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오경 과목 최종 주해 보고서입니다. 110페이지 짜리라서 활용 가능성이 많습니다. 본문은 창세기 28장 1-10절입니다.

110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5.01.31 최종저작일 2014.11
110P 미리보기
오경 과목 최종 주해 보고서입니다. 110페이지 짜리라서 활용 가능성이 많습니다. 본문은 창세기 28장 1-10절입니다.
  • 미리보기

    소개

    99 A+를 받은 주해 레포트입니다.
    120페이지 정도를 작성하였습니다. 해당 본문에 관련된 모든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교수님께 개인적으로 극찬을 받았습니다.

    목차

    1. 서론
    가. 본문 선정 이유(창 28:10-22)
    나. 연구 방법
    다. 연구에 참고한 자료

    2. 본론
    가. 본문(창 28:10-22)
    1) 본문의 범위
    2) 판본 및 역본 비교
    나. 사역(私譯)
    다. 역사적 배경
    1) 역사적 배경
    2) 사회적 배경
    3) 지리적 배경
    4) 해당 본문의 연대
    라. 문학적 배경
    1) 문학적 기능
    2) 위치
    3) 세부적인 내용 (본문의 특별한 관점)
    4) 저자
    마. 양식
    1) 장르
    2) 양식
    바. 구조
    1) 본문의 개요
    사. 문법적 자료들
    아. 사전적 자료들
    1) 단어 연구
    자. 성경적 배경
    1) 본문과 성경의 나머지 부분의 관계
    차. 신학
    1) 본문의 신학적인 위치
    2) 본문에 의해 제기되거나 해결되는 특정한 문제
    차. 이차적인 문헌들

    3. 결론

    4. 연구에 근거한 설교문
    Ⅰ. 서론
    Ⅱ. 본론
    1. 본문 내러티브 소개
    2. 본문 해설 및 적용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본문 선정 이유(창 28:10-22)
    처음 써 보는 주해보고서이기 때문에 오경에서 어떤 본문을 선정하면 가장 좋을까 고민했다. 그랬더니 모세가 등장하는 본문을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왜냐하면 첫째, 오경의 저자가 모세이며 둘째, 모세에 관한 이야기가 오경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셋째, 신약성경 본문과 연결시키기도 용이할 것 같았기 때문이다. 모세에 대한 언급은 신약 성경에 정말 많이 등장한다. 그것은 모세가 매우 중요한 인물 이였기 때문이라 생각했다.

    그런데, 세일해머의 글을 읽으면서 생각이 좀 바뀌었다. 조별 과제 때문에 세일해머의 『서술로서의 모세오경』을 읽게 되었다. 그는 그 책에서 구약 저자들의 영웅은 율법을 지키는데 중점을 둔 모세가 아니라, 믿음의 삶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율법을 지킨 자로 간주되었던 아브라함이라고 주장했다.

    성경의 텍스트에 초점을 두기 때문에, 이런 종류의 구약신학의 목적은 시내 산 언약에 근거한 이스라엘의 고대 종교가 아니다. 이 신학의 목적은 구약의 예언적 메시지에 근거한 하나님과 이스라엘의 새 언약이다…구약 저자들의 영웅은 율법을 지키는 데 중점을 둔 모세가 아니라, 믿음의 삶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율법을 지킨 자로 간주되었던 아브라함이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오경은 매우 바울적인 이야기로 들린다.

    세일 해머의 글을 읽으며 깊은 감동을 받았기 때문에, 본문을 창세기로 잡고 믿음의 삶을 살았고, 믿음의 조상이라고 불리는 아브라함이 나온 본문을 잡으려고 고심하고 있었다. 고려했던 본문들은 아브라함이 소명을 받던 창11:27∼12:9, 아브라함이 이삭을 바치는 믿음의 행동을 보여주었던 창22:1-19 등이었다.

    그러던 도중 갑자기 마음이 야곱으로 기울어져 갔다. 그 이유는 창세기의 주인공은 아브라함이 아니라 야곱이 아닌가 하는 생각 때문이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세오경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중심 주제중 하나는 이스라엘 민족이다. 그런데 이스라엘 열두 지파의 조상은 야곱이다.

    참고자료

    · WTT Leninglad Hebrew Old Testament
    · 한글 개역개정판
    · 한글 개역한글판
    · 한글 공동번역
    · ESV English Standard Version
    · KJV King James Version
    ·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 김지찬, 『구약개론』(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 1998).
    · 김지찬, 『언어의 직공이 되라』(서울: 생명의 말씀사, 2006).
    · 김의원, 『구약역사』(개혁주의신행협회, 1995).
    · 김의원, 『하늘과 땅, 그리고 족장들의 톨레돗』(서울: 총신대학교 출판부 2004).
    · 김정우, 『구약통전』(서울: 이레서원, 2002).
    · 김희보, 『구약의 족장들』(총신대학 출판부, 1979).
    · 손석태, 『창세기 강의』(서울: ESP, 2005).
    · 송제근, 『오경과 구약의 언약 신학』(도서출판두란노, 2003).
    · 윤상문, 『약속과 축복의 전주곡』(기독신문사, 2004).
    · 원용국, 『성서 고고학: 구약편』(성광 문화사, 1978).
    · 이희철, 『지리로 본 성서의 세계』(생명의 말씀사, 1993).
    · 장국원, 『역사와 신학』(아람문화사, 1998).
    · 장석규, 『구조로 읽는 창세기』(서울: 프리칭 아카데미, 2006).
    · Brueggemann, Walter, 『구약신학』, 류호준․류호영 역(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2003).
    · Douglas Stuart, Old Testament Exegesis (WestminsterJohn Knox Press, 2001), 박문재 역, 『구약 주석 방법론』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2004).
    · Dumbrell, William. J, 『언약과 창조』, 최우성 역, (서울: 크리스천출판사, 2001).
    · Edward J. Young, An Introduction to the Old Testament; 오병세․홍반식 역, 『구약총론』 (개혁주의 출판사, 2012).
    · Gary Edward Schnittjer, The Torah Story (Zondervan, 2006), 박철현 역, 『토라 스토리』 (도서출판솔로몬, 2014).
    · Gleason L. Archer, A Survey of Old Testament Introduction; 김정우․김은호 역, 『구약총론』 (Christian Literature Crusade, 2012).
    · Gordon J. Wenham, Exploring The Old Testament : Vol 1, The Pentateuch (Great Britain, 2003), 박대영 역, 『성경이해3: 모세오경』(성서유니온선교회, 2007).
    · John Bright, A History of Israel, Third Edition(Philadelphia: The Westminster Press, 1981), 박문재 역, 『이스라엘 역사』(크리스챤다이제스트, 1981년 제3증보판).
    · John H. Sailhamer, The meaning of the Pentateuch, 김윤희 역, 『모세오경신학』(새물결플러스, 2013).
    · John J. Sailhamer, The Pentateuch as Narrative: A Bible-Theological Commentary (Grand Rapids, 1992), 김동진·정충하 역, 『‘서술’로서의 모세오경(상)』(크리스챤서적, 2007).
    · R. de Vaux, 『구약시대의 사회풍속』, 이양구 역, (서울: 기독정문사, 1992).
    · Tremper Longman Ⅲ and Raymond B. Dillard, An Introduction To The OLD Testament, 박철현 역, 『최신구약개론』(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9).
    · W. C. Kaiser, 『구약성경신학』, 최종진 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82).
    · William Sanford Lasor, David Allan Hubbard and Frederic Willian Bush, Old Testament Survey; The Message, Form, and Background of the Old Testament (Wm B. Eerdmans Publishing, 1996), 박철현 역, 『구약개관』(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9).
    · 크로스웨이 ESV스터디바이블 편찬팀, 『ESV스터디바이블』(부흥과개혁사, 2014).
    · Brown, F. Driver, S. Briggs, C. The Brown-Driver-Briggs Hebrew and English Lexicon of the Old Testament. (Massachusetts: Hendricson Publishers, 1979).
    · Everett F. Harrison, Baker’s Dictionary of Theology (Baker Book House), 신성종 역, 『Baker’s 신학사전』 (도서출판엠마오, 1986).
    · F. F. Bruce, D. Guthrie, A. R. Millard, J. I. Paker and D. J. Wiseman, New Bible Dictionary: NBD, 김의원·나용화 역, 『새성경사전(NBD)』(기독교문서선교회, 2000).
    · Fokkelman, J. P. Narrative Art in Genesis, (Wipf & Stock, 2004).
    · Gordon J. Wenham, Word Biblical Commentary; WBC Vol 2 Genesis 16-50 (Word Books Publisher, 1987), 윤상문․황수철 역, 『WBC성경주석: 창세기(하)』(도서출판솔로몬, 2001).
    · J. Calvin, The Old Testament Commentary on the First Book of Moses called Genesis, 2. vol. (Grand Rapids: Eerdmans, 1998), 존 칼빈 성경주석 출판위원회 역, 『성경 주석: 구약2권 창세기Ⅱ』 (서울: 성서원, 2000).
    · John H. Walton, Victor H. Matthews and W. Chavalas, The IVP Bible Background Commentary (Inter Varsity Press, 2000), 신현기 역, 『IVP성경배경주석-신․구약합본』(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2010).
    · Wenham, Gordon J., Story as Torah: Reading Old Testament Narrative (Ethically Grand Rapids: Baker, 2004).
    · 김지찬, “구약의 인간관”, 『신학지남』, 통권 제240호(1994).
    · 박철현, “오경의 모세 저작권에 관하여: 문서설 반박”, 『신학지남』 통권 제313호 (2012).
    · Bibleworks 9.0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전문 지식를 바탕으로 한 내용이 많아, 과제에 쉽게 적용할 수 있었습니다.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3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