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동학대방법안 공청회(국회의원 정의화, 한국아동학대예방협회 주최), 1997년 9월 3일,
· 윤혜미, 아동학대 및 방임사례와 신고제에 대한 학부모태도조사, 한국아동복지학, 제3호, 1995.
· 이용교 역, William A. Check, 아동학대연구: 학대받는아동을 어떻게 도울 것인가, 다올, 1993,
· 이원숙, 아동성학대가족을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에 관한 연구-피해아동을 위한 초기개입을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논문집, 제 27집, 1996 참조.
· 문선화, 한국사회와 아동복지, 양서원, 2005
· 이혜원, 아동 권리와 아동복지, 집문당, 2006
· 버넌R.위헤, 박인전 역, 아동학대 문제 다루기, 교문사, 2006
· 전남련, 아동복지, 형설출판사, 2008
· 한국성폭력상담소, 안전한 어린이, 건강한 서울, 1996.5.
· 허남순, 아동학대의 실태 및 대책, 한국아동복지학, 창간호, 1993, pp. 24-25 참조.
· 안동현, 홍강의(1987) 한국에서의 아동학대 현황. 정신건강 연구
· 보건복지부(2005) 전국아동학대 현황 유형 보고서 2004, 서울 보건복지부
· Daro, Deborah & Karen McCurdy, "Preventing child abuse and neglect: Programmatic Interventions," Child Welfare, 1994, no. 5, pp. 405-429.
· DePanfilis, Diane & Maria Scannapieco, "Assessing the safety of children at risk of maltreatment," Child Welfare, 1994, no. 3, pp. 229-245.
· Doyle, Celia, Working with abused children, London: MacMillan Education LTD., 1990.
· English, Diana J & Peter J. Pecora, "Risk assessment as a practice method in child protective services," Child Welfare, 1994, No. 5, pp. 451-473.
· Hay, Tom & Lisa Jones, "Societal interventions to prevent child abuse and neglect," Child Welfare, 1994, No.5, pp. 379-403.
· Hong, George K. & Lawrence K. Hong, "Comparative perspectives on child abuse and neglect: Chinese virsus Hispanics and Whites," Child Welfare, 1991, pp. 463-475.
· Howing, Phyllis T. & John S. Wodarski, "Legal requisites for social workers in chil abuse and neglect situations," Social Work, Vol. 37, No. 4, 1992, 330-335.
· Howing, Phyllis T., John S. Wodarski, James M. Gaudin, Jr. & P. David Kurtz, "Ef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