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연구자료 290 (기상환경악취제거) 기상환경보전을 위한 악취제거 기술

"연구자료 290 (기상환경악취제거) 기상환경보전을 위한 악취제거 기술"에 대한 내용입니다.
19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7.12.11 최종저작일 2017.11
19P 미리보기
연구자료 290 (기상환경악취제거) 기상환경보전을 위한 악취제거 기술
  • 미리보기

    목차

    1. 기상환경보전과 악취
    2. 악취제거의 물리화학
    3. 악취제거의 과학기술
    4. 오존화 악취제거기술
    5. 흡착식 악취제거기술
    6. 토양 및 연소식 악취제거기술
    7. 플라즈마 및 광촉매 악취제거기술
    8. 결론
    9. 참고문헌
    10. 기술보문

    본문내용

    [요론]
    텔레비전에서는 기상 캐스터가 황사와 미세먼지 보도를 날마다 하고 있다. 중국에서 월 경해 오는 대기환경의 미세먼지를 기상학적인 기상환경의 과제로 보는 것도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그 미세먼지에 대비해 철저하게 마스크를 하는 이는 이미 미세먼지의 취 기를 느끼고 있다. 중국 공업화의 발산물이 그 미세먼지에 비말동반(entrainment)해 월경 해 올 날도 머지않다. 특히 백령도 바로 너머 공해상을 운항하던 다국적 화학물질 운반 선이 폭발해 그 악취가 경인지방을 몰아치는 경우도 예상하지 아니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월경해 오는 미세먼지와 취기는 대기환경적으로는 이미 대처하고 있지 못하 여, 기상학적으로 기상환경적으로 그 대안과 솔루션을 모색하지 아니할 수 없으므로, 기상 정보의 하나로 취기・악취 부문을 포함시켜 연구조사해 나가야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해, 그 일환으로 기상환경보전을 위한 악취제거기술을 논급하기로 한다.
    [keywords: 토양탈취, 오존화탈취, 플라즈마탈취, 흡착탈취, 광촉매탈취, 이산화티타늄, 축열연소탈취, 촉매연소탈취]

    1. 기상환경보전과 악취
    악취와 취기 및 냄새는 미기상환경의 질과 대기환경의 질을 보존하는데 아주 중요한 요인이다. 어떠한 이유로 향기나 악취와 같은 냄새가 일어나는가에 대한 이론은 30여개 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악취와 향기를 확정적으로 구분하는 이론은 제시되고 있지 않 다. 그 만큼 개인적인 것이므로, 구분하기가 어렵기 때문이고, 명확히 구분할 필요가 없 기 때문이다. 제사 지낼 때에 피우는 향-냄새처럼, 인종마다 다른 인체 냄새처럼 너무나 개인적이기 때문이다.
    맨 처음 냄새를 이론적으로 전개한 학자는 Henning이다. 그가 냄새를 6가지로 분류한 것이 냄새이론의 효시라고 할 수 있다. 냄새와 관련 있는 화학물질의 분자그룹을 냄새- 기(odor group)로 보고서, 그 냄새기가 분자구조의 어느 위치에 ......<중 략>

    참고자료

    · Fisher, R.M., et al., “Distribution and sensorial relevance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emitted throughout wastewater biosolids processing”, Sci. Total Environ., 599, 2007, pp.663~670.
    · Hayes, J.E., et al., “Unrepresented community odour impact: Improving engagement strategies”, Sci. Total Environ., 609, 2017, pp.1650~1658.
    · Marlon Brancher et al., “A review of odour impact criteria in selected countries around the world”, Chemosphere, 168, 2017, pp.1531~1570.
    · Nicola Pettarin, et al., “Urban air pollution by odor sources: Short time prediction”, Atmospheric Environment, 122, 2015, pp.74~82.
    · Hayes, J.E., et al., “The impact of malodour on communities: a review of assessment techniques”, Sci. Total Environ., 500, 2014, pp.395~407.
    · Brattoli, M., et al., “Gas chromatography analysis with olfactometric detection as a useful methodology for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odorous compounds”. Sensors, 13(12), 2013, pp.759~800.
    · Grucklik, Y., et al., “Odour reduction strategies for biosolids produced from a Western Australian wastewater treatment plant”, Water Sci. Technol., 68, 2013, pp.2552~2558.
    · Lowman, A., et al., “Public officials' perspectives on tracking and investigating symptoms reported near sewage sludge land application sites”, J. Environ. Health, 73(6), 2011, pp.14~20.
    · Lehtinen, J., Veijanen, A., “Odour monitoring by combined TD–GC–MS–sniff technique and dynamic olfactometry at the wastewater treatment plant of low H2S concentration”, Water Air Soil Pollut., 218(1), 2010, pp.185~196.
    · Brambilla, M., Navarotto, P., “Sensorial analysis of pig barns odour emissions”, Chem. Eng. Trans., 23, 2010, pp.243~248.
    · Agus, E., et al., “A framework for identifying characteristic odor compounds in municipal wastewater effluent”, Water Res., 46(18), 2012, pp.5970~5980.
    · Robinson, K.G., et al., ‘Public attitudes and risk perception toward land application of biosolids with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J. Environ. Manag., 98, 2012, pp.29~36.
    · Lebrero, R., et al., “Odor assessment and management in wastewater treatment plants: a review”, Environ. Sci. Technol., 41(10), 2011, pp.915~950.
    · Yeshurun, Y., Sobel, N., “An odor is not worth a thousand words: from multidimensional odors to unidimensional odor objects”, Annu. Rev. Psychol. 61(219), 2010, pp.211~215.
    · Muñoz, R., et al., 2010. “Monitoring techniques for odour abatement assessment”, Water Res., 44, 2010, pp.5129~5149.
    · Croy, I., et al., “Comparison between odor thresholds for phenyl ethyl alcohol and butanol”, Chem. Senses, 34(6), 2009, pp.523~527.
    · Doria Mde, F., et al., “Perceptions of drinking water quality and risk and its effect on behaviour: a cross-national study”, Sci. Total Environ., 407(21), 2009, pp.5455~5464.
    · Feliubadaló, J., et al., “Odour impact of a waste management plant in the Barcelona area, characterised by VDI3940 field observations, Gaussian ISCST modelling and CALPUFF modelling”, Water Pract. Technol., 4(2), 2009, pp.1~13.
    · Haehner, A., et al., “High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extended version of the “Sniffin' Sticks” test“, Chem. Senses, 34(8), 2009, pp.705~711.
    · Sucker, K., et al., “Odor frequency and odor annoyance part II: dose-response associations and their modification by hedonic tone”, Occup. Environ. Health, 81(6), 2008, pp.683~694.
    · Cai, L., et al., “Determination of characteristic odorants from Harmonia axyridis beetles using in vivo solid-phas emicroextraction and multidimensional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olfactometry”, J. Chromatogr., 1147(1), 2007, pp.66~78.
    · Keller, A., et al.,, “Genetic variation in a human odorant receptor alters odour perception”, Nature, 449, 2007, pp.468~472.
    · Rosenfeld, P.E., et al., “The use of an odour wheel classification for the evaluation of human health risk criteria for compost facilities”, Water Sci. Technol., 55(5), 2007, pp.345~348.
    · Mackay-Sim, A., et al., “Olfactory ability in the healthy population: reassessing presbyosmia”, Chem. Senses, 31, 2006, pp.763~771.
    · Wright, D.W., et al., “Multidimensional Gas Chromatography-Olfactometry for the identification and prioritization of malodors from confined animal feeding operations”, J. Agric. Food Chem., 53(22), 2005, pp.8663~8672.
    · R. Brandenburg, et. al., Plasma supported odour removal from waste air in water treatment plants: an industrial case study, Aerosol Air Qual. Res., 14, 2014, pp.697~707.
    · Müller, S. & Zahn, R.J., Air pollution control by non-thermal plasma, Plasma Phys., 47, 2007, pp.520~529.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매우 유익하고, 주제가 잘 정리되어 있어 학습에 큰 도움이 됩니다. 특히 자료의 품질이 높고, 내용이 풍부하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