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hakespeare, William, <King RichardⅢ>, London: Routledge, 1981, 강태경 역, <리처드 3세>, 서울: 지만지, 2008.
· Racine, Jean, <바자제 페드르>, 심민화 역, 서울: 책세상, 2005.
· 강석주,『셰익스피어 문학의 현대적 의미』, 서울: 동인, 2007.
· 김영아,『절대군주제의 위기와 폭군살해 논쟁 그리고 셰익스피어』, 서울: 한국학술정보, 2007.
· 김인환,『프랑스 문학과 여성』,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5.
· 권영걸,『공간디자인 16강』, 서울: 국제, 2001.
· 이경식,『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과 신고전주의』,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 ――――,『셰익스피어 비평사 상, 하』,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2.
· 이윤기,『이윤기의 그리스 로마 신화 2』, 서울: 웅진지식하우스, 2002.
· ――――,『이윤기 그리스에 길을 묻다』, 서울: 해냄출판사, 2003.
· 이진경,『근대적 시 공간의 탄생』, 서울: 그린비, 2010.
· 이진성,『그리스 신화의 이해』, 서울: 아카넷, 2010.
· 이현우, 『셰익스피어 관객 무대 그리고 텍스트』, 서울: 동인, 2004.
· 최영주,『셰익스피어라는 극장 그리고 문화』, 서울: 글누림, 2006.
· 한영림,『셰익스피어 공연무대사』, 서울: 동인, 2007.
· 홍기창, 『셰익스피어 희곡론』,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 Badawi, M, M., 『Background to Shakespeare』, 전팔근, 이상오 역, 『셰익스피어의 배경』, 서울: 한신문화사, 1983.
· Kudla, Hubertus,『Spiele des Eros』, 오순희 역, 『에로스의 탄생』, 서울: 이룸, 2005.
· Rogers-Gardner, Barbara,『Jung and Shakespeare: Hamlet, Othello, and the Tempest』, 이영순 역,『융과 셰익스피어』, 서울: 동인, 2006.
· Rousset, Jean, 『(La) Litterature de L'age Baroque en France』, 조화림 역,『바로크 문학』, 서울: 예림기획, 2001.
· Schroer, Markus,『공간 장소 경계』, 정인모 역, 서울: 에코리브르, 2010.
· Surgers, Anne, 『Scénographies du théâtre occidental』, 송민숙 역, 『서양 연극의 무대장식 기술』, 서울: 동문선, 2007.
· 강희석,「힙폴뤼토스와 파이드라 신화의 변형을 통해 본 라신의 독창성 연구」,『불어불문학연구』, 79(2009), 서울: 한국불어불문학회, 5-51쪽.
· 김명윤,「라신느의 『 페드르 』 에 나타난 등장인물 (登場人物) 에 대한 기호학적 연구」, 『상명대학교인문과학연구』, 9(2000), 서울: 상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39쪽.
· 김애련,「「 페드르 」에 관한 하나의 시론」, 『불어불문학연구』, 22(1987), 서울: 한국불어불문학회, 25-45쪽.
· 남숙희 ,「페드르 극의 변화 - 에우리피데스, 세네카, 라신 극의 구성 연구」,『프랑스학연구』, 27(2003), 서울: 프랑스문화학회, 91-111쪽.
· 송민숙,「라신의 『페드르』에 나타난 죽음의 이미지」,『불어불문학연구』, 62(2005), 서울: 한국불어불문학회, 139-158쪽.
· 신은영,「사랑의 고백 유형을 통해 본 라신 극의 변모 과정」,『불어불문학연구』,
· 50(2002), 서울: 한국불어불문학회, 321-344쪽.
· ――――, 「사랑의 변모를 통해 본 이성과 비이성의 역동적 상호 관계 -라신 비극 속에서」,『불어불문학연구』, 60(2004), 서울: 한국불어불문학회, 195-218쪽.
· 이화원,「트레젠과 그 너머 - < 페드르의 > 공간에 나타난 " 부정성 " 」,『한국연극학』, 6(1994), 서울: 한국연극학회, 285-303쪽.
· ――――,「라신 비극의 여인들 - 앙드로마크, 페드르 및 아탈리의 욕망의 양상」,『한국연극학』, 19(2002), 서울: 한국연극학회, 73-99쪽.
· 장성중, 「라신 비극에 나타난 ‘보다’의 의미작용」,『프랑스어문교육』, 24(2007), 서울: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451-468쪽.
· 장정웅,「라신의 비극 페드르의 배경 연구」,『불어불문학연구』, 13(1978), 서울: 한국불어불문학회, 219-240쪽.
· 장혜전,「페드르 ' 주제의 한국적 변용」,『비교문학』, 21(1996), 서울: 한국비교문학회, 115-136쪽.
· 조진근,「『페드르』에서 본 인물관계의 구조적 비극성」,『프랑스학연구』, 23(2002), 서울: 프랑스문화학회, 377-40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