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손씻기의 중요성 report (blood agar plate 실험결과사진포함)

"손씻기의 중요성 report (blood agar plate 실험결과사진포함)"에 대한 내용입니다.
5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6.12.23 최종저작일 2016.03
5P 미리보기
손씻기의 중요성 report (blood agar plate 실험결과사진포함)
  • * 본 문서는 한글 2005 이상 버전에서 작성된 문서입니다. 한글 2002 이하 프로그램에서는 열어볼 수 없으니, 한글 뷰어프로그램(한글 2005 이상)을 설치하신 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목차

    Ⅰ. 서론
    Ⅱ. 실험일시
    Ⅲ. 실험장소
    Ⅳ. 실험방법
    Ⅴ. 실험결과
    Ⅵ. 결과분석
    Ⅶ. 결론
    Ⅷ. 참고문헌

    본문내용

    서론
    우리의 신체에는 머리끝부터 발끝까지 수많은 세균들이 살고 있다. 우리 몸은 약 60조에서 100조 개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몸 속 세균의 수는 적어도 이 숫자의 10배가량 많다고 한다. 건강한 사람의 몸에도 수많은 세균이 살고 있다. 피부, 구강, 비강, 소화기관 등에는 정상균들이 존재한다. 정상균 무리는 다른 병원균의 침입을 방지해주면서 인체의 정상적 기능 유지에 도움을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정상균은 Staphylococcus aureus (황색포도알균)으로 피부와 코인두에 존재한다. 그람 양성균에 속하는 황색포도알균은 황색을 띈 화농성 병원균이다. S.aureus는 β-hemolysis를 유발하여 RBC가 하얗게 되도록 하며, 병원성이 강한편에 속한다. S.aureus가 인체에 감염이 된 후에는 집락을 이루고 있다가 수술 상처나 봉합선과 같은 체내 이물질, 흉터 등이 생기면 피부를 통과하여 인체 내부로 침범한 뒤 독소 작용을 일으킨다. 포도상 구균이 갖는 내독소(enterotoxin)는 식중독의 중요한 원인균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이뿐만 아니라 S. aureus는 피브린을 응고시켜 응괴를 만드는 응고효소(Coagulase)를 생산할 수 있다. 응고효소에 의해 만들어진 혈괴는 세균세포 주위에 피브린 축적을 일으켜서 식균작용과 같은 숙주 방어체계들에 대해 저항할 수 있게 된다. 그 후, 심한 염증반응, 종기, 여드름을 유발하고 피부 또는 조직의 국소감염 및 중심성 괴사를 일으킨다. 감염이 더욱 악화되고 전파될 경우 균혈증과 같은 전이성 감염을 일으켜 골수염, 폐렴, 농흉, 뇌막염, 심내막염을 유발할 수 있다. 면역력이 약해진 사람이나 세균이 번식하기 좋은 조건을 지닌 사람에게 침투하므로 기회감염이 되지 않도록 평소에 손 씻기와 소독을 통해 항상 예방해야 한다. 최근 super-bacteria로 불리는 MRSA는 황색포도알균이 Methicillin을 포함한 β-lactam 계열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생긴 것으로, 병원 감염의 주범이다.

    참고자료

    · Austin, D. J., Bonten, M. J., Weinstein, R. A.,Slaughter, S., Anderson, R. M. (1999).Vancomycin resistant enterococci in intensive care hospital settings: transmission dynamics, persistence and the impact of infection control programs. Proc natl Acad Sci USA, 96, 6908- 6913.
    ·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2, October. 25). Guideline for hand hygiene in health-care settings. Retrieved April 6, 2016, from http://www.cdc.gov/mmwr/PDF/rr/rr5116.pdf
    · Cho, Y. S., Jin, H. Y., Lee, S. O., Kim, H. S. (1999). Effect of the prevention for MRSA of hand washing and endotracheal suction in medical intensive care unit. Korean J Nosocomial Infect Control, 4(2), 283.
    · Isaacs, D., Dickson, H., O'Callaghan, C., Sheaves, R., Winter, A., Moxon, E. R. (1991). Handwashing and cohorting in prevention of hospital acquired infection and respiratory syncytial virus, Arch Disease Child, 227-231.
    · Jin, H. Y., Kwak, Y. S., Lee, W. G. (1999). Effective control of MRSA nosocomial infection in intensive care unit. Korean J Nosocomial Infect Control, 4(1), 7-16.
    · Kim, N. C., Choi, K. Y. (2003). Effects on Nurses' Hand Washing Behavior and Reduction of Respiratory Isolation Rate of MRSA of the Hand Washing Education. Korean J Adult Nursing, 14(1), 26-33.
    · Michael T. Madigan (2009). Brock의 미생물학. (오계헌 역). pp.989-990. 서울: 바이오사이언스.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바랍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