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en, 텐센트 이끄는 마화텅, ‘M&A엔진’ 달고 글로벌투자 쾌속질주, where good ideas come from, 2014.10.13, http://blog.naver.com/sichomd/220149087506
· 강희종, 중국 스마트폰·TV ‘대공습’… 안방도 위험하다, 디지털타임스, 2014.09.30
· 구본혁, 박희윤, 창조경제의 메카:대덕특구, 네이버 매거진캐스트 2014년 5월호
· 권장우 ,“IT 선도국가 도약을 위한 인재양성”, 정보통신산업 진흥원
· 권해영, "삼성 타도" 외치는 괴물…중국 화웨이, 투자 비율 삼성의 2.3배, 아시아경제, 2013.09.13
· 김경민, “[차이나머니의 공습]③먹성 좋은 BAT(바이두·알리바바·텐센트)”, 이데일리, 2014.10.13
· 김경민, <中, IT산업의 요람 중관춘 살펴보니..>, 이데일리, 2014.10.28
· 김성민·이덕희, 「한국 IT산업 성장패턴의 특징연구」, 『한국통신학회 종합 학술 발표회 논문집 (하계) 2003』, 2003.7, 1338-1341 (4 pages), p1338
· 김슬기, 中 알리바바, 한중 FTA로 국내진출 시 온라인 거래시장 잠식 우려, 초이스경제, 2014.11.12
· 김태완, 매출 1700조원 넘보는 '중관춘 클러스터'…샤오반기업 '천국' , 한경닷컴, 2012.02.08
· 두두차이나, <텐센트 완전 해부 5편> 창조와 모방, 그리고 텐센트, all that china의 재미있는 중국 이야기, 2012.07.06, http://allthatchina.tistory.com/128
· 류재복, “중국, 싼 노동력에서 첨단기술 수출 모드로 변신 중”, 류재복의 일상과 삶, 2013.03.27, http://blog.daum.net/yjb0802/2703
· 박덕삼, 알리바바의 뉴욕 증시 상장, 2014.09.21, http://blog.naver.com/parkdog3/220128632218
· 박승찬, "중국 기술 산업화 발전유형과 향후 기술협력방안 연구", [중국학연구], 제41집, 2007.
· 박지영, 「샤오미에 밀려 삼성폰 中 2위」, 파이낸셜 뉴스, 2014.11.06
· 박지은, 「삼성전자, 세계 스마트폰 점유율 25% 수성 실패」, 서울파이낸스, 2014.10.30
· 박현욱, 「사이언스파크 조성을 통한 대덕특구 클러스터 활성화 정책방향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2014
· 박호현, 텐센트 돌풍에 한국 게임 위태위태, 서울경제, 2014.11.11
· 백설희, “화웨이는 어떻게 '중국의 삼성전자'가 됐나”, 비즈니스 포스트, 2014.11.04
· 신선미, 「삼성·LG 스마트폰 `희비`…제품전략 새판짜기」, WOW한국경제TV, 2014.11.06
· 수호천사제인, 대덕연구단지의 40주년 발자취를 같이 걸어가볼까요, 2013.11.24, http://blog.naver.com/doctor82?Redirect=Log&logNo=150179997342
· 안용성, 中 IT공룡들 '상륙주의보'…기로에 선 IT·통신 , 세계일보, 2014.11.11
· 유영성, “두뇌유출, 투자유출 심각”, 미래비전연구
· 이동열, 중국의 알리바바,텐센트,바이두 성장 미국의 구글을 따라 잡을 기세, 삼성테크노글라스, 2014.09.16, http://stgstg.blog.me/220124140956
· 이상우, [중국의 IT기업②] 샤오미, ‘짝퉁’ 굴레 벗고 날갯짓, 머니투데이 뉴스, 2014.08.23
· 이서희, 中 게임은 정부 지원에 훨훨… 한국은 규제에 '발목', 한국일보, 2014.10.28
· 이서희, 中 게임은 정부 지원에 훨훨… 한국은 규제에 '발목', 한국일보, 2014.10.28
· 대한민국파워, 우리나라(대한민국)의 삼성그룹 삼성전자가 올해인 2014년으로부터 정확히 2년전인 2012년부터 핀란드의 노키아그룹 노키아전자를 역사상 처음으로 추월해 앞지르고 압도적&독보적인 전세계 휴대폰(폴더폰+슬라이드폰+스마트폰)시장 점유율 1위를 확고부동하게 유지해오고있네요., 2014.09.04, http://blog.naver.com/koreapower35?Redirect=Log&logNo=220112927530
· 이승연, 적진에 뛰어든 LG디스플레이… “中 잡으려 ‘생산 현지화’ 선택”, 뉴스천지, 2014.09.01
· 임근호, 中, 자국기업 보호하려 구글도 차단…韓, 역차별 규제로 '발목', 한국경제, 14.10.01
· 임일곤, [어마무시 中샤오미]①베끼기의 '역발상', 비즈니스워치, 2014.09.02
· 임준, “IT산업에서 중국의 부상”, [KISDI 이슈리포트], 2005.05.24
· 장동학, 최선기, “중국의 산업구조 및 국제경쟁력”, [한국북방학회논집], 9권 0호, 2002
· 전설리, 삼성폰, 中전략 확 바꾼다…중저가 모델 판매에 집중, 한국경제, 2014.11.04
· 정상은, IT인재의 대국에서 강국으로 부상하는 중국, 기술과 경영 2014 10월호
· 정승환, 중국 UHD TV 기술 눈부신 성장…삼성·LG 턱밑까지 추격, MK뉴스, 2014.09.09
· 정옥주, [시선]'中 휴대폰 등쌀에...' 삼성전자 시장 유지 쉽지 않네, NEWSis(공감언론 뉴시스), 2014.11.06
· 조규림, “중국의 경제구조 변화와 한국의 수출산업”, [한국경제주평], 549권 0호, 2013
· 조성완, ICT 서비스 산업 미국·중국의 G2 시대 시작됐다. LG경제연구소
· 조윤애, 중국의 기술혁신 역량 변화와 시사점, 산업연구원, 2007년 5월호
· 차대운, 베이징, 5년간 중관춘에 8조원 투입, 연합뉴스, 2011.03.08
· 최영림, 「한·중 IT산업 비교 및 분석」, 한성대학교 대학원 : 멀티미디어공학과 멀티미디어공학전공 2013.6, p2-6
· 최준호, (파워인터뷰)권영식 넷마블 대표 "텐센트와 중국서 '일' 내겠다" , 뉴스토마토, 2014.11.04
· 최진홍, 알리바바 '대박' 한국 IT업계엔 '경보', 아시아경제, 2014.09.22
· 최형석, "중국 R&D 투자 빅뱅… 2022년이면 美 추월해 세계 1위 될 것", Weekly Biz, 2013.02.02.
· 홍우리, 「삼성 스마트폰 중국서 쇠퇴… 진짜 이유는?」, 뉴스핌, 2014.11.04
· 네이버 지식백과 - 반도체 기억소자로, 전기를 넣은 상태에서도 일정 주기마다 동작을 가하지 않으면 기억된 정보가 지워지는 램. 단시간 내에 주기적으로 재충전시켜 주면 기억이 유지되기 때문에 컴퓨터의 기억소자로 많이 쓰이고 있다. D램은 대용량의 기억장치로 PC 및 워크스테이션에 장착된다.
· <VOGUE> 잡지- 대륙의 진격, 2014년 10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