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지영, “국제사회의 대북 인도적 지언의 실제와 효과성 : 탈북민의 인식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동북아논총 제78호, 2016, p. 97-99.
· 이금순, “대북 인도적 지원의 영향력 분석”, 통일연구원 연구총서, 2003, p.7-32.
· 임을출, “국제기구의 북한 지원 : 현황, 평가 및 시사점”, KDI 북한경제리뷰, Vol.10 No.4, 2008. p.19.
· 황나미, “북한주민의 공공 식량배급 수혜상황과 영양취약 아동규모추계”, 보건복지포럼-185호, 2012.03. p. 64-65.
· 김영진, “북한 인권문제의 원인과 포괄적 해법연구”, 대진대학교 대학원 : 북한학과, 2016. 2. p.18-37.
· 박지혜, “대북 인도적 지원을 담당하는 NGO 활동가의 실천적 경험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사회복지학과, 2012.8, p.12-15.
· 신희문, “대북 인도적 지원 체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 행정학과, 2012.02, p.23-24
· 정영교, “북한과 국제기구 간 갈등과 협력에 관한 연구 : 대북지원 사례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 북한학과 통일정책전공, 2007.8. p 56-.58, 65-72
· 정진선, “기근과 죽음 : 고난의 행군 시기 인민의 죽음”, 북한대학원대학교 : 사회문화 언론전공, 2015,2. p. 26-28.
· 안윤석, “북한 식량배급제 원활하지 못하다", , 노컷뉴스, 2005,11,26.
· 이철재, “지난 3일 6차 핵실험으로 만탑산 정상 고도도 낮아져…美 전문가 분석”, 중앙일보, , 2017.09.14.
· 임종빈, “FAO : 북한 식량 생산량 늘었지만 가뭄으로 여전히 부족”, KBS, , 2017.07.26.
· 정보라, “유엔개발계획 대북 지원 올해로 중단”, 자유아시아방송, 2016.08.31.
· 정용소, “정부, 국제사회통한 대북 지원 얼마나 했나 보니…1996년부터 연평균 1179.4 만 달러, 진보 정부때 월등”, 중앙일보, ,2017.09.18.
· KBS운영자, “국제사회 대북 지원 동향”, KBS 통일방송연구, , 2016,08,21.
· 네이버 지식백과, 북한의 식생활, (검색일 : 2017,10,03.)
· 세계보건기구(WHO), www.who.int, (검색일 : 2017.10.01.)
· 세계식량농업기구(FAO), www.fao.org, (검색일 : 2017.10.01.)
· 유엔개발계획(UNDP), www.undp.org, (검색일 : 2017.10.01.)
· KDI 북한경제리뷰, 제1권 8호 (서울 : 한국개발연구원, 1999), p. 5
· 북한이해, (통일부 통일교육원), 2003, p. 232
· 국제연합인도지원조정국 홈페이지, http://www.reliefweb.int (검색일 2007년 5월 21일)
· 북한 0~9세 아동의 영양 결핍 현황 출처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국제사회를 통한 한국정부의 대북 지원 현황 [자료 통일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