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정체성 이론과 자존감을 통해서 본 한국 사회의 모습(두유 노 싸이)

"사회정체성 이론과 자존감을 통해서 본 한국 사회의 모습(두유 노 싸이)"에 대한 내용입니다.
12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5.01.17 최종저작일 2015.01
12P 미리보기
사회정체성 이론과 자존감을 통해서 본 한국 사회의 모습(두유 노 싸이)
  • 미리보기

    목차

    Ⅰ. 현황과 추세

    Ⅱ. 외국과의 비교 : 중국인의 시선에서

    Ⅲ. 배경 분석

    Ⅳ. 심리적 분석
    ⅰ) 사회정체성 이론
    ⅱ) 자존감
    ⅲ) 체면과 자기 과시, 인정의 욕구

    Ⅴ. 결론 및 논의

    Ⅵ. 참고자료

    본문내용

    Ⅰ. 현황과 추세
    최근 몇 년 사이 세계 속에서 한국의 위상은 계속해서 높아지고 있다. 영국의 브랜드 컨설팅 전문업체인 <브랜드 파이낸스>의 2013년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브랜드 가치는 2013년 기준 16위에 해당한다. 이는 전년도인 2012년의 순위보다 한 단계 상승한 결과이다. 과거 세계 속에서의 한국은 거의 알려지지 않은 아시아의 작은 나라였고, 기껏해야 한국 전쟁이나 북한과 같은 부정적인 이미지로만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한국의 경제적 성장과 국가 경쟁력의 향상과 더불어 한국을 떠오르게 하는 다양한 아이콘이 늘어났다. UN 사무총장에 반기문 총장이 임명되었고, K-POP과 한류가 급부상하며 세계를 가타했다. 특히 2012년 전세계를 휩쓴 가수 싸이의 '강남스타일' 열풍은 놀랄만한 것이었다. '강남스타일'은 세계적인 동영상 사이트인 유튜브(Youtube)에서 19억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할 정도로 인기를 얻었고, 이는 자연스레 한국의 대표적인 이미지로 자리잡게 되었다. 또한 밴쿠버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인 김연아 선수, 한국인 메이저리거인 류현진과 추신수, 축구선수 박지성 등 세계 속에서 한국을 빛내는 자랑스러운 한국인이 다양한 분야에서 등장했다.
    이와 더불어 한국에는 새로운 풍습이 생겨났다. 일명 '두유 노 싸이?(Do you know PSY?)'로 일컬어지는 질의응답이 바로 그것이다. 외국인과의 대화에서 한국을 소개할 때 '가수 싸이를 아는지'의 여부를 묻고, 그들이 이것을 알고 있거나 알게 되면 만족감을 느끼고 자랑스러워 하는 것이다. 유명 헐리우드 스타가 작품 홍보차 한국을 방문하면 인터뷰에서는 어김없이 이 질문이 등장하고, 스타들이 이에 대해 어떤 반응을 하는지에 대한 기사가 그 날 신문 연예면에 대서특필되곤 한다. 헐리우드 스타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는 '싸이를 안다'고 대답하며 강남스타일 춤을 추었고,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는 '김치를 좋아한다'고 대답하여 환호를 받았다. 심지어 2014년 초 한미 미사일 협정에 관한 미국 국무부의 브리핑이 끝난 후 질의응답 시간에 한 한국 기자가 '강남스타일을 아는지'를 질문하는 웃지 못할 해프닝까지 일어났다.

    참고자료

    · "내한 스타들의 ‘입국심사’ 질문이 불편한 이유? 답정너니까!", 『텐아시아』, <http://tenasia.hankyung.com/archives/188884>(2014. 4. 10)
    ·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내한… 오빤 강남스타일", 『WOW한국경제TV』, <http://www.wowtv.co.kr/newscenter/news/view.asp?bcode=T30001000&artid=A201304040341>(2014. 4. 10)
    · "디카프리오, 알고보니 친한파 불고기·김치 좋아해, '올드보이' 최고", 『스포츠한국』, <http://sports.hankooki.com/lpage/entv/201303/sp2013030719301296010.htm>(2014. 4. 10)
    · 이송희일, "애국심이 뭐냐고 물으신다면", 『씨네21』,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75707>(2014. 4. 10)
    · "2012成人礼后台2PM采访", <http://video.sina.com.cn/v/b/76274586-1793412397.html>(2014. 4. 10)
    · "BAP在日本出道会「加倍奉还!」", <http://v.ku6.com/show/_4MFyahckrHCXAtAC0ChYA...html>(2014. 4. 10)
    · "Social identity theory", <http://en.wikipedia.org/wiki/Social_identity>(2014. 4. 10)
    · 한덕웅, 장은영 (2007). 한국인의 사회비교 심리. 박영사.
    · 이명진 (2011). 사회정체성 평가 차원에 대한 국제비교연구조사 : 한국, 중국, 미국 비교연구. 집문당.
    · Turner, John; Oakes, Penny (1986). "The significance of the social identity concept for social psychology with reference to individualism, interactionism and social influence". British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25 (3): 237–252.
    · Tajfel, H., & Turner, J. C. (1986). The social identity theory of intergroup behaviour. In S. Worchel & W. G. Austin (Eds.), Psychology of Intergroup Relations (pp. 7–24). Chicago, IL: Nelson-Hall.
    · Markus, H. (1977). Self-schemata and processing information about the self.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5, 63-78.
    · 홍기원, 김명소, 이종택, 한영석 (2003). 한국 성인 남녀의 자존감 구성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 심리학회지 : 여성. 8(2). 33-52.
    · 김지경, 박수애, 이훈구 (1999). 개인자아존중감과 집단지위가 집단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13(1). 53-64.
    · 유민봉, 심형인 (2013). 한국사회의 문화적 특성에 관한 연구: 문화합의이론을 통한 범주의 발견.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19(3). 457-485.
    · "자기과시", 『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75819&cid=2888&categoryId=2888>(2014. 4. 10)
    · 박창호 (2012) 인터넷에서의 과시. 사회이론. 41. 35-70.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이 자료 덕분에 ,복잡했던 과제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실질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완벽한 자료였습니다. 매우 추천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2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