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영하, 「대학기숙사비 산정모형 연구」, 한국사학진흥재단, 2012.
· 홍형옥 편, 「주거의 의미와 사용」, 경주주거연구회, 경희대학교 출판부, 2005, pp160~161.
· 하성규, 『주거정책 패러다임을 바꿔라』, 에세이, 2008, p.159.
· 배웅규, 임희지, 장경철, 「기성시가지내 대학교 주변지역의 학생주택 공급 및 운영사례 – 뉴욕시 뉴욕대와 콜롬비아대를 중심으로」, 『대학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제26권 제8호, 대한건축학회, pp.163-172.
· 정환규, 「대학기숙사의 확충과 주거비 지원의 과제」, 『이슈와 논점』, 제495호, 국회입법조사처, 2012.07.19.
· 장경석, 박인숙, 「대학생 주거지원정책의 추진현황 및 개선과제」, 『이슈와 논점』, 제808호, 국회입법조사처, 2014.03.06.
· 성민호, 「1인가구를 위한 도심형 쉐어하우스 계획특성 및 개발방향」, 석문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3.
· 오정, 「국내 쉐어하우스 인식 및 수요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4.
· 한민정 외, 「덴마크와 스웨덴 코하우징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제16권 제5호, 한국주거학회, 2005, p.57.
· 박형수, 『공유문화로서의 쉐어하우스』, 建築, Vol.57 No.11, 2013
· 우소연 외, 「1인가구 특성을 반영한 도시형생활주택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 쉐어하우스 형태를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14권 제3호,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2
· 성민호, 「1인가구를 위한 도심형 쉐어하우스 계획특성 및 개발방향」, 석문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3, p.38.
· 조윤영, 「일본 쉐어하우스 DB구축과 흥미로운 정보 추출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5권제2호, 한국주거학회, 2013, pp.343~348.
· 김란수, 「한국형 주택협동조합의 사회·경제적 실행 가능성과 제도 개선방안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3, p.128.
· 배병우, 「서울시 거주 대학생의 주거비 부담능력 분석」,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3, p.24.
· 김서연, 「청년층 주거문제의 현황과 과제」, 『도시와 빈곤』, 제102권, 한국도시연구소, 2013, p.14.
· 정복환, 「주택재개발사업 구역 내 주거세입자의 권리」,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3, pp.35~38.
· 이한솔, 「대학생의 주거권을 말한다, “민달팽이 유니온”」, 『도시와 빈곤』, 제102권, 한국도시연구소, 2013, pp.50-61
· 임현진, 「변화하는 한국의 국가와 시민사회 관계: 협동조합 활성화를 위한 NGOs의 과제」, 2012.
· 「‘지방충’이라니... 서울-지방 출신 삶의 격차 갈수록 커지니까」, 조선일보, 2014.05.07. 보도.
· 「‘반값 기숙사’ 놓고 갈등」, YTN, 2014.04.14. 보도.
· 대학알리미 (http://www.academyinfo.go.kr/)
·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
· LH공사 (http://lh.or.kr/)
· 한국보건복지정보개발원 (http://www.bokjiro.go.kr/)
· 국가통계포털 (http://kosis.kr/)
· 서울대학교 관악사 (http://dorm.snu.ac.kr/)
· 쉐어하우스 WOOZOO 룸메이트 (http://www.woozoo.kr)
· 노원구청 공식블로그 (http://blog.naver.com/goodnowon)
· 지속가능청년협동조합 ‘바람’ 대학생기자단 블로그 (http://baram.a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