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VER
SILVER 등급의 판매자 자료

편리한 이용을 위한 도서관의 건물배치

"편리한 이용을 위한 도서관의 건물배치"에 대한 내용입니다.
44 페이지
파워포인트
최초등록일 2015.07.24 최종저작일 2014.04
44P 미리보기
편리한 이용을 위한 도서관의 건물배치
  • 미리보기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도서관
    2.1 공공도서관 규정
    2.2 이용자에게 있어서의 도서관의 가치

    제3장 도서관 설계
    3.1 도서관 건축과정
    3.2 편안한 도서관을 조성하기 위해 고려할 사항
    3.1.1 도서관 건축위원회의 필요성
    3.2.1 도서관 공간구성의 고려사항
    3.1.2 도서관 건축 개요
    3.2.2 공공도서관의 Information Commons
    3.2.3 도서관의 가구
    3.2.3.1 서고 및 열람실과 서가
    1) 서고 및 열람실
    2) 서가
    3.2.3.2 사인물 및 공간안내 표지판
    3.2.4 빛환경과 음환경
    3.2.4.1 빛환경
    3.2.4.2 음환경

    제4장 현장방문을 통한 이용 편의성 조사
    4.1 시립도서관 비교 - 서울도서관 vs. 개포도서관
    4.2 국립도서관 비교 - 국립중앙도서관 vs. 프랑수아 미테랑국립도서관

    제5장 결론

    본문내용

    프랑수아 미테랑 국립도서관

    책을 펼친 형상의 네 동(11층 전면 유리 건물)
    → 현대적 예술성, 내부와 외부의 자유로운 교통을 조직함
    → 제1타워 : 인문·역사·지리,
    제2타워 : 법학,
    제3타워 : 이·공학,
    제4타워 : 문학·언어·예술)

    건물 로비 : 이용자의 만남과 휴식을 도울 수 있는 신간잡지
    , 신문자료를 제공, 기념품 판매 공간, 식음공간

    편리한 접근성 : Lines 6 (Quai de la gare)역, 14 et RER C (Bibliothèque François-Mitterrand)역, 그리고Lines 89, 62, 64, 132, 325번 버스 등

    참고자료

    · 강애라, 기정아, 김대경 등. 유럽 도서관에서 길을 묻다 : 선생님들의 이유 있는 도서관 여행. 서울: 우리교육, 2010.
    · 건축자료연구회. 건축설계자료실례집. 7 : 도서관. vol 7. 서울: 보원, 1995.
    · 국립중앙도서관 사서교육문화과. 도서관 공간구성(A)과정.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사서교육문화과, 2010.
    · 국립중앙도서관 사서교육문화과. 도서관 공간구성(A).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사서교육문화과, 2013.
    · 국립중앙도서관 사서교육문화과. 도서관의 이해.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사서교육문화과, 2013.
    · 도서관기준작성특별위원., 한국도서관협회. 한국도서관기준 2013. 3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2013.
    · 우에마쓰 사다오. 도서관 건축의 이해. 김효숙. 군포: 한국디지틀도서관 포럼, 1998.
    · 정재영. 대학도서관 : 이슈와 과제. 서울: 공감인(IN), 2009.
    · 최정태. 위대한 도서관 건축 순례. 파주: 살림출판사, 2012
    · 한국비블리아학회, (2007) 도서관건축사례집 : 『도서관공간운영 실태조사 및 표준모델 연구』보고서 별책, 한국비블리아학회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도서관연구소, 2007), 106-108
    · Brown, Carol R. 살아있는 도서관을 위한 인테리어 디자인. 양영완. 서울: 국제, 2004.
    · Faulkner-Brown, H. Planning and Designing Library Buildings – The tution of Architects, In Library Buildings : Preparations for Planning. Ed. Michearl Dewe. New York, K. G. Saur, 1989. 49-62. Langmead, Stephen., Beckman, Margaret. 새 도서관 설계 : 대학도서관 건축계획 지침. 이병목. 서울: 구미무역출판부, 1994. 14-15에서 재인용.
    · Langmead, Stephen., Beckman, Margaret. 새 도서관 설계 : 대학도서관 건축계획 지침. 이병목. 서울: 구미무역출판부, 1994.
    · MacWhinnie, Laurie A.“The Information Commons: The Academic Library of the Future,” Portal: Librarians and the Academy, Vol. 3, No. 2(2003): 243. 정재영. 대학도서관 : 이슈와 과제. 서울: 공간인(IN), 2009. 241에서 재인용.
    · Stueart, Robert D., Morner, Claudia J., Moran, Barbara B. Library and Information Center Management. 8th. California: Libraries Unlimited, 2013.
    · Wrightson, Jack., Scherer, Jeffrey.“Not Just Shhh Anymore: Improving Library Acoustics.”the 117th annual conference of the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Washington, D.C, June 25-July 1, 1998. Carol R. Brown, 살아있는 도서관을 위한 인테리어 디자인, 양영완 (서울: 국제, 2004), 175에서 재인용.
    · 국립중앙도서관. 도서관 공간운영 실태조사 및 표준모델 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2007. 이정호. “공공도서관 장소성 형성구조에 관한 연구.”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 no. 3 (2013): 260에서 재인용
    · 이상복., 이정미., 곽철완., 박현주. “공공도서관의 인포메이션커먼스(Information Commons)적용 기본구상.”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 no. 2(2009): 91-108.
    · 장아리. "지역주민의 요구를 고려한 공공도서관의 실내공간특성." 석사학위 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6dfa3e3533ca836effe0bdc3ef48d419
    · 허명희.“이용자와 이용행태에 따른 대학도서관 자료이용서비스 가치평가의 차이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2011.
    · Albanese, Andrew Richard.“Campus Library 2.0.” Library Journal 29, no. 7(2004): 32-33.
    · 네이버 두산백과.“유니버설 디자인.”검색일 2013.9.23.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64598&cid=200000000&categoryId=200000971
    · 대한민국대표법률사이트.“도서관법.” 2011.4.5. 일부개정. 검색일 2013.9.23.
    · http://www.lawkorea.com/client/asp/lawinfo/law/lawview.asp?type=l&lawcode=b738069
    · 민족문화대백과사전.“서고.” 검색일 2013.9.23.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Contents?contents_id=E0027613
    · 서울도서관.“도서관 소개.” 검색일 2013.9.23.
    · http://lib.seoul.go.kr/www/html/ko/libraryUseInfo.jsp
    · 프랑수아 미테랑 국립도서관. 검색일 2013.9.23.
    · http://www.bnf.fr/en/bnf/address_transport/s.address_transports_fm.html?first_Art=oui
    · Google.“Acoustics for Libraries.” 검색일 2013. 9. 23.
    · http://www.librisdesign.org/docs/AcousticsLibraries.pdf
    · Google.“Daylighting Design in Libraries.” 검색일 2013. 9. 23.
    · http://www.librisdesign.org/docs/DaylightDesignLibs.pdf
    · Youtube.“KBS 다큐멘터리 3일 – 248회 세상의 모든 지혜.” 검색일 2013.9.23.
    · http://www.youtube.com/playlist?list=PLD947A03D1BEB163D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주제가 흥미롭고, 내용이 충실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