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 미술사에서 제출한 레포트입니다. A+ 받았고, 서론 본론 결론이 잘 갖추어져 있고, 각주가 포함되어 있어서 그대로 제출하기에도 좋습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개태사와 관촉사의 불상 조성의 역사적 배경
1. 왕건의 후삼국 통일과 개태사와 불상 조성
2. 광종의 왕권 강화와 관촉사와 불상 조성
Ⅲ. 불상의 특징과 비교
1. 나말여초의 불상과 개태사 삼존석불
2. 새로운 양식과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
3. 개태사 삼존석불과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 비교
Ⅳ. 맺음말
본문내용
Ⅰ. 머리말
우리는 종종 많은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생각을 일컬어 ‘패러다임’ 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패러다임의 사전적 정의는 “한 시대 사람들의 견해나 사고를 지배하고 있는 이론적 틀이나 개념의 집합체” 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패러다임은 영원히 지속될 수는 없고, 시대가 바뀌는 과정에서 생성·발전·쇠퇴·대체라는 순서를 되풀이한다. 이를 문화에 적용해보면, 문화의 패러다임은 당대에 주류로 조성되어 시대를 대표하거나 상징하는 모습의 특징을 의미한다고 이해할 수 있다. 앞선 패러다임의 속성과 같이 문화의 패러다임 또한 새로운 모습과 충돌하면 기존의 것을 유지하려는 모습과 새로운 것과 융합하여 문화가 변용되는 모습이 나타난다.
필자는 이러한 문화의 패러다임의 모습을 고려의 후삼국통일 이후 조성된 초기의 불상에서의 변화에서 찾을 수 있었다. 고려의 삼국 통일은 정치적으로 큰 변화를 가져왔다고 이해할 수 있으며, 당대의 정치의 변화가 문화에 있어서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고려해보았을 때, 후삼국통일로 인해 기존의 통일신라의 중심의 불교문화의 패러다임이 고려로 넘어왔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고려 초기의 정치적 흐름인 왕과 지방호족과의 관련성과 더불어 주류문화인 불교문화 또한 맥을 같이하며 전개되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이유로 패러다임에서의 고려 전기의 불교조각은 크게 2가지의 흐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첫 번째는 통일신라와 후삼국의 전반적인 양식을 따르는 모습과 더불어 조금씩 자신들의 생각을 개입하는 모습, 두 번째는 이를 뛰어넘어 자신들만의 독자적인 양식 경향을 강화하려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앞선 문화의 패러다임의 변용에 대해 고려 전기의 불상에서 이러한 모습을 찾아보면, 고려 전기에 논산지역에 조성되었던 개태사 삼존석불과 관촉사 석조보살상이 주목된다.
개태사 삼존석불과 관촉사 석조보살상은 고려 초기의 정치적 흐름인 왕과 호족과의 관계의 역사적 배경을 잘 나타낼 줄 뿐만 아니라 서로 같은 논산 지역에 조성되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참고 자료
윤용혁, 「936년 고려의 통일전쟁과 개태사」 ,일지사, 2004
윤용혁, 「고려시대 불교와 개태사」, 공주대학박물관·논산시, 2002
김갑동, 「충남 연산 開泰寺의 특징과 성격」. 역사와 역사교육, 2017
김갑동, 「후삼국과 개태사, 그리고 왕건」 , 공주대학박물관·논산시, 2002
이광섭,「고려 광종대 관촉사의 창건과 지방지배」 , 2011
김춘실, 「충남 연산 개태사 석조삼존불고」,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1994
최선주, 「고려초기 관촉사 석조보살입상에 대한 연구」, 미술사연구회, 2000
신은영, 「관촉사 석조보살입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3
정성권, 「개태사 석조삼존불입상 조성배경 再考 : 太祖 王建軍 屯營址 馬城의 위치와 관련하여」 , 백산 학회, 2012
정성권,「高麗 光宗을 보는 또 다른 시각 : 미술사와 고고학을 통하여」, 한국인물사연구. 2013
정성권, 「安城 梅山里 石佛 立像 硏究 : 高麗 光宗代 造成說을 제기하며」, 韓國文化史學會, 2002
이정옥, 「고려 초기 논산 석조불상의 특징과 조성 배경에 관한 연구: 개태사삼존석불입상과 관촉사석조 보살입상을 중심으로」 , 공주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03
진홍섭,안장헌,『석불』, 대원사, 1994
강우방, 『한국 불교조각의 흐름』, 대원사, 1999
최성은,안장헌, 『석불 돌에 새긴 정토의 꿈』 , 한길아트, 2003
최성은, 『고려시대 불교조각 연구』 , 일조각, 2013
김진숙, 『고려 석불의 조형과 정신』, 참글세상, 2013
정성권, 『태봉과 고려, 석조미술로 보는 역사』 , 학연문화사, 2015
김리나, 『한국 고대 불교조각사 연구』, 일조각,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