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성열,「예수의 죽음과 부활은 기독교 신앙의 본질을 구성하는 것」,『해석학과 윤리』 제2호, 호남신학대학교, 한들, 1997.
· 김미도, 「한국 현대 희곡에 나타난 굿의 연극성」,『한국연극학』, 제 9호, 1997.
· 김미도, 「이현화 희곡 연구」, 『서울산업대학교 논문집』제 48집, 서울산업대학교, 1998.
· 김미도, 「1970년대 한국연극의 전통 수용 양상- 극단 ‘자유’의 경우」,『한국연극학』제 21호, 2003.
· 김윤경, 「이현화의 0.917 연구」, 부산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 노드롭 프라이, 김영철 역, 『성서와 문학』, 숭실대학교 출판부, 1993.
· 박혜령, 「한국반사실주의 희곡 연구」, 이화여대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5.
· 서연호, 「이현화, 극적 새로움과 역사적 자아」, 『우리 시대의 연극인』, 연극과 인간, 2001.
· 서연호 · 임준서 공편,『이현화 희곡 · 시나리오 전집』1~3권, 연극과 인간, 2007.
· 성경전서 개역개정판 4판, 대한기독교서회, 2008.
· 손화숙,「이현화론- 관객의 일상성에서 벗어나기 위한 연극적 기법」, 『한국극예술연구』 제 2집, 한국극예술학회, 1992.
· 신현숙, 「이현화의 극작술에 대한 소고」, 『한국희곡작가연구』, 태학사 1997.
· 심광섭, 『기독교 신앙의 아름다움』, 다신글방, 2003.
· 심정순, 「이현화론- 감성에 대한 지성적 접근의 작가, 『한국 현역 극작가론 2』, 예니, 1988.
· 안준배, 「이현화희곡에 나타나는 형식적 특성과 현실반영성 연구」, 명지대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오영석, 「예수의 부활과 죽은 자의 부활」,『기독교 사상』통권 제 310호, 1984.
· 여광수, 「바울의 죄 이해에 대한 연구」, 대신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 이광진, 「개신교 복음주의의 죄 이해: 루터, 칼빈, 웨슬리의 죄 이해를 중심으로」, 목원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이미원, 「이현화 희곡과 포스트 모더니즘」, 『한국연극학』제 16호, 한국연극학회, 2001.
· 이상우, 「폭력과 성스러움」,『한국 극작가론』, 평민사, 1998.
· 장수경, 「한국 현대 희곡에 나타난 소통에 대한 욕망과 굿의 미학」,『현대문학이론연구』 제 34집, 2008.
· 장혜전, 「현실과 환영의 연극적 탐색」, 『수원대논문집』제 10집, 1992.
· 정우숙, 「한국현대극에 나타난 여성 육체 이미지-이현화의 <카덴자>를 중심으로 한 예비 적 논의」, 『여성문학연구』 통권 5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01.
· 조 순,「예수의 죽음의 본질」,『신학연구 한신대학교』, 한신신학연구소, 2004.
· 채새미, 『한국 현대희곡의 샤머니즘 수용연구』, 푸른사상,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