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가스 측정
- 최초 등록일
- 2016.04.16
- 최종 저작일
- 2014.09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판매자thd**** (본인인증회원)
15회 판매

목차
1. 서론 및 개요
1) 유해가스 및 환기의 정의
2) 환기의 필요성
3) 실내공기환경의 오염물질 및 유해가스
4) 실내 이산화탄소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2. 실험 방법
1) 실험 목적
2) 실험 장치
3) 장치 개요
4) 실험방법 및 주의사항
5) 측정 기록
3. 실험 결과
1) 디지털유해가스 측정기록
4. 실험 결과에 대한 해석 및 개인적 의견 및 견해
1) 실험 결과 정리
2) 실험결과에 대한 해석
3) 결론 및 고찰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및 개요
1) 유해가스 및 환기의 정의
유해가스란, 뚜렷한 독성은 없으나 농도에 따라서 사람의 건강이나 생활 환경에 장애를 미치는 가스상 오염물을 말한다. 실내에서 미세먼지가 많거나 유해가스 농도가 일정치 이상이면 위험상태에 도달하게돼는데, 이를 예방하기위한 가장 기본적이고 기초적인 방법이 환기이다. 즉 환기는 실내의 공기를 교환하여 청정하게 유지하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2) 환기의 필요성
(a) 산소의 공급
한 사람이 한시간에 소비하는 산소는 약 100l로 최저 이만큼의 산소를 공급하지 않으면 사람이 살 수 없다. 환기를 통해서 외부로부터 산소를 공급 받을 수 있다.
(b) 실내공기의 정화
실내에서는 인체와 연소기구, 호흡, 흡연, 건축자재 등을 비롯한 다양한 오염물질이 방출되어 냄새, 가스, 먼지, 세균 등이 일정 이상 포함되게 되어 건강에 서서히 해를 끼친다. 따라서 이런 오염물질을 밖으로 배출하고 신선한 공기를 도입하여 실내 오염도를 낮추어야 한다.
(c) 열의 제거
사람과 생활가전에서 나오는 열로 인해 온도가 올라가면 미생물 번식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므로 이렇게 가열된 열을 낮추기 위해서 환기는 필요하다.
(d) 수증기의 제거
아파트의 경우 집 안에서 목욕, 요리 빨래 말리기 등 물을 사용하는 일이 많다. 이러한 가사행위를 문을 닫아 놓고 계속한다면 집안에 습도가 올라가 세균이나 곰팡이 같은 몸에 해로운 것들이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환기는 제어를 위해서 필요하다.
3) 실내공기환경의 오염물질 및 유해가스
대표적인 실내공기의 오염물질 및 유해가스에는 일반적으로 부유분진(TSP), 이산화질소(NO2), 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CO2), 라돈(Radon), 포름알데히드(HCHO), 석면(Asbestos), 휘발유기용제(VOCs), 미생물, 악취(Odours)등이 있다.
참고 자료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14418&cid=50330&categoryId=50330 [[유해가스의 정의]]
건축환경계획 제 3판 문운당 이경희저 [[환기의 필요성]]
공기조화설비 김재수 저 문운당 [[실내공기환경 오염물질]]
http://cafe.naver.com/mokjo1004/1208 [[실내이산화탄소가 미치는 영향]]
(한경 경제용어사전, 한국경제신문/한경닷컴 ) [[TVOC의 개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