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천식 자기관리 중재의 필요성
천식은 기도의 만성적 알레르기 염증 질환이다. 기도 염증은 기도과민증을 일으키고 반복적인 천명, 기침, 호흡 곤란, 흉통 등의 증상을 불러온다. 기류 장애의 급성 증상은 대부분 가역적이어서 자연적으로 또는 치료에 의해 회복될 수 있다. 그러나 나빠진 폐기능은 정상적으로 돌아오지 않은 기도 개형으로 알려지면서 천식은 일부 부분적으로 비가역적인 기류제한으로 변경되었다. 따라서 천식은 질병 발병 초기에 치료해야 폐기능을 정상적으로 회복할 수 있다. 경증 천식이라도 흡입용 스테로이드를 사용한 적극 치료를 해야 하고 이를 상당기간 유지해야 한다(이영민, 2012).
천식을 비롯한 만성 폐쇄성 질환은 증상의 악화와 완화가 반복되고 호흡기 증상 외 피로, 수면장애와 같은 전신적 증상이 있다. 호흡곤란은 만성 폐쇄성 질환자가 가장 자주 호소하는 증상으로 기침과 객담을 동반한다. 천식 환자는 증상이 삶의 질과 관련이 깊다. 삶의 질은 주관적인 것으로 같은 질환의 환자라도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질병의 호전만이 아닌 건강 관련 삶의 질을 증진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천식은 장기적인 약물 요법과 환경요법으로 조절이 가능한 만성 질환이다. 천식 조절을 위해 흡입 스테로이드를 치료를 시행하고 환자 교육 및 의료진과 환자가 동반자적 관계를 형성하면 치료 순응도를 높여야 한다. 천식은 다른 만성 질환과 다르게 치료제로 흡입제를 사용한다. 흡입기는 최소의 약물을 직접 기도 내 전달하여 전신 부작용을 최소화하여 정확하고 빠른 약물 치료 효과를 갖는다(이종경, 2010).
천식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국내에서는 소아 천식이 증가 주체를 보인다. 천식은 남녀노소 발생할 수 있으며 소아에서 유병율이 높고 청장년에서 낮아지다가 노인에서 다시 높아진다. 천식은 대표적인 알레르기질환으로 사망과 입원 및 응급실 방문의 증가, 학교 결석, 성인의 직장 결근 등의 주요 원인이 된다.
· Bandura, A. (1998). Health promo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cognitive theory. Psychology & Health. 13(4):623-649.
· Cabana, M.D., Ebel, B.E., Rand, C.S., Rubin, H.R., Powe, N.R., & Cooper-Patrick, L. (2000). Barriers pediatricians face when using asthma practice guidelines. Archives of Pediatrics & Adolescent Medicine, 154(7), 685-693.
· Heydari, H., Dolatshahi, B., Mahdaviani, A., & Eslaminejad, A. (2015). Asthma Control on the Basis of Perceived Stress, Locus of Control, and Self-efficacy in Patients with Adult Asthma. Practice in Clinical Psychology, 3(2), 137-143.
· Park BH. Relationship between self care (health promoting behavior, self efficacy, drug compliance) and fatigue in pulmonary tuberculosis patients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7. p. 1-56.
· Segall, N., Segal, A.T., Schenkel, E.J., Scardella, A.T., Pearlman, E., Mllnk, Z., Lumry, W., Lawrence, M., Lapidus, R.J., Lampl, K.L., Hannaway, P.J., Gottschlich, G.M., Goldsobel, A., Friedman, B.F., Floreani, A., & Feinstein, B. (2000). Once-daily mometasone furoate dry powder inhaler in the treatment ofpatients with persistent asthma. Annals of Allergy, Asthma, & Immunology, 84(4), 417-424.
· Womble, C. (2012). Bandura's Self-efficacy Theory in Asthma Compliance.
· 김채봉, 한민경, 정미선, 최보영, 최길용, & 김무영. (2015). 성인 천식환자의 자가관리교육 중재의 효과 메타분석. 보건의료산업학회지, 9(3), 175-185.
· 서강진․김건하․유병근․여윤구․김종훈․심으뜸․윤미리․유영․정지태. (2008). 천식 환아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한 집중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51(2).
· 이영민(2012). 만성폐쇄성폐질환 및 천식환자의 관리.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39.
· 이종경(2010). 천식 환자를 위한 흡입기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20(2), 203.
· 이종경, 양영희 (2010). 천식 환자를 위한 흡입기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2), 202-212.
· 임소연 (2014). 천식관리 교육 프로그램이 학령전기 아동의 천식치료 적응에 미치는 효과.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4(2), 189-197.
· 장윤석 (2012). 한국 천식 성인 진료 지침.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199-201.
· 질병예방센터 만성병조사과 (2009). 지역사회 내 효과적인 아토피 천식 프로그램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