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U 케이스 스터디 pneumonia, ESRD 로 벤틸레이터 CRRT 등 적용한 기구 및 약물에 대한 정리와 꼼꼼한 간호과정 3개 있습니다. A+ 자료 입니다.
- 최초 등록일
- 2016.11.12
- 최종 저작일
- 2015.05
- 2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판매자jd**** (본인인증회원)
32회 판매

소개글
MICU 입실한 후 일마다 데일리로 대상자 상태 및 적용한 간호와 의학적 치료 자세히 기술되어있습니다.
입실과정에서 있었던 대상자의 이벤트를 중심으로 간호과정 3가지 내렸고 교수님께 칭찬받았습니다.
적용된 치료 기구 및 약물에 대한 정리와 질환에 대한 문헌 고찰도 완벽하게 되어있습니다.
케이스 스터디에 도움이 많이 되실겁니다.
목차
Ⅰ. 서론
1. 사례 선정의 의의
2. 문헌고찰
Ⅱ. 본론
1. 대상자 사정
2. 간호과정
Ⅲ. 결론
4. 실습 후 느낀 점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 사례 선정의 의의
- ICU 실습을 처음 실시하면서 다른 실습에서 보다 질환이나 대상자 컨디션 측면에서 중증도가 높은 대상자들을 많이 접할 수 있었다. 그 중에서도 실습 중에 응급 상황이나 이벤트가 많이 관찰되었던 대상자를 케이스 대상자로 선정하게 되었다. 대상자에게 상황마다 적용되었던 기계와 약물, 기저질환, 증상에 대해 학습하고 그에 따른 간호진단과 중재를 생각해보았다.
2. 문헌고찰
① ESRD (end stage renal disease)
1) 정의
ESRD(end-stage of renal disease)는 만성신부전이든 어떤 이유로 신장의 기능이 악화되어 신장의 기능을 못하게 된 상태를 말한다. 말기신부전은 신장 기능의 90% 이상이 영구적으로 손실되는 경우를 말하며, 이는 더 이상 과다한 수분이나 노폐물을 소변으로 배출할 수 없는 상태를 가리킨다. 말기 신부전은 대개 만성 신부전에서 비롯된다. 신장 기능 손실에 대한 대체요법(투석 또는, 신장 이식)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치명적 일 수 있다.
2) 원인
신부전의 원인은 복잡하다. 신장 기능의 점진적인 손실을 가져오는 질병은 100가지가 훨씬 넘을 만큼 다양하나, 당뇨병과 고혈압이 신부전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이다.
<1> 사구체 기능장애 – 사구체신염, 당뇨병성 신증, 고혈압성 신경화증
<2> 전신질환 – 다발성 동맥염, 전신성 홍반성 낭창, HIVD 관련 신장병, 혈관염(vasculitis), 공피증(scleroderma)
<3> 요로폐색 – 전립샘, 방광종양, 림프샘증(lymphadenopathy), 요관 폐색, 결석
<4> 기타 – 만성 신우신염, 신증후군(nephrotic syndrome), 다낭포성 신질환, 신장 경색(kidney infarction), cyclosporin 신장독성, 다발성 골수종
3) 병태생리
신장 기능부전은 다양한 병리적 상황을 유발한다. 그 결과 사구체여과율(GFR)은 감소하고, 소변 생성과 수분 배설에 이상이 오며 전해질 불균형이 발생한다.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 정담미디어 /저자 JOYCE M.BLACK 외 / 편역 김분한 외
google 이미지
http://www.kimsonline.co.kr/
네이버 지식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