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미디어정책-종편 분석 및 평가 보고서

"미디어정책-종편 분석 및 평가 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23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8.01.17 최종저작일 2017.05
23P 미리보기
미디어정책-종편 분석 및 평가 보고서
  • 미리보기

    목차

    1. 서론
    1.1 연구소개
    1.2 주제 선정 이유 및 문제제기
    1.3 연구 방법 및 연구 목적

    2. 문헌분석
    2.1. 종편 도입과 쟁점
    2.1.1 종편 도입의 정책 목표
    2.1.2 산업적 측면에서의 쟁점
    2.1.3 저널리즘적 측면에서의 쟁점
    2.2 도입 이후 현황
    2.2.1 초반의 부진
    2.2.2 성장세와 그 이유
    2.2.3 종편과 지상파의 비대칭적 규제 내용
    2.3 도입 이후 평가
    2.3.1 공정성 평가 <종합편성채널의 보도공정성에 관한 연구(원희영, 2015)>
    2.3.2 다양성 평가 <종합편성 채널 도입과 방송뉴스 보도의 다양성(조은영, 2014)>
    2.3.3 KI 시청자지수 평가(2016 년 기준)
    2.4 미국 신문-방송 겸영 사례
    2.4.1 미국 FCC 의 신문 방송 겸영 허용
    2.4.2 미국 연방법원의 FCC 결정 무효화
    2.4.3 미국 신방 겸영 무효화의 의미

    3. 연구 결과
    3.1 종편 도입 정책 평가
    3.1.1 융합하는 미디어 환경 변화에 적극 대응여부 평가
    3.1.2 다양성 제고 기여 평가
    3.1.3 콘텐츠 시장 활성화 평가

    4. 결론
    4.1 연구 결과 정리 및 제언
    4.2 연구 함의 및 한계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 소개

    본 연구에서는 종합편성채널(이하 종편)이 지난 2011 년 출범한 이후, 현재까지 6 년 동안 보여준 모습들을 바탕으로 출범 초기 정책목표가 얼마나 실현되었는지 정책평가를 해보고, 앞으로 종편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종합편성방송채널사용사업자"란 「방송법」 제 9 조 제 5 항에 따라 종합편성을 행하는 방송채널사업을 하기 위하여 방송통신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방송채널사용사업자 및 「인터넷 멀티미디어방송사업법」 제 18 조제 2 항 단서에 따라 보도·교양·오락 등 다양한 분야를 종합적으로 편성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하여 미래창조과학부장관의 승인을 받은 사업자를 말한다. 여기서 “종합편성”은 방송법 제 2 조에 따라 보도·교양·오락 등 다양한 방송분야 상호간에 조화를 이루도록 방송편성을 하는 것을 말한다. 정리하자면 케이블 TV 나 위성 TV, IPTV 등의 유료방송을 통해 시청할 수 있는 채널의 하나로, 지상파 방송처럼 보도·교양·드라마·오락 프로그램 등을 편성할 수 있는 방송채널사용사업자(Program Provider, PP)를 말한다.
    ‘종편’이라는 개념은 2000 년 김대중 대통령 시기에 통합방송법 개정으로 처음 생긴 개념이었다.
    그러나 그 이후 2009 년까지는 실제 운영하는 사업자는 없고 개념만 존재했었다. 2009 년 이명박대통령 정권 시기에 미디어 관련법 개정으로 인해 신문과 방송의 겸영이 허용되면서 종편의 출범이 논의되기 시작했다. 물론, 당시 야당에서는 재벌과 거대신문사의 방송과 여론의 장악을 터주는 미디어 악법 개정이라며 반대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았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2 장에서 다룰 예정이다.
    첨예한 찬-반 논쟁을 거쳐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에서는 몇 가지 정책 목표를 목표로 종편출범을 결정하였다. 이후 방통위는 사업자 신청을 받아 심사를 진행했고, 2010 년 승인 심사를 통해 최종 의결로 JTBC, MBN, TV 조선, 채널 A 4 개의 종편사가 출범하였다.

    참고자료

    · 한지민 외 3명, 종합편성채널의 콘텐츠 운용과 비대칭 규제에 대한 지상파 종사자들의 인식, 미디어 경제와문화, 2014
    · 신태섭, 종편채널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통권 23호), 2011
    · 원희영, 종합편성채널의 보도 공정성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29권 1호, 2015
    · 조은영, 종합편성 채널 도입과 방송 뉴스 보도의 다양성. 한국언론학보 58권 3호, 2014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6 KI시청자평가지수 조사 보고서. 2016
    · 정종건, 종합편성채널 도입에 따른 지역 지상파방송 대응 전략,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1
    · 이영주, 종합편성채널 저널리즘의 비판적 재조명. 한국언론정보학보, 36-72, 2016
    · 김현아, “‘고무줄’ 징수 1조 1473억 방송통신발전기금, 이젠 바꿔야”, 이데일리, 2017.4.10
    ·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E31&newsid=02013926615894808&DCD=A00503&OutLnkChk=Y
    · 조민규, “종편, 방송통신발전기금 징수율 지상파의 25%에 불과”, 쿠키뉴스, 2016.7.16
    · http://www.kukinews.com/news/article.html?no=383361
    · 민혜정, “방송통신발전기금 징수율, 법으로 규정해야”, 아이뉴스24, 2016.11.16
    · http://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serial=991545&g_menu=020320&rrf=nv
    · 김효실, “방통위, 공영방송 정상화, 종편 특혜 폐지 추진”, 한겨레, 2017.5.25
    · http://www.hani.co.kr/arti/society/media/796312.html
    · 추혜선, “방통위, 종편 재승인 시나리오 시작됐다”, 미디어오늘, 2013.8.18
    ·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1465
    · 김기태, “시청률 0%, 종편은 종치나”, 한겨레 21, 2012.03.08
    · http://h21.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31556.html
    · 정철운, “종편 4 사 모두 월 평균 시청률 1% 넘어…개국 이후 최초”, 미디어오늘, 2013.08.04
    ·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1272#csidxff3eaaf50ea44a0917e0899b6c3
    · 70ec
    · 김창남, “종편…달라진 위상, 보도 편중 여전”, 한국기자협회, 2016.11.23
    · http://www.journalist.or.kr/news/article.html?no=40435
    · 양길모, “지난해 국내 광고 시장 '10 조원', 전년比 1.5%↑…케이블·종편 방송, 1 위 올라”, 뉴시스,
    · 2017.03.07
    ·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70307_0014747639&cID=10402&pID=13000
    · 최은지, “60 대 국민 85% ‘매일 TV 시청해‘”, 브릿지 경제, 2016.06.16
    · http://www.viva100.com/main/view.php?key=20160616010004409
    · 권태호, “미국도 ‘신문·방송 겸영’ 4 년만에 ‘잘못된 결정‘“, 2011.12.01
    ·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america/508187.html
    · 김철관, "종편, '여론 다양성인가? 여론 호도인가?'", 기독일보, 2013.02.23
    · http://www.christiandaily.co.kr/news/%EC%A2%85%ED%8E%B8-%EC%97%AC%EB%A1%A0-
    · %EA%B3%B5%EA%B3%B5%EB%AF%B8%EB%94%94%EC%96%B4%EC%97%B0%EA%B5%AC%EC%86%
    · 8C-10854.html
    · 이문영, “방통위 ‘종합편성채널 2 개 이상 도입’, 한겨레, 2009.01.20,
    · http://www.hani.co.kr/arti/society/media/334372.html
    · 최갑천, “방통위 ‘종편 3 사·뉴스 Y’ 재승인”, 파이낸셜뉴스, 2014.03.19
    · http://www.fnnews.com/news/201403192158407316
    · 최원형, “점수 미달한 TV 조선도 재승인…방통위, 또 종편에 ‘면죄부’”, 2017.03.24
    · http://www.hani.co.kr/arti/society/media/787908.html#csidx2bbb22a34603d2f884a4401ac369c21
    · 소종섭, “최순실 특종' 날개 달린 종편, 고개 숙인 지상파”, 2016.10.31
    · http://www.sisapress.com/journal/article/159761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이 자료 덕분에 ,복잡했던 과제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실질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완벽한 자료였습니다. 매우 추천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4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