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이슬람시리즈> 무슬림이라면 지켜야 할 이슬람의 다섯기둥, 하루 5번의 예배

무슬림의 다섯의무 중 예배와 관련된 내용으로 이슬람식 예배방법과 유의사항, 한국에서의 변화과정 등을 담고 있습니다.
15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7.10.27 최종저작일 2012.02
15P 미리보기
&lt;이슬람시리즈&gt; 무슬림이라면 지켜야 할 이슬람의 다섯기둥, 하루 5번의 예배
  • 미리보기

    소개

    무슬림의 다섯의무 중 예배와 관련된 내용으로 이슬람식 예배방법과 유의사항, 한국에서의 변화과정 등을 담고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예배(Salat)
    1) 예배의 시간 및 방법
    2) 예배장소
    3) 예배 시 남녀 공간의 분리

    3.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들어가는 말
    무슬림은 하나님(알라, Allah)을 믿고 그의 뜻에 순종하며 살아감을 추구한다. 이를 위해 무슬림이라면 반드시 지켜야 할 ‘이슬람의 다섯 기둥(Five Pillars of Islam)'이 있다. ’이슬람의 다섯 기둥은‘ 신앙의 증언(샤하다, Shahadah), 하루 5번의 예배(쌀라, Salat),가난한 사람들에게 희사(자카트, Zakat), 라마단 달의 단식(씨얌, Siyam 혹은 싸움, Sawm) 끝으로 경제적ㆍ신체적 조건이 갖춰졌을 때 일생에 한 번 행하는 성지순례(하지, Hajj)로 이뤄진다.
    ’이슬람의 다섯 기둥‘은 무슬림이 된 후 죽을 때까지 행해야 하는 의무이자 무슬림으로서 종교적 정체성의 근간을 이루는 행위라 할 수 있다. 무슬림은 “아슈하두 알라 일라-하 일랄라”(알라 외에 신은 없다), 와 “아슈하두 안나 무함마단 라수-룰라”(무함마드는 신의 사자이다)라는 신앙의 증언을 통해 하나님(알라)과 마지막 선지자 무함마드에 대한 믿음을 표하면서 무슬림으로서 정체성을 갖추게 된다. 신앙의 증언은 비무슬림이 이슬람으로 개종할 때 하는 구절이기도 하지만 일상생활 중에서도 자주하는 말로, 이는 무슬림이 스스로 신에 대한 믿음을 끊임없이 재인식하는 행위이기도 하다. 무슬림은 그의 삶 속에서 나머지 4가지 기둥을 실천한다. 그 중 단식이나 성지순례는 일 년 중 특정기간에 행해진다면 예배는 일상생활에서 끊임없이 이뤄지는 의례이다.

    2. 예배(Salat)
    1) 예배의 시간 및 방법
    무슬림은 새벽부터 밤까지 하루에 걸쳐 총 5번 예배를 드린다. 5번의 예배는 각각 파즈르(새벽예배, Fajr), 주흐르(낮예배, Zuhr), 아쓰르(오후예배, Asr), 마그립(저녁예배, Magrib), 이샤(밤예배, Isha)로 태음력인 이슬람력에 따라 그 시간이 일정하지 않으나 새벽예배는 약 새벽 4시경, 낮 예배는 약 정오 1시경, 오후 예배는 약 오후 4시경, 저녁 예배는 약 오후 7시경, 저녁 예배는 약 오후 9시 경에 드린다.

    참고자료

    · 곽원섭, 2007, “이주민 통합 전략의 국가 간 다양성 비교 : 프랑스와 스웨덴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석사학위논문.
    · 구재익, 2003, “이슬람 문화와 선교전략”, 안양대학교 신학대학원 목회학 전공 석사학위논문.
    · 김경학, 2003, “인도 이주민들의 공동체 형성과 정체성 문제 ; 호주 휘지계 인도 무슬림 사회의 구성과 그 전망”, 『印度硏究』 8(2). pp.1-30.
    · 김경학, 2004, “이주와 종교적 공동체: 호주의 휘지계 인도인의 라마얀 만들리를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8(4). pp.1-31.
    · 김대성, 2008, “한국 사회 내 터키인 무슬림 이주자의 현황 및 사회적 조직”, 『한국이슬람학회논총』 18(3). pp.27-64.
    · 김대성, 2009, “한국 사회 이주 비아랍국민(터키인과 이란인)의 문화적응에 관한 연구”, 『중동연구』 28(1). pp.1-39.
    · 김대성, 2010, “이주 무슬림 2세-코슬림의 생활세계와 종교적 정체성-인도네시아 이주 무슬림 2세를 중심으로-”, 『한국이슬람학회논총』 20(3). pp.69-97.
    · 김선임, 2010, “필리핀 이주노동자 공동체의 형성과정-혜화동공동체와 가톨릭을 중심으로-”, 『종교문화연구』 14. pp. 45-82.
    · 김수재, 2006, “외국인 노동자의 문화적 갈등과 적응전략 : 광주외국인노동자센터 내의 인도네시아 노동자 사례”, 목포대학교 인류학과 석사학위논문.
    · 김준환, 2010, “한국 내 이주무슬림의 종교와 문화번역: 파키스탄 이주노동자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사회학과 석사학위논문.
    · 김효정, 2008, “한국이주 남아시아 무슬림의 현황과 집단화: 남아시아 무슬림의 에스닉 집단화에 관한 연구”, 『한국이슬람학회논총』 18(3). pp.105-146.
    · 김효정, 2009, “한국이주 남아시아 남성 무슬림 근로자의 문화적응모델 연구: 혼인을 통한 문화정체성 형성의 패턴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이슬람학회논총』 19(2). pp.113-137.
    · 백광현, 2008, “이슬람 바로 알기 ; 한국을 공략하는 이슬람의 포교정책”, 『활천』 Vol.6. pp.24-29.
    · 설병수, 2001, “해외 이민의 명암: 호주 내 한인들의 이민동기와 실제생활”, 『재외한인연구』 11(1). pp.57-98.
    · 송도영, 2007, “종교와 음식을 통한 도시공간의 문화적 네트워크: 이태원 지역 이슬람 음식점들의 사례”, 『비교문화연구』 13(1). pp.98-136.
    · 송도영, 2011, “한국 내 이슬람(할랄) 음식의 소비방식과 공급체계에 대한 문화적 해석”, 『한국중동학회논총』 32(1). pp.217-249.
    · 송영신, 2003, “외국인 노동자 선교 실제에 대한 연구 : 무슬림 노동자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기독교학과 석사학위논문.
    · 신윤환, 1996, “인도네시아 화인들의 종교: 적응과 변용”, 『東亞 硏究』 32. pp.67-104.
    · 안 신, 2008, “이슬람 다와와 기독교 선교에 대한 비교 연구-폭력과 비폭력의 경계를 중심으로-”, 『종교연구』 50. pp.219-245.
    · 안 신, 2009, “영국의 이주 무슬림 공동체와 다문화주의에 대한 연구”, 『한국이슬람학회논총』 19(2). pp.139-158.
    · 안정국, 2008, “한국 이주 동남아시아 무슬림의 현황과 사회적 연결망”, 『한국중동학회논총』 29(1). pp.67-91.
    · 안정국, 2009, “한국 이주 인도네시아 여성 무슬림의 혼인과 정착”, 『한국중동학회논총』 30(1). pp.217-256.
    · 양철준, 2006, “밴쿠버 펀잡 시크교공동체의 언어와 정체성 -모어 보존과 세대 간 전승에 있어서 종교의 역할을 중심으로-” , 『국제지역연구』 10(4). pp.153-191.
    · 유명기, 1995, “재한 외국인 노동자의 문화적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인류학』 27(1). pp.145-181.
    · 유왕종 외, 2010, “남아시아 출신 코슬림(Koslim)의 한국사회 정착 및 정체성 형성에 관한 연구”, 『중동연구』29(1). pp.151-186.
    · 이준호, 2004, “외국인 고용 허가제 시행에 대응한 외국인 근로자 선교 전략 고찰 : 재한 방글라데시 근로자를 중심으로”,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선교학과 석사학위논문.
    · 이철용, 2007, “독일의 ‘문화전쟁’과 이민자 문제”, 『한국사회과학논총』 17(1). pp.321-349.
    · 이희수, 2001, “한국 이슬람의 현실과 과제”, 『韓國宗敎硏究』 3. pp.113-137.
    · 이희수, 2004, “미국 무슬림의 현황과 정체성 연구”, 『한국중동학회논총』 24(2). pp.1-25.
    · 이희수, 2005, “9.11 이후 미국 무슬림들의 정체성 변화에 대한 고찰”, 『한국이슬람학회논총』15(1) pp.81-105.
    · 이희수 외, 2008, “서울 이태원동 일대의 이슬람 타운화 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이슬람학회논총』 18(2). pp.47-85.
    · 정수일, 2003, “한국과 이슬람세계의 만남”, 『人文科學』 85. pp.241-244.
    · 정원식, 2009, “재한 파키스탄 이주 근로자들에 대한 한국교회의 선교전략”, 총신대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효진, 2003, “호주 한인교회와 이민자들의 사회 문화적 적응 : 시드니 'S' 교회 사례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인류학과 석사학위논문.
    · 조희선, 2008, “한국이주 아랍 무슬림의 현황과 조직화”, 『한국중동학회논총』 29(1). pp.31-66.
    · 조희선, 2009, “한국 이주 아랍 무슬림의 혼인과 정착, 그리고 문화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중동학회논총』 30(1). pp.169-215.
    · 조희선 외, 2008a, “한국사회 이주 무슬림 연구수행을 위한 모델연구”, 『한국이슬람학회논총』 18(1). pp.169-198.
    · 조희선, 2008b, “한국사회 이주 무슬림 커뮤니티에 관한 연구 -유입, 적응, 사회적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한국중동학회논총』 27(2). pp.81-124.
    · 조희선, 2009, “한국이주 무슬림의 혼인현황과 정착과정연구”, 『지중해지역연구』 11(3). pp.79-115.
    · 최영길, 1997, “이슬람에서 허용된 음식과 금기된 음식”, 『인문과학연구논총』 16. pp.299-317.
    · 최혜린, 2010, “한국 이주 무슬림의 어려움과 적응 양상”, 미출간보고서.
    · 함한희, 1995, “한국의 외국인노동자 유입에 따른 인종과 계급문제”, 『한국문화인류학』 28(1). pp.199-221.
    · 황병하, 2008, “무슬림의 한국문화수용 정도와 향후 과제 연구-이슬람권 유학생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이슬람학회논총』 18(1). pp.139-167.
    · 황병하, 2009, “초기 이슬람 역사의 도시형성에서 모스크의 역할”, 『한국이슬람학회논총』 19(2). pp.203-234.
    · 황병하, 2010, “아랍이슬람권 이주민의 문화접변 양상 연구- 광주지역 유학생을 중심으로 -”, 『중동문제연구』 9(2). pp.79-125.
    · 황의갑, 2008, “이슬람의 성지순례에 대한 연구”, 『한국이슬람학회논총』 18(1), 33-52.
    · 홍승표, 2008, “종교를 매개로 형성된 한남동 이슬람 거리와 외국인 무슬림 커뮤니티의 문화적 피난처 역할”,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석사학위논문.
    · Elkhazindar, Fouad Abd El-Salam, 1985, “이슬람의 한국 전파와 韓國의 무슬림의 실태조사 : 서울 부산 광주(경기도)지역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국민윤리학과 사회학전공 석사학위논문.
    · Musa, Tamer, 2006, “한국에서 무슬림으로 살아가기 : 한국 무슬림의 이슬람화 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국제학과 한국학전공 석사학위논문.
    · 김일수, 1990, 『뉴욕한인사회』, 로출판.
    · 양승윤 외, 2007, 『동남아의 이슬람』,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 최영길, 2000, 『라마단(하나님과 교화하는 달)』,도서출판 알림.
    · 최영길 역, 『꾸란 - 의미 번역, 한국어』, 파하드 국왕 꾸란 출판청.
    · 한국이슬람연구회, 2004, 『이슬람에 있어서의 단식 - Fasting in ISLAM』.
    · 한국이슬람교중앙회, 『주간무슬림』.
    · 한국이슬람교중앙회, 2002, 『초보자를 위한 이슬람 바로 알기』.
    · 한국이슬람교중앙회, 2006, 『이슬람은? - What is Islam?』.
    · 한국이슬람교중앙회, 2006, 『예배 입문 - Guide to Prayer』.
    · 한국이슬람교중앙회, 2008, 『라마단과 단식 - RAMADAN&FASTING』.
    · I.A.Ibrahim, 2003, 『이슬람의 이해를 돕는 간단한 삽화 안내서』.
    · 유달승, 2001, 이달의 세계축제 : 동양 : 라마단(Ramadan)축제, 국제지역정보, 5(10).
    · 영삼성: 내삶의 Pathfinder(http://www.youngsamsung.com).
    · 이슬람으로 하나되는 세계(http://cafe.daum.net/islamworld).
    · 전주이슬람성원홈페이지(http://www.quran.or.kr/).
    · 한국이슬람교중앙회홈페이지(http://www.koreaislam.org/).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체계적인 구성으로 되어 있어 복잡한 내용을 과제에 쉽게 활용 할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좋은 자료들이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