한 마디?
3. 루소가 다음 대통령대에 가장 필요한 것을 말한다면?
본문내용
루소의 문제제기
루소는 사회계약이 자연적 평등을 파괴하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인간들 사이에 자연적으로 생겨날 수 있는 육체적 불평등을 도덕적이고 합법적인 평등으로 대치하고, 인간은 체력 또는 재능에 있어 불평등할 수 있는 만큼 계약에 의해 그리고 법으로써 모두가 평등하게 된다고 주장한다. Jean-Jacques Rousseau(이환 역), 『사회게약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9.
루소는 먼저 힘의 논리에 의해 인간들 사이의 관계가 설정되는 초기 사회의 모습을 그려 보여준다. 강한 자가 지배자로 등장하고 그 밑에 사람들이 노예나 다름없이 예속되는 이 사회체제 안에 인간의 자유는 말살되고 따라서 인간으로서의 자질도 소멸된다. 이에 대한 반대명제로서 루소는 성숙한 인간 사회의 기본 조건, 즉 사회계약을 제시한다.
문제 해법
문제해법에 대한
인간이 필연적으로 사회를 이루고 살아가야 한다면 한 사회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들이 동의하는 방식과 조건들에 따라 이를 수립하는 것, 이것이 사회계약의 기본 정신이다. 이 사상의 가장 중요한 핵심은 모든 사람의 동의이다. 다시 말하자면 인간의 근원적 자유와 권리에 입각한 주권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참고 자료
이강화, 사회 계약론의 근대적 전개 : 헤겔의 사회계약론 비판을 중심으로 = The modern development of social contract theory, 연화논집, 2002
조긍호, 사회계약론 연구 : 홉스·로크·루소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출판부,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