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론]
전국의 산야에 자리한 부지기수의 중소규모 폐기물 노천매립장과 가금류・가축류 살처 분 매립장을 발굴하여, 필요한 부문은 소각처리해야 하므로, 그 소각기술과 소각장치도 새로이 개발되어야 한다. 현재의 도시고형폐기물 소각장의 소각 시스템으로서는 그러한 노천매립 폐기물과 살처분 폐기물의 연소・소각 역할을 감당하기 어렵다는 것이 본 논 문에서도 제시되고 있으므로, 그에 필요한 이동성 내지 컨테이너-용의 소각 시스템 (mobile incineration system)을 개발해야 하고, 그에 필요한 에너지는 그 주변 산야의 바이오매스로서는 태부족이고 효율성이 낮아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 노천매립, 초기매립장, 살처분매립, 구제역, 조류독감, 재활용에너지, 매립물소각]
1. 공업화 초기 시대의 폐기물 매립
우리나라의 경우, 공업화 초기 시대는 1950~1980년의 시대로 볼 수 있다. 당시에는 서 울, 부산, 인천, 대구, 광주, 대전 등의 대도시에서도 도시고형폐기물을 넝마주의적 분리 에 의해 마구잡이로 매립했다. 특히 지방중소도시에서도 넝마주의적 분리 이외의 수단 도 없었고 폐기물 매립장의 침출수 처리시설도 거의 하지 않은 상태였다. 더군다나 읍 면 등의 소도읍 지역이나 농어촌 마을지역에서는 폐기물 매립장이 설치되지 아니하여, 집집마다 개인적으로 마을 뒤편의 골짜기나 전답의 뒷고랑 및 산과 계곡의 후미진 곳 에 각자 편리한 대로 노천 매립하거나 노천 소각하여 최종처분 했다. 이와 같은 공업화 초기시대, 무수한 폐기물의 노천매립 처분에 따른 환경오염 후유증도 이제 환경재앙의 부메랑으로 나타나기 직전의 상태에 직면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한 노천매립 폐기물 중에는 각 가정이나 공방(工房) 등에서 사용하던 잔존 유해화 학물질류와 의약물류도 포함되어 있었다. 특히 청산가리(KCN)나 시안화수소(HCN) 및 디디티(DDT: dichloro-diphenyl-trichloro-ethane) 등의 독극물류도 포함되어 있었다.
· Martin Rotheut, Peter Quicker, Energetic utilisation of refuse derived fuels from landfill mining, Waste Manage., 62, 2017, pp.101~117.
· Sathish Paulraj, et al., Gundupalli, Subrata Hait, Atul Thakur, A review on automated sorting of source-separated municipal solid waste for recycling, Waste Manage., 60, 2017, pp.56~74
· Kawai, K., Tasaki, T., Revisiting estimates of municipal solid waste generation per capita and their reliability, J. Mater. Cycles Waste Manage., 18(1), 2016, pp.1~13.
· Navid H. Jafari, Timothy D. Stark, Todd Thalhamer, Spati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elevated temperatures in municipal solid waste landfills, Waste Manage., 59, 2017, 286~301.
· C. Vrancken, P.J. Longhurst, S.T. Wagland, Critical review of real-time methods for solid waste characterisation: Informing material recovery and fuel production, Waste Manage., 61, 2017, pp.40~57.
· Honghong Shi, et al., Characterization, thermochemical conversion studies, and heating value modeling of municipal solid waste, Waste Manage., 48, 2016, pp.34~47.
· Sandra Aparcana, Approaches to formalization of the informal waste sector into municipal solid waste management systems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Review of barriers and success factors, Waste Manage., 61, 2017, pp.593~607
· Paola Giudicianni, et al., Pyrolysis for exploitation of biomasses selected for soil phytoremediation: Characterization of gaseous and solid products, Waste Manage., 61, 2017, pp.288~299.
· Krook, J., Svensson, N., Eklund, M., Landfill mining: a critical review of two decades of research. Waste Manage., 32, 2012, pp.513~520.
· T. Wolfsberger, et al., Landfill mining: resource potential of austrian landfills – evaluation and quality assessment of recovered municipal solid waste by chemical analyses. Waste Manage. Res. 33(11), 2015, pp.962~974.
· Bosmans, A., Vanderreydt, I., Geysen, D., Helsen, L., The crucial role of wasteto-energy technologies in enhanced landfill mining: a technology review. J. Cleaner Prod., 55, 2013, pp.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