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LD
GOLD 등급의 판매자 자료

연구자료 283 (VOCs 플라즈마제거)

"연구자료 283 (VOCs 플라즈마제거)"에 대한 내용입니다.
15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7.12.11 최종저작일 2017.10
15P 미리보기
연구자료 283 (VOCs 플라즈마제거)
  • 미리보기

    목차

    1. 기상환경과 휘발성 유기화합물
    2.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플라즈마 제거
    3. 휘방성 유기화합물과 플라즈마 처리기술
    4.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저온 플라즈마 제거
    5.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저온 플라즈마 제거 시스템
    6.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저온 플라즈마 제거기술
    7. 저온-플라즈마 처리시스템의 기술개발 방향

    본문내용

    요론
    NTP 기술의 적용에 의해 생성되는 부산물은 초기의 VOCs보다도 독성이 훨씬 적지만,바이오필터의 활성미생물을 25%나 저하시키는 단점도 갖고 있다. 동시에 NTP장치 중
    의 DBD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반응기에 의해 생성되는 CO(일산화탄소)의 피독작용을 저하시켜 주고, 미량영양물질의 결핍과 부족으로 인한 활성미생물의 성장저해도 방지하고, NTP 시스템의 운전과 VOCs의 제거율 향상에 따른 미생물 활동 스트레스도 저감시켜 주는 연구개발도 추진할 필요가 있다. 폐기물처리장이나 폐수처리장 등의 방출공기에서 발산되는 유해화학물질로서의 저농도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을 제거하는 기술은 화학적이든 미생물학적이든 플라즈마적이든, 이들 기술을 동시에 적용하는 병합적 기술이든, 미기상환경 및 대기환경 연관 중소기업이 개발해야 하는 기술이고, 생산해야 하는 제품이라고 할 수 있다.

    1. 기상환경과 휘발성 유기화합물
    기상환경과 대기환경의 공기질을 보전하고, 미기상환경과 실내환경의 공기질을 보호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인류기원 및 산업유래의 오염물질은 휘발성 유기화합물이라고 할 수 있다.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은 산불・삼림화재・낙엽수 발화 등의 자연적・천연적 요인으로 발생되는 미기상・대기환경 오염물질이기도 하고, 각종 산업용・생활용 용매・용제의 생산과 이용・석유화학공업・화학산업・농업・임업의 생산성 제고활동・폐기물 매립시설・폐기물처리시설・운송/수송/교통 등의 인류기원적 활동으로부터 발생되는 미기상・실내작업환경 오염물질이기도 하다. 유럽연합(EU)의 조사연구에 의하면, 2010년도의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의 발생량은 기준연도의 1990년에 비하여 56%나 저하되고 있다. 그 원인은 미기상 환경의 보전을 위한 대기오염 방지기술의 첨단기술적 개발과 운송・수송・교통 부문에서의 에너지 효율성의 향상 및 방출규제기준의 엄격화 등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구온난화가스 방출규제와 더불어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발산량이 상당히 안정화되어 있는 부문도 존재하고 있다.

    참고자료

    · D. Cunningham, Estimation of VOC emissions, J. Clean. Prod., 3(4), 1995,
    · pp.225~228.
    · Z.S. Wei, et. al., Removal of dimethyl sulfide by the combination of non-thermal
    · plasma and biological process, Bioresour. Technol., 146, 2013, pp.451~456.
    · F. Fatone, et. al., Fate of aromatic hydrocarbons in Italian municipal wastewater
    · systems: an overview of wastewater treatment using conventional activated-sludge processes
    · and membrane bioreactors, Water Res., 45(1), 2013, pp.93~104.
    · M. Schiavon, et. al., Comparison between conventional biofilters and biotrickling filters
    · applied to waste bio-drying in terms of atmospheric dispersion and air quality, Environ.
    · Technol., 37(8), 2016, pp.975~982.
    · M.Y. Civan, et. al.,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in atmospheric VOCs, NO2, SO2, and O3 concentrations at a heavily industrialized region in Western Turkey and assessment
    · of the carcinogenic risk levels of benzene, Atmos. Environ., 103, 2015, pp.102~113.
    · Z. Ni, et. al., Characterization of odorous charge and photochemical reactivity of VOC
    · emissions from a full-scale food waste treatment plant in China, J. Environ. Sci., 29,
    · 2015, pp.34~44.
    · Dorado, A.D., Gabriel, D. & Gamisans, X., Biofiltration of WWTP sludge composting
    · emissions at contact times of 2~10seconds by structured/unstructured packing materials.
    · Process Biochem., 50, 2015, pp.1405~1412.
    · A. Elías, et. al., Preliminary acclimation strategies for successful startup in
    · conventional biofilters, J. Air Waste Manage. Assoc., 60, 2010, pp.959~967.
    · M. Ragazzi, et. al., Effluents from MBT plants: plasma techniques for the treatment of
    · VOCs, Waste Manag., 34, 2014, pp.2400~2406.
    · R. Brandenburg, et. al., Plasma based pollutant degradation in gas streams: status,
    · examples and outlook, Plasma Phys., 54, 2014, pp.202~214.
    · I. Stasiulaitiene, et. al., 2016. Comparative life cycle assessment of plasma-based and
    · traditional exhaust gas treatment technologies. J. Clean. Prod. 112 (2), 1804e1812.
    · Z. Ye, et. al., Feasibility of destruction of gaseous benzene with dielectric barrier
    · discharge, J. Hazard. Mater., 156, 2008, pp.356~364.
    · Subrahmanyam, C., Renken, A. & Kiwi-Minsker, L., Novel catalytic non-thermal
    · plasma reactor for the abatement of VOCs, Chem. Eng. J., 134, 2007, pp.78~83.
    · R. Brandenburg, et. al., Plasma supported odour removal from waste air in water
    · treatment plants: an industrial case study, Aerosol Air Qual. Res., 14, 2014, pp.697~707.
    · 44
    · Müller, S. & Zahn, R.J., Air pollution control by non-thermal plasma, Plasma Phys.,
    · 47, 2007, pp.520~529.
    · H. Huang, et. al., Byproducts and pathways of toluene destruction via
    · plasma-catalysis, J. Mol. Catal., 336, 2011, pp.87~93.
    · Kim, H.H., Ogata, A. & Futamura, S., Complete oxidation of volatile organic
    · compounds using plasma-driven catalysis and oxygen plasma, Int. J. Plasma, Environ. Sci.
    · Technol., 1, 2007, pp.46~51.
    · M. Shiavon, et al., Non-thermal plasma assisting the biofiltration of volatile organic
    · compounds, J. Clean. Prod., 148, 2017, pp.498~508
    · Marco Schiavon, et al., Non-thermal plasma assisting the biofiltration of volatile
    · organic compounds,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148, 2017, pp.498~508
    · IARC, IARC Monographs & Classifications, 2016.
    · USEPA, Styrene-Technology Transfer Network Air Toxics Web Site.
    · https://www.epa.gov/iris, 2016.
    · USEPA, Integrated Risk Information System, https://www.epa.gov/iris, 2017.
    · European Environmental Agency, European Union Emission Inventory Report
    · 1990~2010 under the UNECE Convention on Long-range Transboundary Air Pollution,
    · European Environ -mental Agency, Copenhagen, Denmark, EEA Technical Report No 8.,
    · 2012.
    · Cabrera, G., Ramírez, M. & Cantero, D., Biofilters In: Comprehensive Biotechnology,
    · Elsevier B.V., Spain, pp.303~318, 2011.
    · Derwent, R.G., Sources, distributions, and fates of VOCs in the atmosphere. The
    · Royal Society of Chemistry, pp.1~15, 1995.
    · S. Deshmukh, et. al., Application of electronic nose for industrial odors and gaseous
    · emi -ssions measurement and monitoring - an overview. Talanta., 144, 2015, pp.329~340.
    · Fridman, A., Plasma Chemist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2008.
    · M. Schiavon, et. al., Potential of non-thermal plasmas for helping the biodegradation
    ·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released by waste management plants, J. Clean. Prod., 104,
    · 2015, pp.211 ~219.
    · 전문화 아카데미아, “환경기술 직무사전-대기환경기술”, ISBN 89-7618-165-4, 홍문
    · 관, 한국 서울, 2005년4월, pp.63~89.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내용과 함께 과제에 적용 가능한 내용이 많아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감사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