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동해 메탄 하이드레이트 생산 시스템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해양플랜트개론 과목 기말과제입니다. A+ 받았습니다. 동해 메탄 하이드레이트 생산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입니다.
56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7.03.23 최종저작일 2010.12
56P 미리보기
동해 메탄 하이드레이트 생산 시스템 연구
  • * 본 문서는 한글 2005 이상 버전에서 작성된 문서입니다. 한글 2002 이하 프로그램에서는 열어볼 수 없으니, 한글 뷰어프로그램(한글 2005 이상)을 설치하신 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한국해양대학교 해양플랜트개론 과목 기말과제입니다. A+ 받았습니다.
    동해 메탄 하이드레이트 생산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입니다.

    목차

    1. 서 론

    2. 메탄 하이드레이트
    2.1. 메탄 하이드레이트 개요
    2.2. 국내외 메탄 하이드레이트 분포
    2.2.1. 국내외 메탄 하이드레이트 분포
    2.2.2. 세계 메탄 하이드레이트 분포
    2.2.3. 국내 메탄 하이드레이트 분포

    3. 메탄 하이드레이트 생산기술
    3.1. 메탄 하이드레이트 생산기술 개요
    3.2. 해리를 통한 메탄 하이드레이트 생산 기술
    3.2.1. 감압법(Depressurization Method)
    3.2.2. 열주입법(Thermal Method)
    3.2.3. 억제제 주입법(Inhabitation Injection)
    3.2.4. 염수 주입법(Brine Injection)
    3.2.5. 염분 파쇄법(Salt-Fracture Method)
    3.2.6. 연소법(Combustion)
    3.2.7. 치환기법(Replacements/Swapping Method)
    3.3. 해외 메탄 하이드레이트 생산기술 개발현황
    3.3.1. 러시아 메소야카(Messoyakkha) 가스전
    3.3.2. 케나다의 Mallik Project
    3.3.3. 멕시코 만(Gulf of Mexico; GOM) JIP(Joint Industry progra)
    3.3.4. 알라스카 프로젝트
    3.4. 국내 메탄 하이드레이트 생산기술 개발현황

    4. 해양 플랜트 구조물
    4.1. 자원 개발 해양 플랜트 개요
    4.2. 고정식 해양 플랜트 구조물
    4.2.1. 매립식 인공섬
    4.2.2. 착저식 케이슨 구조물
    4.2.3. 자켓 구조물
    4.2.4. 갑판 승강식 구조물
    4.2.5. 콘크리트 중력식 구조물
    4.3. 부유식 해양 플랜트 구조물
    4.3.1. 폰툰 구조물
    4.3.2. 반잠수식 구조물
    4.3.3. SPAR 구조물
    4.3.4. 시추모선(Drill ship)
    4.3.5.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4.4. 하이브리드식 해양 플랜트 구조물
    4.4.1. 인장각식 구조물(TLP : tension leg platform)
    4.4.2. 유연식 구조물(Compliant Structures)

    5. 동해 메탄 하이드레이트 생산 시스템
    5.1. 치환법을 이용한 동해 메탄 하이드레이트 생산
    5.1.1. 치환법 선택의 이유
    5.1.2. 순환 생산 시스템
    5.2. 동해 메탄 하이드레이트 생산 해양 플랜트 구조물
    5.2.1. 해양 플랜트 선정시 고려해야 할 사항
    5.2.2. 플랜트 구조물 선정
    5.2.3. 동해 메탄 하이드레이트 생산 플랜트 구조물 제원 및 모델링
    5.3. 동해 메탄 하이드레이트 생산 시스템

    6. 결 론

    참 고 문 헌
    부록(연구일정)

    본문내용

    전 세계는 지금 자원 전쟁이라고 할 만큼 경쟁적으로 에너지 자원 확보에 나서고 있다. 이는 전 세계 에너지 소비 비율 중 85%가 넘는 비율을 차지하는 화석에너지 자원의 고갈에 그 이유가 있다(Fig. 1-1). 40∼50년 사이에 석유가 고갈되고, 금세기 안에 모든 화석에너지 자원이 고갈 될 것으로 예측되면서 에너지난을 가속화 시키고 있다. 여러 가지 기술의 발전으로 새로운 매장량을 발견하고 개발 가능한 자원 양을 확보 할 수 있다고는 하지만 한계에 부딪힐 수밖에 없고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한다. 때문에 각국이 앞 다투어 기존의 화석 에너지 자원을 대체할 자원을 찾기 위해 심혈을 기울이고 있고 여러 가지 에너지 자원들이 후보로 올라와 있다.
    여러 대체 에너지 자원 후보 중에 크게 주목받는 것이 바로 메탄 하이드레이트다. 메탄 하이드레이트는 저온 고압상태에서 메탄이 물과 함께 섞여 얼음과 같은 형태로 저장 된 것을 말하는데 전 세계적으로 분포 되어 있는 막대한 양이 매장 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대략 10조톤 정도로 예상되는데 이는 현재 확인된 천연가스 매장량의 25배가 넘고 개발하고 있는 전체 화석에너지의 두 배에 가까운 양이다. 그리고 천연가스나 석유처럼 특정 지역에만 매장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전 세계 해양에 걸쳐 고루 분포되어 있다. 또한 연소 시 석탄, 석유에 비해 대표적인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적게 배출하는 환경 친화적인 특성도 가지고 있어 지구 온난화 문제가 큰 이슈로 대두되는 21세기의 새로운 청정에너지로서의 잠재력이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메탄 하이드레이트는 동해지역에도 대규모로 매장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그 추정 양은 최소 약 6억 톤 이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국내에서 소비되는 석유・천연가스 등과 같은 화석연료의 97%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현실에서 이런 미래형 청정에너지, 메탄 하이드레이트가 대규모로 매장되어 있다는 소식은 매우 희망적이다.

    참고자료

    · 최 경식, 2010, 해양플랜트 개론, 문우당, 서울.
    · 박근필, 2008, “가스하이드레이트 개발,”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지, Vol. 45, No. 5, pp. 590-600.
    · 박승철, 2008, "가스하이드레이트의 성공적 개발을 위한 개술정책 연구“
    · 서유택, 2005, “가스하이드레이트 : 차세대 에너지 자원으로의 가치, 현황, 그리고 전망”
    · 이재욱, 2010, “가스하이드레이트 개발 국제 동향과 특허 분석”,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지, Vol. 47, No. 4 (2010), pp. 464-474
    · 이재형, 2009, “다공성 매질에서 가스하이드레이트 치환생산기법 이용 시 배가스 주입유속 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지, Vol. 46, No. 1 (2009), pp.79-86
    · 이정환, 2009, “가스하이드레이트 생산기술 개발 현황 및 미래 전망”,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지, Vol. 46, No. 3 (2009), pp. 387-401
    · 이정환, 2009, “에너지자원으로서의 가스하이드레이트 개발가능성 및 가치”,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지, Vol. 46, No. 4 (2009), pp. 490-497
    · 이흔, 2005, “치환기법을 이용환 가스하이드레이트 생산기술 연구”
    · 허대기, 2005, “가스하이드레이트 개발 연구”
    · 허대기, 2005, “가스하이드레이트 기술 개발 현황”
    · Bayles, G.A., Sawyer, W.K., Anada, H.R., Reddy, S. and Malone, R.D., 1986, “Steam Cyclic Model for Gas Production from a Hydrate Reservoir,” Chem. Eng. Comm., Vol. 47, No. 2, pp. 225-245.
    · Collett, T. S., 1996, “Geologic Assessment of the Natural Gas Hydrate Resources in the Onshore and Offshore Regions of the United States”, Proc. of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Natural Gas Hydrates, Toulouse, France, 2-6 June, pp. 499-506.
    · Collett, T. S., 2003, “Geologic Characterization of the Eileen and Tarn Gas Hydrate Accumulations on the North Slope of Alaska”, Presentation of DOE Methane Hydrate R&D Conference, Westminster, Colorado, 29-30, September.
    · Dallimore, S. R., and Collett, T. S. (Eds.), 2005, “Scientific Results from the Mallik 2002 Gas Hydrate Production Research Well Program”, Mackenzie Delta, Northwest Territories, Canada. Bull.—Geol. Surv. Canada, 585.
    · DOE, 2006, “An Interagency Roadmap for Methane Hydrate Research and Development”, Report in www.netl.doe.gov.
    · DOE, 2007, “An Interagency Five-year Plan for Methane Hydrate Research and Development FY2007-FY2011”, Report in www.netl.doe.gov.
    · Guo, T.-M., Wu, B.-H., Zhu, Y-H., Fan, S.-S., and Chen, G.-J., 2004, “Review on the Gas Hydrate Research in China”, JPSE, Vol. 41, No. 1, pp. 11-20.
    · Hunter, R. B., 2003, “Natural Gas Hydrate Characterization - Prudhoe Bay”, Presentation of DOE Methane Hydrate R&D Conference, Westminster, Colorado, 29-30 September.
    · Ji, C., Ahmadi, G., and Smith, D. H., 2001, “Natural Gas Production from Hydrate Decomposition by Depressurization”, Chem. Eng. Sci., Vol. 56, No. 20, pp. 5801-5814.
    · Jones, E., 2006, “Characterizing Natural Gas Hydrates in the Deep Water Gulf of Mexico: Applications for Safe Exploration and Production Activities”, Semi-annual report, DOE Award Number: DE-FC26-01NT41330.
    · Kamath, V. A. and Godbole, S. P., 1987, “Evaluation of Hot Brine Stimulation Technique for Gas Production From Natural Gas Hydrates”, JPT, Vol. 39, No. 11, pp. 1379-1388.
    · Kvenvolden, K. A. and Lorenson, T. D., 2001, “The Global Occurrence of Natural Gas Hydrates”, In: Natural Gas Hydrates - Occurrence, Distribution, and Detection, pp. 3-18., Charles K. P. and William P. D. (Eds), AGU Geophysical Monograph Series, Volume 124, American Geophysical Union, Washington, DC.
    · Makogon, Y. F., 1997, Hydrate of Hydrocarbons, Pen Well Books, Tulsa, Oklahoma.
    · Michael D. M., Arthur H. J., and William P. D., 2006, Economic Geology of Natural Gas Hydrate, Springer, Netherlands.
    · Satoh, M., Maekawa, T., and Okuda, Y., 1996, “Estimation of Amount of Methane and Resources of Natural Gas Hydrates in the World and around Japan”, J. of GSJ, Vol. 102, pp. 959-971.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를 통해 새로운 지식과 통찰을 얻을 수 있었고, 과제를 를 보완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