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스마트워터그리드(SWG)

스마트워터그리드(Smart Water Grid : SWG)에 대한 리포트입니다.
37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5.02.02 최종저작일 2014.12
37P 미리보기
스마트워터그리드(SWG)
  • 미리보기

    소개

    스마트워터그리드(Smart Water Grid : SWG)에 대한 리포트입니다.

    목차

    1 .스마트그리드(Smart Grid)
    1.1. 단순정의
    1.2. 세부개념
    1.3. Smart Grid 출현 배경
    1.4. Smart Grid 가 창출해내는 시장

    2. 스마트워터그리드(Smart Water Grid)의 정의
    2.1. 단순정의
    2.2. 세부정의

    3. 스마트워터그리드(Smart Water Grid)의 출현배경
    3.1. 기존 상하수도 시스템
    3.2. 기존 상하수도 시스템의 문제점들에 의한 SWG출현

    4. 스마트워터그리드(Smart Water Grid)의 필요성
    4.1. 수자원 환경변화
    4.2. 도시화 및 메가시티 건설
    4.3. 물-에너지 연결관계 (Water-Energy Nexus)
    4.4. 신성장 녹색산업 육성

    5. 스마트워터그리드(Smart Water Grid)의 비즈니스모델
    5.1. 국내 능동형 수자원 확보의 중요성
    5.2. 능동형 수자원 확보 기술
    5.2.1. 물 재이용 기술
    5.2.2. 해수담수화 기술
    5.2.3. 물 재이용 및 해수 담수화 통합시스템

    6. 스마트워터그리드(Smart Water Grid)는 누구를 위한 것

    7. 스마트워터그리드(Smart Water Grid)의 해외추진동향
    7.1. 미국
    7.2. 호주
    7.3. 싱가포르

    8. 스마트워터그리드(Smart Water Grid) 선도기업

    9. 우리나라 스마트워터그리드(Smart Water Grid)
    9.1. 스마트워터그리드(SWG) 기술, 영종도, 새만금, 제주도에 적용 구상

    10. 느낀점

    11. 출처

    본문내용

    1. 스마트그리드(Smart Grid)
    ‘스마트 워터 그리드’의 설명에 들어가기 앞서, 상위 개념인 ‘스마트 그리드’ 에 대해 먼저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근래 들어 ‘스마트 그리드’는 차세대 전력망으로 각광받고 있다.

    1.1. 단순 정의.
    Smart Grid란, 기존의 전력망에 정보기술(IT)을 접목하여 전력 공급자와 소비자가 양방향으로 실시간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는 차세대 지능형 전력망이다. ‘스마트파워그리드’라고도 한다.

    1.2. 세부 개념.
    ①스마트 그리드 : 에너지효율을 최적화하는 차세대 전력망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는 기존의 전력망에 IT 기술을 접목해 전력 공급자와 소비자가 양방향으로 실시간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고자 하는 차세대 전력망을 말한다.

    <중 략>

    물 재이용은 사용 후 방류된 하폐수를 처리하여 농업용수, 산업용수, 중수 등의 목적으로 재활용함을 의미한다. 물의 재이용이 점차 중요해지는 이 유는 기초 수자원의 고갈 뿐만 아니라, 수질 기준이 엄격해지고 그에 따 른 재이용수의 활용 용도가 늘어남에서 찾을 수 있다. 해외에서의 물 재 이용은 점차 보편화되어 가고 있으며, 현재 전 세계적으로 $22조 이상의 시장을 이루고 있다. 용량 면에서 살펴보면 전세계적으로 2000여개 이상 의 플랜트에서 연간 약 7.1 km3의 재이용수가 생산되고 있으며 이는 전 체 물 공급량의 약 0.2 %, 전체 하수의 약 5 %를 차지하는 수치이다.

    <중 략>

    호주는 지역간의 물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워터그리드의 개념을 최 초도입 하였다. 물이 충분한 지역과 물이 부족한 지역을 연결하고 다양한 종류의 수자원을 다수의 시설로부터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적용되어져 오 고 있다. 호주는 국토 대부분이 건조지대로 국토의 90% 이상이 물이 부 족한‘물 스트레스’지역이다. 특히 가뭄이 들면 물이 풍족한 해안과 건조지 대인 내륙의 물격차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호주에서 워터그리드 프로젝트 가 진행되는 지역은 남동 퀸즈랜드(SEQ, South East Queensland)주 지 역으로서, 주요 대도시는 브리즈번(Brisbane)이다. 남한면적의 17배에 이 르는 퀸즈랜드주는 지난 2004년과 2007년 사이 극심한 가뭄을 겪었으 며, 이것으로 인한 수자원 관리 체계의 재편이 요구 되었다.

    참고자료

    · http://kdw0796.tistory.com/entry/III-%EC%8A%A4%EB%A7%88%ED%8A%B8-%EA%B7%B8%EB%A6%AC%EB%93%9C%EC%9D%98-%EA%B5%AC%EC%B6%95%ED%9A%A8%EA%B3%BC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310823&cid=40942&categoryId=32376
    · http://blog.naver.com/bloglh/220074303208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310823&cid=40942&categoryId=32376
    · http://cafe.naver.com/umii/1163
    · http://blog.naver.com/haeunra/150153937225
    · http://blog.naver.com/ilove_water/70181742567
    · http://www.blogkwater.or.kr/1826
    · http://www.envtimes.co.kr/view.asp?seq=2014110401
    · http://www.kosenv.or.kr/bbs/index.html?code=event&category=&gubun=&page=14&number=1105&mode=view&order=&sort=&keyfield=&key=&page_type=
    · http://www.ecofuturenetwork.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403
    · http://search.naver.com/search.naver?sm=tab_hty.top&where=nexearch&ie=utf8&query=%EC%8A%A4%EB%A7%88%ED%8A%B8+%EA%B7%B8%EB%A6%AC%EB%93%9C+%EB%B0%B0%EA%B2%BD
    · http://www.kwra.or.kr/journal/2011-08/02.pdf
    · http://www.ecofuturenetwork.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403
    · http://img.kisti.re.kr/originalView/originalView.jsp
    · http://academic.naver.com/view.nhn?doc_id=59539544&dir_id=0&page=0&query=k-water%20%EC%8A%A4%EB%A7%88%ED%8A%B8%EC%9B%8C%ED%84%B0%EA%B7%B8%EB%A6%AC%EB%93%9C&ndsCategoryId=10315&library=148
    · http://www.envtimes.co.kr/view.asp?seq=2014110401
    · https://www.google.co.kr/search?q=%EC%9A%B0%EB%A6%AC%EB%82%98%EB%9D%BC+%EC%8A%A4%EB%A7%88%ED%8A%B8%EC%9B%8C%ED%84%B0%EA%B7%B8%EB%A6%AC%EB%93%9C&newwindow=1&espv=2&biw=1191&bih=739&source=lnms&tbm=isch&sa=X&ei=aZR8VLXxBYe4mAXnqICgDw&ved=0CAYQ_AUoAQ#facrc=_&imgdii=_&imgrc=y0P-Hn3cnffUdM%253A%3BrS5lj1JWK8SwMM%3Bhttp%253A%252F%252Fwww.ecofuturenetwork.co.kr%252Fnews%252Fphoto%252F201105%252F20101102155644841.jpg%3Bhttp%253A%252F%252Fwww.ecofuturenetwork.co.kr%252Fnews%252FarticleView.html%253Fidxno%253D2796%3B740%3B675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체계적인 구성으로 되어 있어 복잡한 내용을 과제에 쉽게 활용 할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좋은 자료들이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