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무한도전-토요일 토요일은 가수다>(2015)로 촉발된 1990년대 가요의 레트로 현상

"<무한도전-토요일 토요일은 가수다>(2015)로 촉발된 1990년대 가요의 레트로 현상"에 대한 내용입니다.
14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6.09.16 최종저작일 2015.06
14P 미리보기
&lt;무한도전-토요일 토요일은 가수다&gt;(2015)로 촉발된 1990년대 가요의 레트로 현상
  • 미리보기

    목차

    Ⅰ. 서론

    Ⅱ. 1990년대 가요 레트로 현상의 등장배경

    Ⅲ. 1990년대 가요 레트로 현상의 분석
    1. 1990년대 가요 레트로 현상의 원인
    2. 1990년대 가요 레트로 현상의 특징

    Ⅳ. 1990년대 가요 레트로 현상의 필요성 및 전망
    1. 1990년대 가요 레트로 현상의 필요성
    2. 1990년대 가요 레트로 현상의 전망

    Ⅴ. 결론

    Ⅵ. 참고 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최근 1990년대의 한국 가요가 재조명받고 있다.
    그 시작은 인기 TV프로그램 <무한도전>에서 방영한 ‘토요일 토요일은 가수다’(이하 토토가)라는 특집방송이었다.
    방송의 내용은 90년대를 풍미했던 가수들을 섭외하여 당시의 히트곡으로 콘서트를 개최하는 기획이었다.
    시청자들의 반응은 매우 폭발적이었다.
    12월 27일에 전파를 탔던 '토토가' 1부는 19.8%의 시청률을 기록했고, 1월 3일 '토토가' 2부의 시청률은 22.2%로 마의 20%의 벽을 깼다.
    이 프로그램의 평균적인 시청률이 13~14%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경이로운 수치다.
    방송 이후에도 90년대 가요 신드롬이 계속되었다.
    흥미로운 점은 2015년 1월부터 3월까지 가요차트 TOP100에 90년대의 가요가 대거 포진되었다는 사실이다.
    90년대를 풍미했던 김건모, 엄정화, 터보, 지누션, 조성모, 소찬휘 등의 노래가 상위 차트에 진입하며 제 2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10년도 훌쩍 지난 과거의 노래가 현재의 트렌디한 음악들을 제치고 화려하게 귀환하는 진풍경이 연출된 것이다. 90년대 문화를 향유하는 세대는 대체적으로 20대부터 40대까지라고 볼 수 있다.
    어떻게 보면 이 사회에서 한창 활동하는 젊은 세대이다. 연령이 어릴수록 참신하고 새로운 트렌드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그런데 왜 2040세대가 과거지향적인 콘텐츠에 열광하게 된 것일까?
    이 논문은 2015년 상반기에 발생한 90년대 가요 레트로 현상에 주목하여 왜 지금 이 시점에 90년대의 가요가 한국사회를 강타하였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과거 의 지나간 문화인 90년대 가요가 어떻게 레트로라는 이름으로 대중들의 거부감 없이 안착할 수 있었는지 그 배경을 살펴볼 것이다. 다음으로 90년대 가요 레트로 현상을 문화적·심리적 측면에서 접근하여 다각도로 분석할 것이다.
    이로써 도출되는 결과를 논문의 취지에 걸맞게 해석하여 우리가 이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또한 현재 어떠한 위치에 있으며 앞으로의 방향성을 어떻게 추구해야 할 것인지를 밝히는 것이 이 논문의 최종적인 목적이다.
    이 논문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참고자료

    · 배우리, 『신드롬을 읽다』, 미래를 소유한 사람들, 2012.
    · 이지이, 『2000년 힙합 댄스 그룹 ‘거북이’의 활동 양상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5.
    · 유기홍, 2013년 국정감사 정책자료집 『K-POP의 특정 장르 편중 현황과 대책』
    · 김태희, 『한국대중음악 시장변화에 따른 대중가요 아이돌 가사의 선정적 획일화에 관한 연구 : 한국 대중가요생산자들과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2012.
    · 김진호, 「‘힐링 담론’이 지나간 뒤 골목길에서」, 『맘울림 : 깊고 넓고 맑은 삶을 위하여』 Vol.37, 신앙인아카데미, 2014.
    · 김희연 외 3명, 『스트레스 한국사회 : 원인과 대안』, 경기개발연구원, 2012.
    · Wildschut, Tim, et al, "Nostalgia: content, triggers, func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1.5 (2006): 975.
    · Holbrook, Morris B., and Robert M. Schindler, "Nostalgic bonding: Exploring the role of nostalgia in the consumption experience.", Journal of Consumer Behaviour 3.2 (2003)
    · Wildschut, Tim, Constantine Sedikides, and Filippo Cordaro, "Self-regulatory interplay between negative and positive emotions: The case of loneliness and nostalgia.", Emotion regulation and well-being. Springer New York, 2011.
    · Zhou, Xinyue, et al, "Counteracting Loneliness On the Restorative Function of Nostalgia.", Psychological Science 19.10 (2008).
    · Loveland, Katherine E., Dirk Smeesters, and Naomi Mandel, "Still preoccupied with 1995: The need to belong and preference for nostalgic product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7.3 (2010), p. 393~408.
    · "OECD '더 나은 삶 지수' 발표…한국 삶의 만족도 OECD 국가 최악", <매일신문>, 2015년 6월 4일, 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31587&yy=2015.
    · "'토토가' 열풍, '90년대 청춘가요 앨범' 붐 일으켰다!", <헤럴드경제>, 2015년 2월 17일,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50217000458&md=20150217100509_BL.
    · 트렌드 모니터, 2012 복고 관련 인식 조사.
    · 트렌드 모니터, 2014 복고 관련 인식 조사.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질이 높고, 각 분야의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한 콘텐츠가 많아 학습하는 재미가 쏠쏠합니다. 앞으로도 많은 유익한 자료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