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LD
GOLD 등급의 판매자 자료

연구자료 278 (기상환경 수은영향) 기상환경에 미치는 유해중금속 수은의 환경동태와 영향

"연구자료 278 (기상환경 수은영향) 기상환경에 미치는 유해중금속 수은의 환경동태와 영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18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7.12.11 최종저작일 2017.09
18P 미리보기
연구자료 278 (기상환경 수은영향) 기상환경에 미치는 유해중금속 수은의 환경동태와 영향
  • 미리보기

    목차

    1. 중금속 수은의 환경유해성
    2. 중금속 수은의 환경오염원
    3. 중금속 수은의 환경화학 반응
    4. 중금속 수은의 기상환경 이동현상
    5. 중금속 수은의 기상환경적 분포
    6. 기상환경과 수은화합물의 산화반응
    7. 기상환경 수은의 환원작용과 유해독성
    8. 결론
    9. 참고문헌
    10. 기술보문

    본문내용

    [요론]
    기상환경 중의 는 아직도 극미량으로 낮지만, 중국 발산의 가 편서풍을 타고 고스란히 자손대대로 지구종말시까지 한반도로 한국인에게 덮쳐오므로, 이에 대한 대안 으로서 중국 대륙의 각종 연소 및 소각 보일러 연돌가스에서 발산되는 수은(mercury)을 자원과 원료로서 회수(recovery)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중국에서의 수은의 대기 발산을 저감시켜 나가야 한다. 이러한 수은의 회수 및 자원화 장치는 신세대의 플라즈마 기술 과 나노막 기술 및 요오드-화 촉매 기술 등을 조합하고 융합시키는 소규모・소형의 시 스템이므로, 기상전문 중소기업이 개발하기에 최적의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keywords: 수은, 진사, 메틸수은, 미나마타질환, 란탄수축, 광산화반응, 세일오일, 생체간확산]

    1. 중금속 수은의 환경유해성
    수은(Hg: mercury)은 자연적으로 천연적으로 산출되는 유해독성의 중금속으로서 지구의 지질 속에는 80㎍/kg의 농도로 존재하고, 바닷물 속에도 0.3ng/L로 잔존하고 있다. 점판 암(slate)과 혈암(shale) 및 석회암(limestone) 속에는 극미량으로 livingstonite (HgSb4S8)이 나 corderoite (HgS2Cl2)로 존재하지만, 주로 진사・단사・주사의 cinnabar (HgS)로 존재 하는 육방정계의 붉은 결정체로서 다이아몬드 광택을 가진 광물이고, 중국・러시아・미 국・캐나다・스페인・멕시코・유고슬라비아, 화산활동이 잦은 환태평양・지중해 화산대 의 수은대(mercuriferous belts) 등에서 주로 생산되고 있다.
    수은은 그 광물인 진사(cinnabar)를 가열하고, 그 증기를 응축시켜 고농도의 수은으로 조 제하여 온도계나 스위치 등의 산업용으로 이용하므로, 제련・제철・양회 산업, 화력발 전 등에서도 극미량이지만 미기상환경으로 유입되어 그 유해독성을 미칠 개연성을 안고 있다.

    참고자료

    · Auzmendi, M.I., Bozzelli, J.W., “Gas phase mercury oxidation by halogens (Cl, Br, I ) in combustion effluents: influence of operating conditions”, Energy fuels, 30, 2016, pp.603~615.
    · Ariya, P.A., et al., “Mercury physicochemical and biogeochemical transformation in the atmosphere and at atmospheric interfaces: a review and future directions”, Chem. Rev.,115, 2015, pp.3760~3802.
    · Amyot, M., Gill, G.A., Morel, F.M.M., “Production and loss of dissolved gaseous mercury in coastal seawater”, Environ. Sci. Technol., 31, 1997, pp.3606~3611.
    · Amos, H.M., et al., “Legacy impacts of all time anthropogenic emissions on the global mercury cycle”, Glob. Biogeochem. Cycles, 27, 2013, pp.410~421
    · Bergan, T., Gallardo, L., Rodhe, H., “Mercury in the global troposphere: a three dimensional model study”, Atmos. Environ., 33, 1999, pp.1575~1585.
    · Calvert, J.G., Lindberg, S.E., “Mechanisms of mercury removal by O and OH in the atmosphere”, Atmos. Environ., 39, 2005, pp.3355~3367.
    · Castro, L., et al., “A theoretical study of abiotic methylation reactions of gaseous elemental mercury by halogen containing molecules”, Atmos. Chem. Phys. Discuss., 10, 2010, pp.22369~22394.
    · Chen, X., et al., “Characteristics of atmospheric particulate mercury in size fractionated particles during haze days in Shanghai”, Atmos. Environ., 131, 2016, pp.400~408.
    · Dibble, T.S., Zelie, M.J., Mao, H., “Thermodynamics of reactions of ClHg and BrHg radicals with atmospherically abundant free radicals”, Atmos. Chem. Phys., 12, 2012, pp.10271~10279.
    · Fitzgerald, W.F., Mason, R.P., Vandal, G.M., “Atmospheric cycling and air-water exchange of mercury over mid-continental lacustrine regions”, Water Air Soil Pollut., 56, 1991, pp.745~767.
    · Goodsite, M.E., Plane, J.M.C., Skov, H., “A theoretical study of the oxidation of Hg0 to HgBr2 in the troposphere”, Environ. Sci. Technol., 38, 2004, pp.1772~1776.
    · Gratz, L.E., et al., “Oxidation of mercury by bromine in the subtropical Pacific free troposphere”, Geophys. Res. Lett., 42, 2015, pp.10494~10502.
    · Hall, B., Bloom, N.S., Munthe, J., “An experimental study of two potential methylation agents of mercury in the atmosphere: CH3I and DMS”, Water Air Soil Pollut., 80, 1995, pp.337~341.
    · Holmes, C.D., Jacob, D.J., Yang, X., “Global lifetime of elemental mercury against oxidation by atomic bromine in the free troposphere”, Geophys. Res. Lett., 33, 2006, pp.1~5.
    · Horowitz, H.M., et al., “A new mechanism for atmospheric mercury redox chemistry: implications for the global mercury budget. Atmos”, Chem. Phys. Discuss. 2017, pp.10~33.
    · Khalizov, A.F., et al., “A theoretical study on the reactions of Hg with halogens: atmospheric implications”, J. Phys. Chem., A107, 2003, pp.6360~6365.
    · Kim, K.H. and S. E. Lindberg, “Micrometeorological measurements of mercury vapor fluxes over background forest soils in eastern Tennessee”, Atmos. Environ., 29, 1995, pp.267~282.
    · Kinsey, J.S., et al., “Characterization of the fugitive mercury emissions at a chlor-alkali plant: overall study design”, Atmos. Environ., 38, 2004, 633~641.
    · Lin, C.J., Pehkonen, S.O., “The chemistry of atmospheric mercury: a review”, Atmos. Environ., 33, 1999, pp.2067~2079.
    · Lindberg, S.E., et al., “Micrometeorological gradient approach for quantifying air/surface exchange of mercury vapor: tests over contaminated soils”, Environ. Sci. Technol., 29, 1995, pp.126~135.
    · O'Driscoll, N.J., et al., “Effect of dissolved organic carbon on the photoproduction of dissolved gaseous mercury in lakes: potential impacts of forestry”, Environ. Sci. Technol., 38, 2004, pp.2664~2672.
    · Pal, B., Ariya, P.A., “Gas-phase HO-initiated reactions of elemental mercury: kinetics, product studies, and atmospheric implications”, Environ. Sci. Technol., 38, 2004, pp.5555~5566.
    · Pirrone, N., et al., “Global mercury emissions to the atmosphere from anthro -pogenic and natural sources”, Atmos. Chem. Phys. Discuss., 10, 2010, pp.4719~4752.
    · Presto, A.A., Granite, E.J., “Survey of catalysts for oxidation of mercury in flue gas”, Environ. Sci. Technol., 40, 2006, pp.5601~5609.
    · Sakata, M., Marumoto, K., “Formation of atmospheric particulate mercury in the Tokyo metropolitan area”, Atmos. Environ., 36, 2002, pp.239~246.
    · Schroeder, W.H., Munthe, J., “Atmospheric mercury - an overview”, Atmos. Environ., 32, 1998, pp.809~822.
    · Seigneur, C., et al., “Mercury adsorption to elemental carbon(soot) particles and 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Atmos. Environ., 32, 1998, pp.2649~2657.
    · Shia, R.L., et al., “Global simulation of atmospheric mercury concentrations and deposition fluxes”, J. Geophys. Res., 104, 1999, pp.23747~23760.
    · Wang, Y., et al., “Refining mercury emission estimations to the atmosphere from iron and steel production”, J. Environ. Sci., 43, 2016, pp.1~3.
    · Zhang, et al., “A review of current knowledge concerning dry deposition of atmospheric mercury” Atmos. Environ., 43, 2009, pp.5853 ~5864.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항상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학업에도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여러분께도 추천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