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Z를 말하다(DMZ와 접경지대)
- 최초 등록일
- 2016.02.14
- 최종 저작일
- 2015.01
- 23페이지/
MS 파워포인트
- 가격 3,000원

판매자foxgi**** (본인인증회원)
3회 판매
목차
I. 서론
1. DMZ의 개념
2. DMZ의 탄생 배경
II. 본론
1. 지역별
1-1. 지역별 DMZ 소개
1-2. 지역별 DMZ 문학작품
2. 시대별
2-1. DMZ의 역사
2-2. 시대별 DMZ 문학작품
III. 결론
본문내용
DMZ의 개념
demilitarized zone의 약자로
군사적 비무장지대를 뜻하며, DMZ는 휴전에 따른 군사적 직접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상호 일정 간격을 유지한 완충지대를 말한다.
DMZ탄생의 배경
6.25전쟁의 휴전 협상 과정 때 UN군과 북한공산군이 휴전을 전제로 한 군사분계선과 이 선을 중심으로 남북 각 2km씩 너비 4km의 비무장지대를 설정할 것을 합의하고 동년 11월 27일 확정, 발표하였으나 30일 이내로 휴전이 성립되지 않아 무효화되고 말았다. 그 후 1953년 7월 27일에 ‘한국군사정전에 관한 협정’이 체결됨으로써 군사분계선이 확정되고 이에 따라 현재의 비무장지대가 되었다.
<중 략>
DMZ의 역사 , DMZ가 만들어지기까지
통일을 고대하며 치열한 전쟁의 아픔을 견뎌온 한국민들에게 38도선을 경계로 다시 전쟁 이전 상태가 된다는 정전 협상은 받아들이기 힘든 것이었다. 하지만 전쟁으로 지친 미국, 유엔연합군과 구소련, 중공은 휴전협정을 하게 되며, 1953년 7월 27일 유엔군과 북한군 및 중공군은 전문과 5조 60항의 정전 협정문에 서명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