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Self-healing polymer & Super hydrophobic coating 자가치유고분자와 초발수 표면 최근 동향

"Self-healing polymer & Super hydrophobic coating 자가치유고분자와 초발수 표면 최근 동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20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4.12.30 최종저작일 2014.12
20P 미리보기
Self-healing polymer & Super hydrophobic coating 자가치유고분자와 초발수 표면 최근 동향
  • 미리보기

    목차

    1. Self-repair and healing coating
    1-1. 수소결합을 이용한 자가치유 고분자.
    1-2. π-π상호작용을 이용한 자가치유 초분자
    1-3. 정전기적 인력을 이용한 초분자형 자가치유 고분자
    1-4. 동적 배위결합을 이용한 자가치유 초분자

    2. Super hydrophobic coating
    2-1. 나노 구조 표면의 젖음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2-2. 나노 구조를 이용한 초발수 표면
    2-3. 하향식(Top-Down) 방법
    1)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2) 전자빔(e-beam) 리소그래피
    2-4. 상향식(Bottom-Up) 방법
    1) 다층 침지법(layer-by-layer deposition)
    2) 졸-젤법 (sol-gel)
    3) 전기방사법(electrospinning)
    2-5. 새로운 적용 분야
    1) 반도체 분야
    2) 광학렌즈 분야
    3) 디스플레이 분야

    본문내용

    1. Self-repair and healing coating

    서론

    자가치유(self-healing) 고분자는 “외부 환경에 의해 손상을 입은 고분자가 스스로 결함을 감지하여 자신의 구조를 복구함은 물론 원래의 기능을 회복할 수 있는 지능형 재료”로 최초 자연계 생체 시스템이 스스로 복구되고 치유되는 것을 모방한 대표적 생체 모사 시스템 중 하나이다. 이런 자가복구 시스템을 적용하면 소재/소자의 수명을 늘릴 수 있고 그로 인해 비용절감 등 큰 경제적, 산업적 파급효과를 기대할수 있다.

    초창기 자가치유 재료는 주로 열가소성 고분자의 사슬 간 열적 확산 (thermal interdiffusion) 혹은 용매 매개 확산(solvent-mediated interdiffusion)을 통해 손상 부위가 복구되는 방식으로 치유가 이루어져 왔으나 고분자 사슬의 운동성 부족 혹은 용매 이용에 대한 제약으로 인해 지속적 관심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왔다. 그러다 2000년대 초반, 미국 일리노이 주립대학 S.R. White 그룹에 의해 단량체를 함유한 마이크로 캡슐을 이용, 열경화성 재료의 손상을 치유하는 자가치유 시스템(그림 1)이 선보인 바 있다.
    하지만 이 방식은 사용되는 촉매 가격이 비싸고 치유 부위에서의 계면간 이질성으로 물성 회복력이 75% 정도 밖에 이르지 못하며, 무엇보다도 한번 치유된 부분은 재치유가 불가능하다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여러 가지 형태의 초분자 네트워크형 자가치유 고분자가 2006년부터 보고되어 왔다.

    1-1. 수소결합을 이용한 자가치유 고분자.
    가장 대표적 수소결합형 자가치유 고분자는 L. Leibler et.al이 2008년 Nature에 발표한 지방산 수소 결합가교체이다. 이들 지방산 수소 결합 가교체는 재생 가능한 천연 소재로부터 diethylene triamine과의 축합반응 및 urea와의 반응을 통해 손쉽게 만들 수 있다. 이를 통해 세 가지 형태의 수소결합 분자체, 즉 amidoethyl imidazolidone,diurea, diamido tetraethyl triurea가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림 2) 이들 간의 수소결합 네트워크 형성으로 결정성을 지니지 않은 고무상의 초분자가 제조된다.

    참고자료

    · Dry, Carolyn M., and Nancy R. Sottos. "Passive smart self-repair in polymer matrix composite materials." 1993 North American Conference on Smart Structures and Materials. International Society for Optics and Photonics, 1993.
    · Dry, Carolyn. "Procedures developed for self-repair of polymer matrix composite materials." Composite Structures 35.3 (1996): 263-269.
    · Brown, Eric N., Nancy R. Sottos, and Scott R. White. "Fracture testing of a self-healing polymer composite." Experimental Mechanics 42.4 (2002): 372-379.
    · Cho, Soo Hyoun, Scott R. White, and Paul V. Braun. "Self‐Healing Polymer Coatings." Advanced Materials 21.6 (2009): 645-649.
    · Kalista SJ, Ward TC. Thermal characteristics of the selfhealing response in poly(ethylene-co-methacrylic acid) copolymers. J R Soc Interface 2007;4:405–.11.
    · 정재우. "[특집] 초분자 네트워크형 자가치유 고분자."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25.2 (2014): 128-134.
    · P. Cordier, F. Tournilhac, C. Soulié-Ziakovic, and L. Leibler,
    · Nature, 451, 977 (2008).
    · S. Burattini, H. M. Colquhoun, J. D. Fox, D. Friedmann, B. W.
    · Greenland, P. J. F. Harris, W. Hayes, M. E. Mackay, and S. J
    · Rowan, Chem. Commun., 6717 (2009).
    · S. Burattini, H. M. Colquhoun, B. W. Greenland, and W. Hayes, Faraday Discuss., 143, 251 (2009).
    · S. Burattini, B. W. Greenland, D. H. Merino, W. Weng, J. Seppala, H. M. Colquhoun, W. Hayes, M. E. Mackay, I. W. Hamley, and S. J Rowan, J. Am. Chem. Soc., 132, 12051 (2010).
    · A. Eisenberg and M. Rinaudo, Polym. Bull., 24, 671 (1990).
    · S. J. Kalista and T. C. Ward, J. R. Soc. Interface, 4, 405 (2007).
    · R. J. Varley and S. van der Zwaag, Polym. Test., 27, 11 (2008).
    · R. J. Varley, S. Shen, and S. van der Zwaag, Polymer, 51, 679 (2010).
    · A. Eisenberg, B. Hird, and R. B. Moore, Macromolecules, 23,4098 (1990).
    · K. Tadano, E. Hirasawa, H. Yamamoto, and S. Yano, Macromolecules,22, 226 (1989).
    · N. Holten-Andersen, M. J. Harrington, H. Birkedal, B. P. Lee,P. B. Messersmith, K. Y. C. Lee, and J. H. Waite, PNAS, 108, 2651(2011).
    · J. Yuan, X. Fang, L. Zhang, G. Hong, Y. Lin, Q. Zheng, Y. Xu, Y. Ruan, W. Weng, H. Xia, and G. Chen, J. Mater. Chem., 22, 11515 (2012).
    · S. Bode, L. Zedler, F. H. Schacher, B. Dietzek, M. Schmitt, J.Popp, M. D. Hager, and U. S. Schubert, Adv. Mater., 25, 1634 (2013).
    · Sunder, J. Mohan, Sameer Arvind Kapole, and Subodh Deshpande. "Super hydrophobic coating." U.S. Patent Application 13/843,673.
    · Feng, Lin, et al. "A super‐hydrophobic and super‐oleophilic coating mesh film for the separation of oil and water." 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 43.15 (2004): 2012-2014.
    · Feng, Lin, et al. "Super‐hydrophobic surfaces: from natural to artificial." Advanced materials 14.24 (2002): 1857-1860.
    · Ma, Minglin, and Randal M. Hill. "Superhydrophobic surfaces." Current Opinion in Colloid & Interface Science 11.4 (2006): 193-202.
    · R. N. Wenzel, Ind. Eng. Chem., 28, 988 (1936).
    · E. Martines, K. Seunarine, H. Morgan, N. Gadegaard, C. D. W. Wilkinson, and M. O. Riehle, Nano Lett., 5, 2097 (2005).
    · M. H. Sun, C. X. Luo, L. P. Xu, H. Ji, O. Y. Qi, D. P. Yu, and Y. Chen, Langmuir, 21, 8978 (2005).
    · M. H. Jin, X. J. Feng, L. Feng, T. L. Sun, J. Zhai, T. J. Li, and L. Jiang, Adv. Mater., 17, 1977 (2005).
    · L. Feng, S. Li, Y. Li, H. Li, L. Zhang, J. Zhai, Y. Song, B. Liu, L. Jiang, and D. Zhu, Adv. Mater., 14, 1857 (2002).
    · J. T. Han, Y. Zheng, J. H. Cho, X. Xu, and K. Cho, J. Phys. Chem. B, 109, 20773 (2005).
    · Q. D. Xie, G. Q. Fan, N. Zhao, X. L. Guo,J. Xu, J. Y. Dong, L. Y. Zhang, Y. J. Zhang, and C. C. Han, Adv. Mater., 16, 1830 (2004).
    · 임진익, et al. "연잎 모사 구조로의 초소수성 표면 처리와 의료분야의 적용에 관한 연구." Polymer (Korea) 37.4 (2013): 411-419.
    · 이호신, 초소수성 표면처리 렌즈부터 반도체분야까지 새로운 잠재산업으로 성장 KISTI MARKET REPORT Vol. 2 Issue 4
    · 임호선, 나노구조를 이용한 초발수 표면 특성 제어 기술 Development of Nanostructured Superhydrophobic Surfaces 공업화학 전망 15권 1호. 2012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이 자료 덕분에 ,복잡했던 과제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실질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완벽한 자료였습니다. 매우 추천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9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