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현임, 염영희(2003). 심페소생술 금지(DNR)에 대한 간호사와 의사의 인식과 경험. 간호행정학회지, 9(3), 447-458.
· 고윤석(2002). 임종환자에서 연명치료의 중단. 대한의사협회지, 45(6), 650-652.
· 김상희(2004). 암환자의 DNR(Do-Not-Resuscitate) 주 결정 가족원의 사별 후 경험. 재활간호학회지, 14(2). 118-128.
· 김상희(2005). 암환자의 DNR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간호학탐구, 13(1), 127-143.
· 김선옥(1999). 중환자실에서의 치료중단 특성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 김애경(2000). 간호사의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태도조사. 기본간호학회지, 9(1), 76-85.
· 김현아(2013). 중환자실 심폐소생술 금지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애환에 대한 문화기술지.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 박서윤(2014). 노인환자의 심폐소생술금지(DNR)에 대한 윤리적 태도와인식: 간호사, 의사 및 환자 보호자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 박학영(2010). DNR에 대한 응급의료종사자들의 인식과 윤리적태도.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해.
· 박형숙, 구미지, 김영희(2006). 소생거부(Do-Not-Resuscitate: DNR)의 개념 분석. 대한간호학회지, 36(6), 1055.
· 변은경, 최혜린, 최애리, 홍권희, 김나미, 김행선(2003). 중환자실 간호사와 중환자 가족의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 조사. 임상간호연구, 9(1), 112-124.
· 브래태니커 세계대백과사전(1993), 1(282), 8(528). 공동출판사.
· 생명윤리정책연구센터(2010). 연명치료 중단 조사 연구 보고서. http://www.bprc.re.kr
· 석희태(2009). 연명의료의 중단: 대법원 2009.05.21. 선고 2009다17417 판결과 관련하여 의료법학, 10(1), 263-305.
· 성미혜, 박재희, 정경은, 한혜란(2007). 중환자실 간호사의 DNR과 관련된 윤리문제의 인식
· 송태준, 김규표, 고윤석(2008). 한 대학병원 종양내과에서 사망한 환자들의 심폐소생술 금지지시 결정 요소. 대한내과학회지, 74(4). 403-410.
· 신희숙(2013). 일반인의 DNR에 대한 인식과 태도 조사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항위논문, 서울.
· 양진향, 이연정, 하상련, 홍진아(2005). 심폐소생술금지에 대한 간호사와 의사의 인식과 경험. 인제논총, 20(1), 647-662.
· 우미경(2012). 내러티브 탐구를 통한 간호사의 심페소생술 거부(DNR) 경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 이명순(2010). 노인환자의 심폐소생술 금지 결정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과 정서 상태.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눈문, 대구.
· 이미희, 강희선(2007). 노인의 심폐소생술 금지(DNR)에 대한 태도와 우울 및 자아 존중감과의 관계. 한국노년학회, 27(2), 323-334.
· 이미희(2012). 노인의 연명치료중단 사전의사결정 의도 구조모형.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 이순행, 김정숙, 황문정, 황버들, 박윤정(1998). 임상간호사의 DNR과 관련된 문제애 대한 태도 조사. 임상간호연구, 4(1), 147-162.
· 이윤성(2009). 안락사, 존엄사, 연명치료 중지. 안락사문제 한일 국제세미나, 55-67.
· 장상옥(2000). 중환자실 환자 가족의 경험과 DNR결정 후 간호 및 치료의 변화.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주.
· 정성필, 윤천재, 오진호, 윤수영, 장문준, 이한식(1998). DNR이 결정된 환자의 고찰. 대한응급의학회지, 9(2), 271-276.
· 주명하(2008). 심폐소생술포기(DNR)에 대한 간호장교들의 인식 및 경험조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및 태도 조사. 임상간호연구, 13(3). 109-122.
· 한성숙, 정순아, 문미선, 한미현, 고규희(2001). DNR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 및 태도 조사. 간호행정학회지, 7(3), 403-414.
· 한수옥(2010). 일종합전문요양기관 간호사의 심폐소생술 비시행(DNR)에 대한 윤리적 태도와 죽음에 대한 태도. 울산대학교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울산.
· 홍영선(2008). 호스피스와 윤리-사전의료 지시서 중심으로-. 호스피스 완화의료학회지, 11(2), 73-77.
· Bacchetta, M. D., Eachempati, S. R., Fins, J. J., Hydo, L., & Barie, P. S.(2006). Factors
· influencing DNR decision-making in a surgical ICU.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age of Surgeons, 202, 995-1000.
· http://dx.doi,org/10.1016/j.jamcollsurg.2006.02.027
· Baker, D.W.(2003). Changes in the Use of Do-Not-ResuscitateOrders After Implementa-tion of the Patient Self-determination Act.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18(5), 343-349.
· Carey, S. M. and Cosgrove, J. F.(2006). Cultural issues surrounding end-oflife care. Current Anaesthesia and critical Care, 17(5), 263-270.
· Elweel, L., & Fainsinger, R. L.(2000). The No-CPR Decision : the ideal and the reality. Journal of Palliative Care, 16(1), 53-56.
· Forrester, D.A.(1990). AIDS-Related Rist Factors, Medical Diagnosis, Do-Not-Resuscitate Order and Aggressiveness of Nursing Care. Nursing Research, 39(6), 350-354.
· Miles, S.H., Cranford, R., & Schultz., A.L.(1982). Do-Not-Resuscitate order in a teaching hospital. Consideration and a suggested policy. Ann Intern Med, 96, 660-664.
· Simpson, S.H.(1994). A study into the uses and effects of Do-Not-Resuscitate orders in the intersive care units of two teaching hospitals. Iner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10, 12-22.
· Tomlison, T. & Czlonka, D.(1995). Futility and hospital policy Hastings Center Report, 25(3), 28-35.
· Wilson, M. (1996). Highlighting the role of policy in nursing practice through a comparison of “DNR” policy influences and “No CPR” decision influences. Nursing Outlook, 44(6), 272-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