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남훈, (2016), “성남시 청년배당 논쟁과 경험”,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1-26
· 김남희, (2017), “청년수당의 한국사회에서의 함의 – 기본소득의 출발인가? 지방자치단체 복지정책의 확장인가?”, 「월간 복지동향」, 221호, 52-58
· 김상태, (2009), “지방자치단체의 자치권 침해에 대한 사법적 구제수단 –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와의 관계를 중심으로”,「행정법연구」, 제24호, 237-269
· 김석태, (2000), “과시적 분권과 기술적 집권-90년대 지방분권화”,「행정논총」, 제38권, 제1호, 111-134
· 김석태, (2015), “공동세를 재원으로 하는 수평적 재정조정: 국가-지방간의 동반자 관계를 위한 재정적 구성”,「지방정부연구」, 제19권, 제2호, 247-271
· 김석태, (2016a), “홈룰(Home Rule)의 발전과정 및 모형과 지방자치권 확대방안에 대한 시사점”,「한국지방자치학회보」, 제28권, 제4호, 1-23
· 김성희, (2016), “청년 수당의 쟁점과 과제: 사회활동 수당과 구직 수당의 연계를 통한 발전방안”, 「월간 복지동향」, 207호, 9-14
· 김석태, (2016b), “지방분권 사상과 한국의 지방자치”,「지방정부연구」, 제19권, 제4호, 1-24
· 김종진, (2016), “지방정부의 청년수당과 청년배당 도입 의미와 시사점: 이행기 청년 노동시장의 제도적, 정책적 접근 모색 논의”, ‘더불어민주당 긴급토론회: 청년활동지원(청년수당)으로 본 청년 구직지원 및 구직안전망’, 17-71
· 김태환, (2016), “지방자치단체의 복지재정 집행에 관한 고찰: 서울시 청년수당 갈등을 중심으로”, 「사회법연구」, 제30호, 35-62
· 김학성, (2011), “권한쟁의심판의 문제점과 권한쟁의심판과 행정소송과의 관할권 경합”,「강원법학」, 제33권, 85-111
· 박주희, (2016), “사회보장사업을 둘러싼 중앙-자치단체 간 갈등”, ‘서울시 청년수당, 약인가 독인가 토론회(2016.4.21.), 9-17
· 오재호·천영석, (2016), “청년지원, 해답인가 문제인가?”, 「이슈&진단」, 249호, 1-25
· 민주정책연구원, (2015a), “‘청년수당’과 ‘청년배당’은 ‘청년포퓰리즘인가?”, 「이슈브리핑」, 2015-30호, 1-6
· 민주정책연구원, (2015b), “‘청년수당’의 논점과 방향”, 「이슈브리핑」, 2015-31호, 1-10
· 바른사회시민회의, (2016), “2030 여론을 통해 본 서울시 청년수당 정책”, 「@FactBrief」, 1-8.
· 보건복지부, (2017), “2017 사회보장제도 신설·변경 협의 운용지침”
· 한국헌법학회, (2015), “지방분권형 헌법개정안 연구(요약본)”, 1-88
· 행정자치부, (2012), “2012년 지방교부세 감액재원 인센티브 반영내역”
· 행정자치부, (2013), “2013년 지방교부세 감액재원 인센티브 반영내역”
· 행정자치부, (2014), “2014년 지방교부세 감액재원 인센티브 반영내역”
· 행정자치부, (2015), “2015년 지방교부세 감액재원 인센티브 반영내역”
· 행정자치부, (2016), “2016년 지방교부세 감액재원 인센티브 반영내역”
· 행정자치부, (2016), “2016 행정자치통계연보”
· 행정자치부, (2017), “2017년 지방교부세 감액재원 인센티브 반영내역”
· 헌법재판부 보도자료, (2016.9.6.자), “9월 공개변론 – 지방교부세법시행령 개정관련 권한쟁의 심판”
·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2015.12.30.자), “서울시 ․ 성남시 등에 “예산안 재의요구” 지시 계획”
·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2016.1.14.자), “보건복지부, 서울시의회 대법원 제소 및 집행정지 신청”
·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2016.3.17.자), “보건복지부, 경기도-성남시 대법원제소 건에 원고소송참가 결정”
·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2016.6.30.자), “보건복지부, 서울시 ‘청년활동지원사업’ 부동의”
·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2016.8.3.자), “보건복지부, 서울시 ‘청년활동지원사업’ 시정명령”
·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2016.8.4.자), “보건복지부, 서울시 ‘청년활동지원사업’ 취소처분”
·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2016.8.12.자), “보건복지부, 서울시 청년수당에 대한 취소처분은 적법”
·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2016.8.19.자), “서울시의 청년수당 대법원 제소에 엄정히 대응키로”
·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2017.4.7.자), “복지부, 서울시 ‘청년수당’ 협의 결과 ‘동의’ 통보”
· 내일신문, (2016.10.18.자), “'지방재정 건전화' 역행하는 교부세 제도”
· 한국경제, (2017.5.4.자), “성남시에서 주는데…경기도에서 또 주겠다는 '청년수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