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헤롤드 핀터-배신

"헤롤드 핀터-배신"에 대한 내용입니다.
14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6.05.26 최종저작일 2008.05
14P 미리보기
헤롤드 핀터-배신
  • 미리보기

    목차

    1. 여는 말
    2. 배신의 메타연극/영화적 구조
    3. 시간의 배신: 오이디푸스적 욕망의 배신
    4. 메타연극적/영화적 구조와 엠마의 수행성(performativity)
    5. 엠마의 “가면무도(masquerade)"
    6. 나가는 말
    7. 참고문헌

    본문내용

    표면상 핀터의 배신(Betrayal, 1978)은 부르주아 예술의 고정된 이미지와 판에 박힌 귀결을 예측할 수 있는 중산층 부부의 부정과 배신이라는 진부한 주제를 다룬 극으로 보인다. 이 극의 중간인 5장에서 중심적인 사실로 보이는 엠마(Emma)와 제리(Jerry)의 배신이 밝혀지기 직전, 엠마가 읽고 있는 신진 작가 스핑크스(Spinks)의 소설에 대하여 로버트(Robert)와 엠마가 이야기한다. 엠마의 남편이자 출판업자인 로버트는 그 작품이 이제 더 이상 쓸 것도 없는 ‘배신’이라는 진부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며, 제리의 추천에도 불구하고 출판을 거절했다고 한다. 그러나 엠마는 그 주제가 배신이 아니라고 하며 무엇에 대한 것인지 다 읽은 후 말해주겠다고 한다. 엠마의 말처럼, 우리 역시 예측했던 것과는 달리, 관람하는 과정에서 ‘배신’이라는 제목은 우리의 관심을 끌기 위한 미끼였을 뿐이며 이 극은 사실 다른 것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엠마가 그 무엇에 대한 답을 유예시키고 남겨두고 있듯이, 핀터 역시 배신이 보여주는 그 다른 것이 무엇인가라는 의문을 끝까지 남겨두고자 한다. 그리고 극을 관람하는 우리는 미끼를 쫓아가는 과정에서 이러한 의문을 갖게 되며, 이러한 의문점은 연극이라는 매체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게 된다. 핀터는 바로 이러한 의문을 갖는 관람자의 위치에서 이 극을 구조화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극의 등장인물들은 핀터 자신처럼 모던 문학 세계에 관여하고 있는 출판업자, 출판주선자, 또는 작가들이다. 따라서 이 극은 등장인물들이 살고 있는 그 문학 세계의 산물이며 모던 문학에 대한 연극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을 확장하여 볼 때, 우리는 배신을 메타연극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핀터가 특별히 이 작품에서 도입하고 있는 메타영화적 구조 역시 메타연극으로서의 이 작품의 이해와 밀접한 관계를 지니는 극의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메타연극으로서 배신의 메타영화적 구조를 분석하는 본 글은 문학과 연극 자체의 메커니즘에

    참고자료

    · Burkman, Katherine H. The Dramatic World of Harold Pinter: Its Basis in Ritual. Columbus: The Ohio State University Press, 1971.
    · "Harold Pinter's 'Betrayal': Life Before Death-and After." Theatre Journal 34.4 (1982): 505-18.
    · and John L. Kundert-Gibbs, eds. Pinter at Sixty.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Press, 1993.
    · Diamond, Elin. Pinter's Comic Play. Lewisburg: Bucknell University Press, 1985.
    · Esslin, Martin. Pinter the Playwright. London: Methuen, revised ed. 1984.
    · The Theatre of the Absurd. New York: Doubleday/Anchor, 1969.
    · Fehsenfeld, Martha. ""That first last look...""Pinter at Sixty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Press, 1993): 125-128.
    · Frazer, James George. The Golden Bough. New York: The Macmillan Co., 1951.
    · Gaggi, Silvio. "Pinter's Betrayal: Problems of Language or Grand Metatheatre?" Theatre Journal 33.4 (1981): 502-16.
    · Ganz, Arthur. Pinter: A Collection of Critical Essays. Englewood Cliffs: Prentice-Hall inc., 1972.
    · Lacan, Jacques. Écrits, Paris: Édition de Seuil, 1966.
    · Nichols, Peter. Modernisms: A Literary Guide. London: Macmillan Press Ltd., 1995.
    · Pinter, Harold. Plays: One with an introduction, "Writing for the Theatre." London: Eyre Methuen, 1976.
    · Betrayal. New York: Grove Weindefeld, 1978.
    · Other Places: A Kind of Alaska, Victoria Station, Family Voices. New York: Grove, 1983.
    · Rayner, Alice. “Harold Pinter: Narrative and Presence.” Theatre Journal 40.4(1988): 482-97.
    · Regal, Martin S. Harold Pinter: A Questioning of Timing. London: Macmillan Press, 1995.
    · Roof, Judith. "The Betrayal of Facts: Pinter and Duras beyond Adaptation." Pinter at Sixty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Press, 1993): 79-89.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와 지식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내용이 풍성하여 과제 작성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계속해서 좋은 자료를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