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건축물의 개념 및 국내 사례조사
- 최초 등록일
- 2015.05.08
- 최종 저작일
- 2015.04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판매자wnfl**** (본인인증회원)
37회 판매

목차
1. 서론
2. 친환경건축물의 개념
3. 친환경건축물의 사례
3.1 국내 최초의 그린빌딩 - KIER그린빌딩 연구동
3.2 국내 최초 LEED최고등급 획득 건축물 – 삼성 그린 투모로우
3.3 ECO-3L HOUSE
3.4 코오롱 글로벌 e+ 그린홈
4. 맺음말
본문내용
1. 서론
국제사회는 개발과 성장이라는 목표 하에 자원과 에너지를 대량으로 소비하고 있다. 이로 인해 산성비, 오존층 파괴, 지구 온난화 등 지구환경문제가 심각하게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1992년 리우의 UN환경회의에서 지구 온난화의 규제 및 방지를 위한 국제 협약인 “기후변화협약”이란 의제가 채택되게 되었다. 그 이후 기후변화협약의 수정안으로 2005년에 교토의정서가 발효되어 이 의정서를 인준한 국가는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여섯 종류의 온실가스의 배출량을 감축하며, 배출량을 줄이지 않는 국가에 대해서는 비관세 장벽을 적용하도록 하였다.
이에 우리 정부 또한 2020년 까지 온실가스를 저감을 목표로 중장기적인 비전을 제시하며 에너지 절약을 유도하고 있으며, 특히 건축물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의 1/4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2020년까지 건축물부문의 온실가스 감축 26.9%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하였다. ‘에너지부하저감, 고효율 에너지설비, 자원재활용, 환경공해 저감기술’ 등을 적용한 친환경건축물의 건설을 유도하게 되었으며, 인증기준을 마련하는 등 녹색건축물의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로써 본 과제에서는 친환경건축물(녹색건축물)에 대한 개념을 제시하고, 국내의 친환경건축물의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2. 친환경건축물의 개념
친환경건축물이란 지속가능한 개발의 실현을 목표로 인간과 자연이 서로 친화하여 공생할 수 있도록 계획·설계되고 에너지와 자원 절약 등을 통하여 환경오염부하를 최소화함으로써 쾌적하고 건강한 거주환경을 실현한 건축물을 말한다. 따라서, 녹색건축물을 다시 정의하면 에너지 효율 및 신재생 에너지의 사용비율이 높고,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하는 건축물이라고 할 수 있다.(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제 54조).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친환경건축물 (토지이용 용어사전, 2011.1, 국토교통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