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노인복지] 노인정신건강 기말보고서 - 노년과 청년의 발달과업에 따른 삶의 만족 기준의 차이

"[노인복지] 노인정신건강 기말보고서 - 노년과 청년의 발달과업에 따른 삶의 만족 기준의 차이 "에 대한 내용입니다.
6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7.01.15 최종저작일 2016.06
6P 미리보기
[노인복지] 노인정신건강 기말보고서 - 노년과 청년의 발달과업에 따른  삶의 만족 기준의 차이
  • * 본 문서는 한글 2005 이상 버전에서 작성된 문서입니다. 한글 2002 이하 프로그램에서는 열어볼 수 없으니, 한글 뷰어프로그램(한글 2005 이상)을 설치하신 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목차

    1. 서론

    2. 삶의 만족의 개념

    3. 삶의 만족의 다차원성

    4. 청년층과 노년층 인터뷰 요약
    1) 청년기 삶의 만족의 기준
    2) 노년기 삶의 만족의 기준

    5. 연령별 삶의 만족의 기준의 차이

    6.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삶의 만족에 있어서 과거에는 장수(長壽)하는 것을 행복의 기준으로 삼았다면 지금은 오랜 삶을 사는 것보다 어떠한 삶을 살고 있는지, 삶의 양이 아닌 삶의 질을 통한 만족감을 중요시한다. 따라서 삶의 의미와 만족을 질적인 면에서 찾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국내의 삶의 의미에 의한 만족에 관한 연구들에서 삶의 의미를 연령 별로 비교하는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일반적으로 삶의 의미는 나이가 어린 집단보다는 나이든 집단에서 더 큰 역할을 한다(Wong & Fry, 1998)고 알려져 왔다. 연령에 따른 삶의 의미의 차이에 대한 연구는 최근 연구에서 특히 흥미로운 주제 중의 하나이다. 외국에서는 이와 관련된 많은 연구들이 있어왔지만 연구들의 결과는 일관성이 없다.
    여러 연구들은 나이가 들수록 삶의 의미가 증가한다고 일반적인 가설을 통해 지지해 왔으나(Dittmann-Kohli & Westerhof, 2000; Van Ranst & Marcoen, 1997), 또 다른 연구들에서는 삶의 의미에 있어 연령 차이가 없거나(Debats et al., 1993; Reker & Fry, 2002), 오히려 나이가 들수록 삶의 만족이 저하되는 결과도 보고되었다(Ryff & Keyes, 1995).
    이처럼 국내에서는 연령 별로 삶의 만족을 비교하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외국에서의 연구 결과들은 일관되지 않으므로, 우리나라 사람들의 연령에 따른 삶의 만족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노인과 청년의 삶의 만족의 기준을 함께 알아봄으로써 노인과 청년이 생각하고 만족하는 방식이 어떻게 다른지 모색해보고, 두 대상이 서로 소통하고 이해하는 태도를 갖게 한다는 것에 함의를 갖는다. 보통 청년들은 노인을 부담스러워 하고 어렵게 느끼며, 노인도 스스로가 청년들에게 부담스러운 존재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이러한 사고를 개선시키려는 노력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매우 의미 있는 작업으로 사료된다.

    참고자료

    · 공수자, 김현숙, 하미옥(2005).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 예측요인, 성인간호학회지, 17(3), 368-378
    · 김흥규․유현정(2004). 한국 성인의 삶의 질 척도개발과 집단별 비교연구, 한국성인교육학회, 7(3), 65-101.
    · 박아청(2007). 에릭슨의 인간형성론의 발달이론적 구조에 관한 일고찰, 사회과학논총, 26(2), 143-163.
    · 박영신․김의철․박영균(2010). 세대 차이와 갈등은 삶의 질을 낮추는가? 자기효능감의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9(1), 533-559.
    · 장우귀․김의철․박영신(2007).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502-503.
    · Andrews, F. M. and Robinson J. P.(1991). Measure of subjective well-being, Measures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ical Attitudes. London : Academic Press.
    · Debats, D. L., van der Lubbe, P. M., & Wezeman, F. R. A. (1993). On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Life Regard Index (LRI): A measure of meaningful life. Personality and Induvidual Differences 14: 337-345.
    · Dittmann-Kohli, F., & Westerhof, G. J. (2000). The personal meaning system in a life-span perspective. In G. T. Reker & K. Chamberlain(Eds.), Exploring existential meaning: Optimizing human development across the life span,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107-122.
    · Reker, G. T., & Fry, P. S. (2002). Factor structure and invariance of personal meaning measures in cohorts of younger and older adul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5: 977-993.
    · Ryff, C. D., & Keyes, C. L. M. (1995).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Revisite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 719-727.
    · Schalock, Robert L. (2000). Three Decades of Quality of Life. Focus on Autism and Other Developmental Disabilities, 15(2): 116-127.
    · Van Ranst, N., & Marcoen, A. (1997). Meaning in life of young and elderly
    · adults: An examination of the factorial validity and invariance of the life
    · regard index.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2: 877-884.
    · Wong, P. T. P., & Fry, P. S. (1998). The human quest for meaning: A handbook of psychological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 Mahwah, NJ: Erlbaum.
  • 자료후기

    Ai 리뷰
    매번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어 지식의 폭이 넓어지는 기분입니다. 지식판매자 덕분에 많은 것을 배우고 있습니다. 정말 추천하고 싶습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1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