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파킨슨병은 신경계의 퇴행성 질환으로 중추신경계의 진행성 장애를 초래한다. 50대 이후 발생률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남녀 모두에게 발생한다. 이 병은 운동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소모성질환이고, 네 가지 대표적 증상은 안정 시 진전, 경직, 운동완만, 자세불안정이다.
1. 정의, 원인 및 병태생리
정 의: 뇌 내의 도파민 부족과 상대적으로 과도해진 콜린 작동성 자극으로 인해 운동기능장애를 보이는 신경병성 질환. 퇴행성 질환이다.
발생연령: 어느 연령에서나 발생할 수 있으나 50세 이상의 성인에서 주로 발병하며 대부분의 경우 60세 이후에 발병한다.
발생빈도: 노년기에 가장 빈번하게 신경학적 손상을 주는 질환으로 뇌졸중 다음으로 많이 나타남. 전체 인구를 대상으로 했을 때 1,000명당 1명, 65세 이후에는 100명당 1~2명의 비율로 발생한다.
병태생리:
(1) 착색된 흑질선조체(nigrostriatal) 뉴런과 뇌저신경절에 위치한 도파민을 포함하고 있는 뉴런의 점진적인 손실을 보인다. 또한 흑질(substantia nigra)의 파괴는 미상핵(caudate nucleus)과 피각(putamen)에서 정상적으로 분비하는 도파민을 감소시킨다.
(2) 도파민 및 도파민 수용체 세포의 감소와 더불어 아세틸콜린을 분비하는 뉴런은 더 활발하게 움직이고 흥분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3) 도파민과 아세틸콜린의 불균형은 수의적 움직임을 조절하는 데 영향을 미쳐 파킨슨병의 임상증상으로 나타난다.
2. 임상 증상 및 사정
증상은 도파민 생산량의 70~80%가 손실될 때 나타나기 시작하며 질환 초기에는 환자가 등, 목, 사지의 경직을 호소한다. 노인은 특히 피로, 경미한 진전, 손 움직임의 둔화 등의 초기 증상과 징후를 정상적인 노화로 간주하여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
[안정 시 진전(tremor)]
• 가장 흔히 관찰되며 약 25%의 파킨슨병 환자에게서는 그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 손과 팔에 주로 나타나고 발과 다리에 나타나기도 한다.
· 조경숙,김희경,박순옥,배영숙,황옥남,권보은,서순림,안경주,유양숙,은영(2014).제6판성인간호학상권.현문사,270-291.
· 조경숙,김희경,박순옥,배영숙,황옥남,권보은,서순림,안경주,유양숙,은영(2014).제6판성인간호학하권.현문사,508-515.
· 송경애,박형숙,홍영혜,이강이,정승교,조복희,정경옥,윤은주,김순옥,엄미란,이균은,양진향(2014).개정판최신기본간호학하권.수문사,171-277.
· 송경애,박형숙,홍영혜,이강이,정승교,조복희,정경옥,윤은주,김순옥,엄미란,이균은,양진향(2014).개정판기본간호중재와술기.수문사,14-417.
· 최영희,신경림,김옥수,고성희,공은숙,김건희,김순이,신주현,이영희,이지원,정덕유,조명옥,항은희(2015).제5판노인과건강.현문사,211-264.
· 박명화,김아린,김정선,김효정,박연환,송준아,양진향,오희영,윤숙례,이지아(2013).제3판노인간호학.정담미디어,312-455.
· 임숙빈,김선아,김성재,이숙,현명선,신성희,김석선(2015),제7판정신간호총론.수문사,175-176.
· 킴스온라인,http://www.kimsonlin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