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MakerBot-Challenges in Building a New Industry Case and Question Analysis

"MakerBot-Challenges in Building a New Industry Case and Question Analysis"에 대한 내용입니다.
30 페이지
압축파일
최초등록일 2016.03.21 최종저작일 2015.06
30P 미리보기
MakerBot-Challenges in Building a New Industry Case and Question Analysis
  • 미리보기

    목차

    1. How could MakerBot lead growth of the new personal manufacturing industry?
    2. Long term, how-potent was MakerBot’s open innovation strategy focused on crowdsourcing, in the face of rising competition?
    3. To what degree were larger established players from the industrial/professional markets a competitive threat?
    4. Were makers and DIYers a big enough market to fuel future growth?

    참고자료

    본문내용

    1. How could MakerBot lead growth of the new personal manufacturing industry?
    사실 3D 프린터 기술은 30년 전(1984) 미국의 찰스 훌(Charles W. Hull)이 설립한 회사 3D 시스템즈에서 발명한, 나름 오래된 기술이다. 이미 항공/자동차 산업에서는 시제품을 만드는 용도로 산업용 3D 프린터를 사용해 오고 있었다. 여기서 사용한 용어인 Rapid Prototyping[신속조형]을 의미하는 RP가 3D 프린팅의 동의어로 종종 사용되기도 한다. 제품 모형을 만들거나 시제품 제작에 일부 사용되는 정도였다.
    S-curve에서 산업용 3D프린터 기술은 성장기를 거쳐 점차적으로 성숙기에 다가간 것이다. 그러나 시장은 S-curve에서 성장기가 되지 못한 것이다.
    하지만 FDM 특허기술이 만료되어 누구나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서 점차 기술의 보급화가 이루어졌다. 이에 기술추종차들은 이 기술을 적극적으로 모방하기 시작하였다.
    쾌속 조형 복제(Replicating Rapid-prototyper), 줄여 랩랩(RepRap)으로 불리는 프로젝트는 2005년 영국 바스 대학교에서 기계공학을 연구하는 에이드리언 보이어(Adrian Bowyer) 교수가 처음 시작했다. 그와 동료들은 누구라도 3D 프린터를 만들어 사용하게 하자는 목표를 세웠고 그것의 실현을 위해 연구 내용과 설계도를 모두 인터넷에 공개하는 오픈 소스 형태의 전략을 취했다. 그 지향점은 ‘3D 프린터로 또 다른 3D 프린터의 부품을 만들어 쓴다’는 것이었다. 자가 복제 기능을 갖추면 사람들이 3D 프린터를 저렴하게 이용할 기회가 많아진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랩랩 프로젝트의 목표가 성공적으로 달성됐다. 현재 우리가 쓰고 있는 가정용 3D 프린터의 원형은 랩랩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오픈 소스에 기반한 DIY 3D 프린터는 곧 빠르게 퍼져나갔다. 이때부터 개인 시장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참고자료

    · 글로벌 3D 프린터산업 기술 동향 분석, 곽기호, 박성우, 대한기계학회
    · 차세대 제조산업 3D 프린팅의 국내외 시장동향과 시사점, 김광석, 한국기계산업진흥회
    · 3D프린팅 기술 동향, 한국콘텐츠진흥원, 2013년 4월호
    · 제조업 공정혁신의 기폭제 3D프린팅산업, 조은정, 산업연구원
    · 3D프린팅 전략기술 로드맵,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3D프린팅 기술 현황, 산업은행경제연구소, 한국산업은행
    · 3D 프린팅은 어떻게 소비 문화를 바꾸는가, 한국디자인진흥원
    · 3D 프린팅산업과 기업의 대응 전략, Deloitte
    · 3D 프린팅 표준기술 및 시장 동향,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 3D 프린팅 소프트웨어 기술동향 , 한국과학기술융합협회
    · 3D 프린팅 산업현황 및 특허동향 분석, 화학공학연구정보원
    · 3D 프린팅 산업동향 분석을 통한 연구개발정책 연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3D프린팅 산업 발전전략, 국가과학기술심의회
    · Gartner's 2013 Hype Cycle for Emerging Technologies Maps Out Evolving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Machines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주제가 흥미롭고, 내용이 충실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3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