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출산휴가정책분석-여성경력단절

(A+자료) 여성경력단절 사회문제를 바탕으로 '출산휴가'정책을 분석한 글입니다.
7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6.10.18 최종저작일 2016.05
7P 미리보기
출산휴가정책분석-여성경력단절
  • 미리보기

    소개

    (A+자료) 여성경력단절 사회문제를 바탕으로 '출산휴가'정책을 분석한 글입니다.

    목차

    1. 사회문제-무엇이 문제인가?
    2. Who benefit?
    3. What benefit?
    4. 정책의 적절성

    본문내용

    1. 사회문제-무엇이 문제인가?
    World Economic Forum에 따르면, 대한민국은 global gender gap 리포터에서 142국 중 117위를 차지했다(World Economic Forum, 2014). 이는 카타르, 나이지리아, 잠비아와 비슷한 순위이다. 그리고 이러한 성 차별 문제가 가장 불거지는 곳은 직장이라고 할 수 있다. OECD가 발표한 남녀 임금격차는 36.7%로 OECD 평균인 15.6%에 훨씬 높은 수치이며 36개국 최하위를 기록했다(OECD, 2014). 또한 유리천장 지수 역시 OECD 국가 중 하위권에 머물렀다(The Economist, 2016). 그리고 또한 문제가 되는 이슈가 바로 여성의 ‘경력단절’ 현상이다. 경력단절 여성은, “임신, 출산, 육아와 가족구성원의 돌봄 등을 이유로 경제활동을 중단하였거나 경제활동을 한 적이 없는 여성 중에서 취업을 희망하는 여성”을 말한다(경력단절여성등의 경제활동 촉진법, 2015).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 20대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율은 66.2%인데 비해 30대 59%로 감소하며 40대에 67%로 급감하고 있다(이영창, 2015). 이는 20대 취업 후 30대 결혼, 육아 등의 문제로 일터에 떠나있다 40대에 재취업하는 사람이 늘고 있는 반증이다. 30대 여성 경력단절은 OECD 국가에서는 볼 수 없는 특이한 현상이며 그 수치는 증가하고 있다(이영창, 2015).

    <중 략>

    2. Who benefit?
    먼저 사회문제로 삼았던 ‘경력단절 여성’과 관련된 법안으로는 경력단절 여성 등의 경제활동 촉진법이 존재한다. 이 법은 경력단절 여성 등의 경제활동 촉진을 통하여 여성의 경제적 자립, 자아실현, 국가경제의 지속적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을 한다(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 촉진법, 2015). 하지만 본 법의 대상이 되는 ‘경력단절 여성’은 임신 출산 육아 등으로 인해 경제활동을 중단하였거나 경제활동을 한 적이 없는 여성 중에서 “취업을 희망하는 여성”이 된다.

    참고자료

    · 여성가족부 (2013).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실태조사 원자료 분석. 여성가족부
    · 김영옥, 오은진, 한지영(2014). 여성 경력단절 예방 강화를 위한 법, 제도 개선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백경민, 박기태 (2013). 한국 사업장의 배우자 출산휴가제도 위반- 두 가지 위반 형태를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 김보미 (2015). 서울시, 여성들 경력단절 끊기 위한 일자리 대장정 나선다. Retrieved from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61&code=620101
    · 조형국 (2015). 30대 기혼여성 10명 중 4명은 ‘경력단절’…여자로 일하기 힘드네.
    · Retrieved from http://biz.khan.co.kr/khan_art_view.html?artid=2*************5&code=920100&med=khan
    · 이영창 (2016). 일터로 나가는 전업주부들…육아ㆍ가사 여성 2년 연속 감소. Retrieved from http://www.hankookilbo.com/v/ce953bb89717448e898307e721dd0eed
    · 한종수 (2016). 출산휴가 마치면 신청 없어도 '육아휴직' 자동연결 Retrieved from http://news1.kr/articles/?2595498
    · 김기덕 (2016). 직장인 10명 중 8명 “출산·육아휴직시 주변 동료 눈치 보인다”. Retrieved from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G11&newsid=02138566612553472&DCD=A00701&OutLnkChk=Y
    · 김희준 (2014). "임신.출산 경력단절여성 35.1%만 출산휴가 사용...육아휴직은 10명 중 1명" Retrieved from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995480
    · 임재희 (2016). 서울시 남성 출산휴가·육아휴직 알고도 사용 안해. Retrieved from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60111_0013830510&cID=10801&pID=10800
    · 김진희 (2016). 이스트소프트, 경력단절 막는 육아휴직·출산장려 정책. Retrieved from http://www.viva100.com/main/view.php?key=2*************903
    · Global Gender Gap Index 2014 (n. d.)World Economic Forum. Retrieved May 12, 2016 from http://reports.weforum.org/global-gender-gap-report-2014/rankings/
    · OECD (n. d.) 2014 Gender wage gap. Retrieved April 15, 2016 from https://www.facebook.com/theOECD
    · The best?and worst?places to be a working woman (2016, Mar 3rd). The Economist. Retrieved May 5, 2016 from http://www.economist.com/blogs/graphicdetail/2016/03/daily-chart-0?fsrc=scn/tw/once
    · 고용노동부 (2016). 출산전후(유산,사산) 휴가. Retrieved from https://www.ei.go.kr/ei/eih/eg/pb/pbPersonBnef/retrievePb0301Info.do
    ·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 「근로기준법」
    · 「경력단절여성등의 경제활동 촉진법」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좋은 자료가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