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근현대 건축과 비정형 건축의 공간의 형태 비교와 비정형 건축이 가져야할 올바른 방향

"근현대 건축과 비정형 건축의 공간의 형태 비교와 비정형 건축이 가져야할 올바른 방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8 페이지
워드
최초등록일 2015.05.18 최종저작일 2014.04
8P 미리보기
근현대 건축과 비정형 건축의 공간의 형태 비교와 비정형 건축이 가져야할 올바른 방향
  • 미리보기

    목차

    1. 서론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과 의의

    2. 대비감에 의한 균형성과 운동성

    3. 시각적 대비감에 의한 형태적 긴장감

    4. 대비감과 역동성의 관계

    5. 지각적 요소들

    6. 대비감과 역동성에 대한 사례분석

    7. Gestalt 이론
    1) 유사성의 법칙
    2) 근접성의 법칙
    3) 폐쇄성의 법칙
    4) 연속성의 법칙
    5) 공통성의 법칙

    8. 대비감과 역동성에 대한 사례분석

    9. 결론

    10. 참고문헌

    본문내용

    역동적이고 긴장감이 높은 건축적 형태를 구현하기 위해 가벼운 건축재료의 사용과 kinetic한 구조 시스템을 이용한 디자인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보다 더 근본적인 방법은 문화적이거나 심리학적 요소들이 상대적으로 대응하거나 대립하여 나타나는 긴장감 있는 조합을 바탕으로 하는 역동적인 건축형태를 구현하는 방법일 것이다. 과거 그로피우스가 주장했듯이 만약 일반인들이 물리적 환경에 대해 무의식적으로 느끼는 요소들을 건축가들이 확실하게 이해한다면 적용할 수 있는 디자인의 변주범위는 매우 다양해질 것이다. 그러나 대단히 비기하학적이고 구조적 한계에 도전하려는 듯한 독단적인 디자인만이 강조되는 오늘날의 비정형적 건축물들은 위에서 언급한 과거의 건축적 고민들에 대해 의식하지 못하는 것 같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본적인 Gestalt 심리학과 그래픽분석을 바탕으로 근/현대 건축물이 내포하고 있는 형태적 구성요소들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무의미하고 극단적인 비정형적 형태는 지양될 수 있는 학문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중 략>

    오늘날의 비정형적 건축물들은 마치 시각적인 말초신경만 자극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그 건축과정과 형태를 복잡하게 만들어 시각적 주의를 끌려는 무의미한 의도가 있는 듯 하다. 따라서 오늘날의 즉흥적이고 시각적으로 자극적인 비정형건축물에 대해 조금은 보수적이고 근본적인 시각에서의 디자인 평가는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목적과 의의는 비정형건축형태에 대해 새로운 이론적 기초를 새우는 것이 아니라 과거 근/현대건축물이 문화적 요소와 심리적 요소를 바탕으로 다양하게 구현한 역동적이지만 기본적인 디자인 패턴들을 재평가함으로써 오늘날의 비정형적 형태가 나아가야 할 디자인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중 략>

    건축에서의 대비감이란 직선 대 곡선, 솔리드 대 보이드와 같이 극단적으로 구분되거나 반대되는 요소들을 조합함으로써 행여 지는 디자인방법론이라 하겠다. 즉, 대립하는 한 쌍을 형태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얻어지는 긴장감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자료

    · Alexander, C. (1977) A Pattern Language. London: Oxford Press
    · Aymonino, C. (1985) Type and Typology. Architectural Design, 55(5/6), 49-51
    · Berman, B. (1988) From the New Criticism to Deconstruction. Urbana and Chicago: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 Blau, J. (1993) What Buildings Mean and Architects Say. Current Research on Occupations and Professions, 8, 77-99
    · Broadbent, G. (1973) Design in Architecture: Architecture and the Human Sciences. New Work: John Wiley and Sons
    · Cross, N (1984) Developments in Design Methodology.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 Delvin, K. and Nasar J. (1989) the Beauty and the Beast: Some Preliminary comparisons of High versus Popular Residential Architecture and Public versus Architect Judgments of Same. Journal of Environment Systems, 1(7), 333-334
    · Francescato, G. (1994) Ordering Space: Types in Architecture and Design-Type and the Possibility of an Architectural Scholarship.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 Galle, P. (1999) Design as Intentional Action: A Conceptual Analysis. Design Studies, 20(1), 57-81
    · Gelernter, M. (1995) Source of Architectural Form. Manchester: Manchester University Press
    · Glucksburg, S. and Dank, J. (1968) Effects of Discriminative Labels and of Nonsense Labels Upon Availability of Novel Function. Journal of Verbal Learning and Verbal Behavior, 7(1), 72-76
    · Groat, L (1982) Meaning in the Post-Modern Architecture: an Examinations using the multiple sorting task.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1), 3-22
    · Haber, RN (1968) Contemporary Theory and Research in Visual Perception.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Inc
    · Hochberg, J. and Brooks, V. (1962) Pictorial Recognition as an Unlearned Ability: A Study of One Child’s Performance. American Journal of Psychology, 15, 624-628
    · http://ux1.co.kr/archives/784
    · http://blog.daum.net/mijuna2/6483216
    · http://blog.daum.net/mijuna2/6483216
    · http://blog.daum.net/mijuna2/6483216
    · http://blog.daum.net/mijuna2/6483216
    · website : www.archdaily.com
    · website : www.arki.tistory.com/162
    · 여수진, 디자인 사례 중 게슈탈트 심리학 적용 분석 연구(2003)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콘텐츠는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지루할 틈이 없습니다. 매번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어 학습이 즐거워지고 있습니다. 학습 후 실제로 과제나 레포트에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용할 예정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