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사회문제로서의 취업난
어떠한 문제를 사회문제로 규정짓는 기준은 다수의 학자들에 의해 정의되고 있다. 최성재는 다수 학자들의 사회문제의 정의를 소개하고 그러한 정의 속에서 사회문제의 특성을 규명하는 공통적이고 중요한 요소들을 찾아내는 접근으로 다음과 같이 정리하고 있다(최일섭 외, 1994: 24-25 재인용). 첫째로 어떤 사회적 현상이 사회적 가치에서 벗어나고, 둘째로 상당수의 사람들이 그 현상으로 인하여 부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으며, 셋째로 그 원인이 사회적인 것이며, 넷째로 다수의 사람들이나 영향력 있는 사람들이 문제로 판단하고 있고, 다섯째 사회가 그 개선을 원하고 있고, 여섯째 개선을 위하여 집단적 사회적 행동이 요청되는 것이다(남일재 외, 사회문제론, 2010, 15) 이에 의거하여 취업난을 사회문제인 이유를 열거해보면 첫째, 취업난, 개인으로 보면 실업상태라는 현상은 노동을 통해 삶을 영위해 가는데에 장애가 되고 있다. 노동을 통해서 생활유지를 위한 금전마련을 할 수 없으며 장기적으로 노동을 통한 자아실현이 힘들어진다. 둘째로 취업난으로 인해 고통받는 사람에 대한 현황은 아래에 서술한 바와 같다. 셋째, 취업난의 원인은 간단하게 설명하면 일자리의 질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일자리의 질 문제는 다양한 학자들이 연구하고 있으며 자세한 사항은 아래 문제제기 3과 같다. 넷째로 언론이나 각종 매체를 통해 다수의 사람들이 사회문제로 판단하고 있음이 보이며 현 대통령 박근혜는 “지금 청년 실업률은 10%를 넘어섰으며, 미래가 불안한 우리 청년들이 연애도, 결혼도, 출산도 기피하는 현상을 빗대서 소위 3포 세대라는 신조어까지 만들어졌습니다. 내년부터 정년 연장이 시행되고, 향후 3~4년 동안 베이비부머 세대의 아들딸이 대거 대학을 졸업하게 되면 청년들의 고용절벽은 더욱 심각해질 것입니다”라는 말을 하며 일자리 창출에 대한 정책을 공약 한 바 있다. 다섯째, 우리 사회는 다수 언론과 학자들 모두 취업난의 개선을 위한 정책을 내놓으며 개선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 벤처기업정밀실태조사, 벤처기업협회, 2010
· 산업기술인력 수급 실태조사, 산업통산자원부, 2015)
· 하규수, 바람직한 대중소 동반성장 모델분석, 재인용
· 하규수, 대학생의 중소기업 취업인식과 취업선호도에 관한 탐색 연구, 한국벤처창업학회 2011년 통합학술대회, 2011.8, 72-73
· 정남기, 중소기업 지원정책의 사회적 의미 고찰, 질서경제저널 제17권 4호, 2014
· 노용환, 중소기업 R%D 지원의 성장효과 분석, 산업혁신연구 제31권 2호, 2015
· 오세열, 정호정,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고용창출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상품학연구 제30권 7호, 2012
· 최영기, 이정훈, 윤상진, 중소기업 인력난 완화를 위한 고용개선방안, 정책연구 2012-56, 2012
· 교양영어사전1, 2012. 10. 22., 인물과사상사
· 청년층의 중소기업 취업 기피 이유 조사, 중소기업연구원, 2014
· 하규수, 대학생의 중소기업 취업인식과 취업선호도에 관한 탐색 연구, 한국벤처창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 2011.8, 78-79
· 이지혜, 기업복지 격차와 해소방안 연구, 2013, 고려대학교
· 제3차 중소기업 인력지원 기본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 연구원, 2014
· 산업·규모별 임금 및 근로시간 실태조사, 고용노동통계 포털, 2015
· 회계연도 기업체노동비용조사 보도자료, 고용노동부, 2012
· 조상미, 박은주, 기업복지제도의 결정요인 분석,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3권 제3호, 2011.09, p.200-201
· 손경수, 기획기사: 폐업률에 대하여, 2015
· 중소기업 실태조사, 중소기업실태조사: 기업연령, 통계, 2015
· 정용우, 김판진, 국내 중소기업의 정부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유통과학연구 8-2, 2010
· 윤현석, 대기업의 일감몰아주기 규제 관련 법률의 개선방향, 한양법학 제46집, 2014
· 노용환 중소기업 R&D지원의 성장효과 분석, 산업혁신 연구 제31권 2호, 2015
· 제 2차 근로자복지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조사, 한국노동연구원, 2006
· 시장구조조사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용역, 연세대학교 산업협력단, 2014
· 성승제, 독과점 시장구조 개선을 위한 공정거래법상 시장분석, 경제법연구 제 12권 2호, 2013
· 박재민, “중소기업 취업자의 직장선택과 이동 그리고 임금 수준 분석, 2010.9
· 최수찬, “중소기업의 복리후생 서비스와 이직의도 간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2014
· 전정호, “대기업 근로자의 직업안정성과 경영진에 대한 신뢰 및 조직몰입의 관계, 2009
· LG그룹 공식 블로그, 복지혜택, 2016 <http://www.lgblog.co.kr/lg-story/lg-csr/644>
· 김유미, 늘어나는 '근로 빈곤층'…대기업 정규직의 '복지 독점구조' 깨야, 한국경제, 2012
· 정종옥, 중소기업청 시험평가과 보도자료, 2004
· 백주선, 중소기업 우수제품마크 인증제도, 1997
· 박재민, 대졸자의 중소기업 취업이 장기적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효과. 2011
· 신기동, 대․중소기업 동반성장의 새로운 시각, 이슈&진단 제 37호, 2012
· 강원, “성공한 중소기업의 창업초기 경영실적과 정책의 방향”, 벤처창업연구 제9권 제3호,2011
· 양현봉, “질 좋은 성장과 중소기업 정책과제”, 2006
· 김수현. 청년일자리의 현황과 과제. 월간 복지동향, 2012
· 금재호, 청년취업난의 악화(Ⅰ). 노동리뷰, 2012
· 김을식, 일자리 창출의 난제. 이슈&진단, (75), 2012
· 김을식, 김군수, 김태경, 김점산, 이수진, 한국의 고용 현황과 일자리 미스매치. 이슈&진단, (49),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