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서 론
국내의 선박산업 수출액은 꾸준한 증가 추세에 올라있으며, 우리나라 수출 1위에 등극하는 등 국가 경제 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확실히 수행해 내고 있다. 반도체 산업과 더불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간판산업으로써 수출경제를 주도해 왔으며, 선박산업은 기계, 금속, 철강, 전기·전자 등 관련 산업의 제품을 부품, 혹은 기자재로 사용함으로써 가공 및 완성하는 종합조립의 산업으로, 타 산업에 대한 전후방 파급효과가 크게 나타나며, 수주산업으로서 노동 및 기술집약적 산업으로 중장기적인 기자재부품조달의 계획과 우수한 협력업체 육성 및 관계 형성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선박의 건조, 수리 등 다방면에 투입되는 선박기자재의 종류는 선종과 선형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약 700여종에 이르고 있으며, 선박기자재 가격이 선가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때문에 조선 산업의 경쟁력은 기자재산업의 경쟁력에서 출발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뿐만 아니라 국내의 선박기자재산업의 국산화율이 80-90%선으로 매우 높게 형성되어 있으며, 전액 달러 현금으로 결제되고 있어 외화 가득률이 매우 높으며, 국가 무역수지흑자 기여도 또한 높게 형성되어있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1964년 11월 30일 수출 1억 달러 돌파를 기념해 수출의 날을 제정한 이후 반세기가 흘렀다. 수출의 날은 1987년부터 수출·수입의 균형 발전을 이룬다는 취지에서 무역의 날로 명칭이 바뀌었고, 2011년 무역 1조 달러 달성에 맞춰 기념일을 11월 30일에서 12월 5일로 옮겼다. 제1회 수출의 날이 제정된 1964년 11월 30일을 기점으로 하면 우리나라 수출 실적은 반세기 사이에 무려 5천600배 성장했다. 연간 기준으로 따져도 1964년 1억2천만 달러에서 올해 5천620억 달러(예상치)로 4천683.3배 급증했다. 올해 수출실적은 기존 최대치인 5천552억 달러(2011년)를 넘어서고, 무역흑자도 430억 달러 안팎으로 예상돼 종전 최대치인 2010년의 411억 7천만 달러를 추월할 것이 확실시된다.
· Robert C. Feenstra and Alan M. Taylor,International Trade, 2014
· Pierre A. David, International Logistics: The Management of International Trade Operations, 2013
· Robert C. Feenstra, Advanced International Trade: Theory and Evidence, 2003
· Kenneth D. Weiss, Building an Import / Export Busines, 2007
· John Spiers, How Small Business Trades Worldwide: Your Guide to Starting or Expanding a Small Business International Trade Company Now, 2001
· Elhanan Helpman, Understanding Global Trade, 2011
· Jonathan Reuvid and Jim Sherlock, International Trade: An Essential Guide to the Principles and Practice of Export, 2011
· 정석수,『부산지역 조선기자재 산업클러스터의 네트워크 특성에 관한 연구』, 부경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 석사학위논문, 2010
· 홍원표,『조선산업의 노동통제와 노동자 정체성에 관한 연구: A조선 사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대학원 사회학과 석사학위논문, 2001
· 오충헌,『전자상거래 환경하에서 조선 산업의 Web기반 구매시스템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산업공학과 석사학위논문, 2001
· 한인섭,『한국의 산업화과정에 있어서 국가 역할 변환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행정대학원 행정학과 석사학위논문, 1991
· 유병찬,『한국 조선 산업의 발전과정과 정책과제』, 연세대학교경제대학원 경제학과 석사학위논문, 2001
· 부산테크노파크,『부산지역 조선기자재산업 기술로드맵 최종보고서』, 2008
· 한국마린엔지리어링학회,『30년의 발자취; 특별기획 한국조선기자재산업』, 2006
· 홍성인,『조선산업 기초분석』, 지식경제부, 2007
· 이상호 외,『국제무역론』, 법문사, 2015
· 박형래 외,『국제무역환경론』, 청람, 2008
· 황해두,『현대경제와 국제무역』, 무역경영사, 2014
· 하영선,『한국전쟁의 새로운 접근』, 나남, 1990
· 정만태, 『일반기계부품산업의 현주소와 발전전략』, 산업연구원, 2005
· 한설,『한·중 기술무역의 현황과 발전과제에 대한 연구』, 한남대학교대학원 무역학과 석사학위논문, 2013
· 김정현 항만·물류연구본부 연구원,『우리나라 선박기자재업 발전 방안』,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1
· 기획재정부,『21세기 한중 경제협력확대방안연구-총괄보고서(한) 趙 顯 埈 동북아 경제협력구도하에서 한·중 경제협력을 중심으로』, 2002
· 이기준,『한국·미국·중국 간의 지적자산 이전 및 교환』, 동아시아기술연구원, 1991
· 하나금융그룹,『조선기자재 업체의 경쟁력 분석』, 산업연구 시리즈, 2010.07.06.
· 이성아 외,『기술집약도에 따른 산업별 한·중·일 수출경쟁력 분석』, 한국국제통상학회, 제12권 제1호, 2007.05.
· 안병민 부연구위원,『2012년도 우리나라 기술무역 현황』,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KISTEP(Korea Institute of S&T Evaluation and Planning) 통계브리프 제16호, 2014
· 최재현,『기술이전 활성화를 위한 연구개발사업 분석과 정책방안 연구』, 단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 이재영,『한국 기술무역의 수출 강화 방안』, e-비즈니스연구 제10권 제2호
· 한중과학기술협력센터,『중국 기술시장 현황과 발전방안』, 한중과학기술협력세터 정책자료, 2006
· 한국해양수산개발원,『미래형선박을 활용한 신해양비즈니스모델 구축 연구』, 2011.07.
· 서갑성외,『통상환경 변화에 따른 기술무역 활성화 방안』, 한국통상정보학회, 2008
· 한국은행 부산지점,『부산광역시 해양산업 육성 종합계획』, 20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