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곽원섭, 2007, “이주민 통합 전략의 국가 간 다양성 비교 : 프랑스와 스웨덴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석사학위논문.
· 구재익, 2003, “이슬람 문화와 선교전략”, 안양대학교 신학대학원 목회학 전공 석사학위논문.
· 김경학, 2003, “인도 이주민들의 공동체 형성과 정체성 문제 ; 호주 휘지계 인도 무슬림 사회의 구성과 그 전망”, 『印度硏究』 8(2). pp.1-30.
· 김경학, 2004, “이주와 종교적 공동체: 호주의 휘지계 인도인의 라마얀 만들리를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8(4). pp.1-31.
· 김대성, 2008, “한국 사회 내 터키인 무슬림 이주자의 현황 및 사회적 조직”, 『한국이슬람학회논총』 18(3). pp.27-64.
· 김대성, 2009, “한국 사회 이주 비아랍국민(터키인과 이란인)의 문화적응에 관한 연구”, 『중동연구』 28(1). pp.1-39.
· 김대성, 2010, “이주 무슬림 2세-코슬림의 생활세계와 종교적 정체성-인도네시아 이주 무슬림 2세를 중심으로-”, 『한국이슬람학회논총』 20(3). pp.69-97.
· 김선임, 2010, “필리핀 이주노동자 공동체의 형성과정-혜화동공동체와 가톨릭을 중심으로-”, 『종교문화연구』 14. pp. 45-82.
· 김수재, 2006, “외국인 노동자의 문화적 갈등과 적응전략 : 광주외국인노동자센터 내의 인도네시아 노동자 사례”, 목포대학교 인류학과 석사학위논문.
· 김준환, 2010, “한국 내 이주무슬림의 종교와 문화번역: 파키스탄 이주노동자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사회학과 석사학위논문.
· 김효정, 2008, “한국이주 남아시아 무슬림의 현황과 집단화: 남아시아 무슬림의 에스닉 집단화에 관한 연구”, 『한국이슬람학회논총』 18(3). pp.105-146.
· 김효정, 2009, “한국이주 남아시아 남성 무슬림 근로자의 문화적응모델 연구: 혼인을 통한 문화정체성 형성의 패턴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이슬람학회논총』 19(2). pp.113-137.
· 백광현, 2008, “이슬람 바로 알기 ; 한국을 공략하는 이슬람의 포교정책”, 『활천』 Vol.6. pp.24-29.
· 설병수, 2001, “해외 이민의 명암: 호주 내 한인들의 이민동기와 실제생활”, 『재외한인연구』 11(1). pp.57-98.
· 송도영, 2007, “종교와 음식을 통한 도시공간의 문화적 네트워크: 이태원 지역 이슬람 음식점들의 사례”, 『비교문화연구』 13(1). pp.98-136.
· 송도영, 2011, “한국 내 이슬람(할랄) 음식의 소비방식과 공급체계에 대한 문화적 해석”, 『한국중동학회논총』 32(1). pp.217-249.
· 송영신, 2003, “외국인 노동자 선교 실제에 대한 연구 : 무슬림 노동자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기독교학과 석사학위논문.
· 신윤환, 1996, “인도네시아 화인들의 종교: 적응과 변용”, 『東亞 硏究』 32. pp.67-104.
· 안 신, 2008, “이슬람 다와와 기독교 선교에 대한 비교 연구-폭력과 비폭력의 경계를 중심으로-”, 『종교연구』 50. pp.219-245.
· 안 신, 2009, “영국의 이주 무슬림 공동체와 다문화주의에 대한 연구”, 『한국이슬람학회논총』 19(2). pp.139-158.
· 안정국, 2008, “한국 이주 동남아시아 무슬림의 현황과 사회적 연결망”, 『한국중동학회논총』 29(1). pp.67-91.
· 안정국, 2009, “한국 이주 인도네시아 여성 무슬림의 혼인과 정착”, 『한국중동학회논총』 30(1). pp.217-256.
· 양철준, 2006, “밴쿠버 펀잡 시크교공동체의 언어와 정체성 -모어 보존과 세대 간 전승에 있어서 종교의 역할을 중심으로-” , 『국제지역연구』 10(4). pp.153-191.
· 유명기, 1995, “재한 외국인 노동자의 문화적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인류학』 27(1). pp.145-181.
· 유왕종 외, 2010, “남아시아 출신 코슬림(Koslim)의 한국사회 정착 및 정체성 형성에 관한 연구”, 『중동연구』29(1). pp.151-186.
· 이준호, 2004, “외국인 고용 허가제 시행에 대응한 외국인 근로자 선교 전략 고찰 : 재한 방글라데시 근로자를 중심으로”,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선교학과 석사학위논문.
· 이철용, 2007, “독일의 ‘문화전쟁’과 이민자 문제”, 『한국사회과학논총』 17(1). pp.321-349.
· 이희수, 2001, “한국 이슬람의 현실과 과제”, 『韓國宗敎硏究』 3. pp.113-137.
· 이희수, 2004, “미국 무슬림의 현황과 정체성 연구”, 『한국중동학회논총』 24(2). pp.1-25.
· 이희수, 2005, “9.11 이후 미국 무슬림들의 정체성 변화에 대한 고찰”, 『한국이슬람학회논총』15(1) pp.81-105.
· 이희수 외, 2008, “서울 이태원동 일대의 이슬람 타운화 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이슬람학회논총』 18(2). pp.47-85.
· 정수일, 2003, “한국과 이슬람세계의 만남”, 『人文科學』 85. pp.241-244.
· 정원식, 2009, “재한 파키스탄 이주 근로자들에 대한 한국교회의 선교전략”, 총신대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효진, 2003, “호주 한인교회와 이민자들의 사회 문화적 적응 : 시드니 'S' 교회 사례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인류학과 석사학위논문.
· 조희선, 2008, “한국이주 아랍 무슬림의 현황과 조직화”, 『한국중동학회논총』 29(1). pp.31-66.
· 조희선, 2009, “한국 이주 아랍 무슬림의 혼인과 정착, 그리고 문화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중동학회논총』 30(1). pp.169-215.
· 조희선 외, 2008a, “한국사회 이주 무슬림 연구수행을 위한 모델연구”, 『한국이슬람학회논총』 18(1). pp.169-198.
· 조희선, 2008b, “한국사회 이주 무슬림 커뮤니티에 관한 연구 -유입, 적응, 사회적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한국중동학회논총』 27(2). pp.81-124.
· 조희선, 2009, “한국이주 무슬림의 혼인현황과 정착과정연구”, 『지중해지역연구』 11(3). pp.79-115.
· 최영길, 1997, “이슬람에서 허용된 음식과 금기된 음식”, 『인문과학연구논총』 16. pp.299-317.
· 최혜린, 2010, “한국 이주 무슬림의 어려움과 적응 양상”, 미출간보고서.
· 함한희, 1995, “한국의 외국인노동자 유입에 따른 인종과 계급문제”, 『한국문화인류학』 28(1). pp.199-221.
· 황병하, 2008, “무슬림의 한국문화수용 정도와 향후 과제 연구-이슬람권 유학생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이슬람학회논총』 18(1). pp.139-167.
· 황병하, 2009, “초기 이슬람 역사의 도시형성에서 모스크의 역할”, 『한국이슬람학회논총』 19(2). pp.203-234.
· 황병하, 2010, “아랍이슬람권 이주민의 문화접변 양상 연구- 광주지역 유학생을 중심으로 -”, 『중동문제연구』 9(2). pp.79-125.
· 황의갑, 2008, “이슬람의 성지순례에 대한 연구”, 『한국이슬람학회논총』 18(1), 33-52.
· 홍승표, 2008, “종교를 매개로 형성된 한남동 이슬람 거리와 외국인 무슬림 커뮤니티의 문화적 피난처 역할”,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석사학위논문.
· Elkhazindar, Fouad Abd El-Salam, 1985, “이슬람의 한국 전파와 韓國의 무슬림의 실태조사 : 서울 부산 광주(경기도)지역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국민윤리학과 사회학전공 석사학위논문.
· Musa, Tamer, 2006, “한국에서 무슬림으로 살아가기 : 한국 무슬림의 이슬람화 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국제학과 한국학전공 석사학위논문.
· 김일수, 1990, 『뉴욕한인사회』, 로출판.
· 양승윤 외, 2007, 『동남아의 이슬람』,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 최영길, 2000, 『라마단(하나님과 교화하는 달)』,도서출판 알림.
· 최영길 역, 『꾸란 - 의미 번역, 한국어』, 파하드 국왕 꾸란 출판청.
· 한국이슬람연구회, 2004, 『이슬람에 있어서의 단식 - Fasting in ISLAM』.
· 한국이슬람교중앙회, 『주간무슬림』.
· 한국이슬람교중앙회, 2002, 『초보자를 위한 이슬람 바로 알기』.
· 한국이슬람교중앙회, 2006, 『이슬람은? - What is Islam?』.
· 한국이슬람교중앙회, 2006, 『예배 입문 - Guide to Prayer』.
· 한국이슬람교중앙회, 2008, 『라마단과 단식 - RAMADAN&FASTING』.
· I.A.Ibrahim, 2003, 『이슬람의 이해를 돕는 간단한 삽화 안내서』.
· 유달승, 2001, 이달의 세계축제 : 동양 : 라마단(Ramadan)축제, 국제지역정보, 5(10).
· 영삼성: 내삶의 Pathfinder(http://www.youngsamsung.com).
· 이슬람으로 하나되는 세계(http://cafe.daum.net/islamworld).
· 전주이슬람성원홈페이지(http://www.quran.or.kr/).
· 한국이슬람교중앙회홈페이지(http://www.koreaislam.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