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논문](학위논문) 저작권 위탁 관리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검토

"[논문](학위논문) 저작권 위탁 관리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검토"에 대한 내용입니다.
30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4.12.29 최종저작일 2014.12
30P 미리보기
[논문](학위논문) 저작권 위탁 관리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검토
  • 미리보기

    목차

    Ⅰ. 들어가면서

    Ⅱ. 저작권위탁관리업의 개념 및 현황
    1. 저작권위탁관리업의 개념
    2. 저작권신탁관리업의 개념 및 현황
    3. 저작권대리중개업의 개념 및 현황
    4. 소결

    Ⅲ. 외국의 저작권위탁관리제도
    1. 미국
    2. 영국
    3. 독일
    4. 일본
    5. 소결

    Ⅳ. 현행 저작권위탁관리제도의 문제점
    1. 저작권신탁관리업의 문제점
    (1) 배타적 권리행사
    (2) 독점적 권리행사
    (3) 사용료 및 수수료 책정
    2. 저작권대리중개업의 문제점
    (1) 신고제
    (2) 포괄적 대리
    3. 소결

    Ⅴ. 저작권위탁관리제도의 개선 방안
    1. 저작권신탁관리업의 개선 방안
    (1) 일부 신탁
    (2) 집중관리단체의 복수체제
    (3) 이용료 및 수수료 책정 시 三方의 의무적 합의
    (4) 타 저작권에 대한 집중관리단체 증설
    2. 저작권대리중개업의 개선 방안
    (1) 등록제
    (2) 포괄적 대리에 대한 제재규정 신설
    (3) 신탁관리단체 영역외의 저작권 보호
    (4) 정부지원

    Ⅵ. 결론

    본문내용

    Ⅰ. 들어가면서
    기술과 문화의 발달은 창조물의 효용성을 높였다. 창조물은 이제 우리 사회 곳곳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다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그 사용 과정에서 창조자의 권리가 침해되기 쉽기 때문에 이를 보호해주어야 한다. 이러한 저작권자의 보호받을 권리를 저작권이라 하며, 저작권의 보호는 저작권자 개인의 역량과 나아가 사회의 문화 발전에까지 기여한다.
    하지만 오늘날의 저작권은 저작자 스스로가 관리하기에는 그 범위가 너무 광대하며 전문성을 요하는 부분이 많다. 따라서 이를 대신하는 역할이 요구되어지는데 그것이 바로 저작권위탁관리단체이다. 국내의 저작권위탁관리단체에는 저작권신탁관리업과 저작권대리중개업이 있다.
    저작권신탁관리단체는 저작자의 권리를 신탁 받아 저작권자를 대신하여 해당 권리의 행사 및 관리를 도맡는다. 현재 국내의 저작권신탁관리단체는 총 13개가 존재한다. 그러나 2009년부터 2013년 까지 연평균 1만8천 건이 넘는 저작권신탁관리계약을 이들 단체가 모두 총괄하고 있는 실정이다. 단체의 수를 법적으로 제한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허가의 요건이나 효율성의 측면을 고려하여 독점적으로 운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저작권신탁관리단체들의 독점적 지위를 이용한 권리 침해 사례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또한 신탁이라는 계약의 성격 때문에 배타적 권리 행사에 대한 침해 사례도 발생되고 있다.
    또 다른 저작권위탁관리업으로서 저작권대리중개업이 있는데 이는 저작권신탁관리업과는 달리 저작자의 권리는 그대로 저작권자에게 있되, 그 일부에 대한 권리의 행사 및 관리를 책임지거나 계약의 알선만 하는 것이다. 국내에는 약 600여개의 저작권대리중개업체가 존재한다. 그러나 2014년 현재 실제 운영율은 50%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이는 신고제에 의한 설립요건 때문에 무분별한 설립이 이루어진 결과라고 보여 진다. 또한 일부 대리중개업체에서 그 업무범위를 초과하여 신탁의 버금가는 행위를 함으로써 포괄적 대리의 문제가 두드러지고 있다.

    참고자료

    · 강성국, 『역비례의 모순 : 저작권가 창작자의 대가, 음원사용료에 대한 단상』, 문화/과학(통권72호)(2012)
    · 김기중,『저작권 신탁관리업에 대한 규제제도와 개선방향』, 계간저작권(제71호)(2005), 저작권위원회
    · 김정현 외 4인, 『모바일 3D 콘텐츠 저작권 보호』,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2006.11)
    · 김종철, 『유럽의 저작권집중관리단체 단기연수를 다녀와서』, 도서관인의 명암 Vol.49 No.2(2008.2)
    · 김하영,『만화 저작권 관리 시스템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학술대회자료집(2011)
    · 맹수석,『지식재산권의 신탁과 유동화 방안』, 증권법연구 제7권 제2호(2006)
    · 문화체육관광부,「저작권법」 일부개정안 입법예고, 공고 2012 - 151호
    · 문화체육관광부, 『저작권 분야 참고자료』(2006)
    · 박덕영, 『영국의 저작권집중관리제도』, 지식재산연구원, 「지식재산연구(제1권제1호)(2006)
    · 박미성, 『오픈액세스를 위한 저작권관리시스템 사례연구를 통한 dCollection 라이선스관리시스템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6권 제4호(2005)
    · 박인수, 『저작권자로서 건축가 : 건축가의 사회적 위상과 책임을 표현하는 저작권』, 건축과 사회 통권 제 23호(2013), 새건축사협의회
    · 신봉기, 저작권 보호와 이용활성화를 위한 저작권 집중관리 시스템』, 정보법학 제13권 제1호(2009)
    · 안종묵,『저작권법 재점검을 통한 디지털콘텐츠의 저작권 집중관리심스템에 관한 고찰』, 언론과학연구 제6권4호(2006.12), 한국지역언론학회
    · 안태숙 외 4인, 『정책연구2013-07 저작권 대리중개업체 사업현황 조사 보고서』, 저작권정책연구(2013), 저작권위원회
    · 안효질, 『독일 VG WORT의 운영실태와 국내 저작권관리단체의 개선방향』, 素潭金明信先生举甲紀念論文集(2004), 법문사
    · 윤선희, 조용순,『저작권집중관리 제도의 개선방안에 대한 소고-저작권관리사업법안을 중심으로-』, 산업재산권28호(2009)
    · 윤선희 외 7인, 『저작권 대리중개제도 개선방안 연구』(2008),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지적재산권학회
    · 이기수 외 5인, 『저작권법 체계 개선 연구』(2008), 문화체육관광부
    · 이상정, 『저작궈 집중관리제도의 발전 방향』, 北較法研究 제9권 제1호(2008.10)
    · 이상정 외 7인, 『「저작권법관리사업법」 제정을 위한 연구』(2008), 문화관광부
    · 이해완, 『저작권집중관리에 있어서의 신탁중심체제의 문제점과 입법적 대안』, 法曹(Lawyers Association journal) Vol.59 No.4[2010]
    · 이해완, 『저작권 집중관리 제도의 현황과 발전 방향』, 정보법학(2004)
    · 저작권법령연구회, 「逐條解說 著作權等管理事業法」, 有斐閣(2001)
    · 저작권심의조정위원회, 『저작권법 전면 개정을 위한 조사연구 보고서(1)』(2002)
    · 정재선, 『저작권집중관리단체의 현황과 과제』, 지식재산권(2006.1), 한국지적재산권법제연구원
    · 차상육,『저작권법상 대리중개인의 지위와 법률관계(2008.8)』, 인권과 정의(vol.384), 대한변호사협회
    · 최상원, 『시험문제의 저작권자 - 대법원 2008.4.10 선고 2008다5004 확정판결을 참조하여-』, 東亞法學 第42號(2008.8)
    · 최종철,『저작권법상 포괄적 대리에 대한 소고』, 지적재산권 제16호(2006), 한국지적재산권법제연구원
    · 함유근 외 2인, 『프로그램저작권 위탁관리제도 개선방안 연구』,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학술기사(2005), 프로그램심의조정위원회
    · 허희성 외 3인, 『저작권 위탁관리제도 개선방안 연구』(2004), 문화관광부, 한국 저작권법학회
    · Dreier/Schulze, Urheberrechtsgesetz, Kommentar, C.H.Beck (2004)
    · Emily Lui, "The Eurovision Song Contest : a Proposal for Reconciling the National Regulation of Music Collecting Societies and the Single European Market", Ent. L. R. (2003)
    · Heather Rosenblatt, : COPYRIGHT ASSIGNMENTS: RIGHTS AND WRONGS - THE COLLECTINGS' PERSPECTIVE", I.P.Q. (2000)
    · Todd Haglns, Robblng Peter Gabriel to Pay Paul's Dinner: Plunder. the Free Market. And the Fairness in Music Listening Act, 7 Tex. Rev. L.&Pol (2003)
    · Schricker/Reinbothe, Urheberrecht, Kommentar, 2. Aufl., C.H.Beck, (1999)
    · JASRAC NOW, no.516(2001.01)
    · 문화체육관광부, 「연도별 신탁 사용료 2009-2013』, <http://www.cocoms.go.kr/>, (최종방문일: 2014/9/5).
    · 문화체육관광부, 『대리중개업 저작물 종류별 사용료2009-2013』, <http://www.cocoms.go.kr/>, (최종방문일 2014/9/5).
    · 법제처, 2006.4.17게시글, <http://www.moleg.go.kr/lawinfo/lawAnalysis/nwLwAnList?searchCondition=3&searchKeyword=%ED%8F%AC%EA%B4%84&mattSerno=96&rowIdx=4>, (최종방문일: 2014/9/2)
    · '소송권한 없는 이미지 중개업체 멀티비츠, 저작권 주인 행세로 100억원 받아내', 조선일보 2013.04.03일자,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3/04/03/2013040300174.html> , (최종방문일: 2014/8/22)
    · “음악 저작권자·이용자 모두 편리해지게”, 한겨레뉴스, 2014.04.08일자
    · <http://www.hani.co.kr/arti/culture/music/631793.html>, (최종방문일: 2014/9/9)
    · 이응세, 『[저작권] 저작권신탁』, 법무법인 바른, <http://www.eungselee.com/category/%EC%A7%80%EC%A0%81%EC%9E%AC%EC%82%B0%EA%B6%8C%EB%B2%95/%EC%A0%80%EC%9E%91%EA%B6%8C%EB%B2%95>, (최종방문일: 2014/9/13).
    · 저작권위원회, <http://www.copyright.or.kr/info/knowledge/basic/basic14.do?hm_seq=102>,
    · (최종방문일2014/8/28)
    · '저작권협회의 20년 노래 독점'. 주간 한겨레21 [2008.01.04 제692호]
    · '표절하고 저작권료 받고?'. 주간 한겨레21[2013.09.16 제978호]
    · ASCAP홈페이지, <http://www.ascap.com/>, (최종방문일: 2014/9/13)
    · BMI홈페이지, <http://www.bmi.com/>, (최종방문일: 2014/9/13).
    · SESAC홈페이지, <http://www.sesac.com/>, (최종방문일: 2014/9/13)
    · '음원 로얄티 결정에 음악 창작자 참여시킬 제도적 방안 필요', 장달영의 LAW&S, 2013.04.19 [0호], <http://m.mediatoday.co.kr/articleView.html?idxno=108874&menu>, (최종방문일: 2014/8/26)
    · United States v. ASCAP, 1950-1951 Trade Cases (CCH) 63, 752 (S.D.N.Y.1950)
    · 대법원 2002.9.24, 선고, 2001다60682, 판결
    · 대법원 2012.7.12, 선고, 2010다1272, 판결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제가 필요로 하는 지식을 완벽하게 충족시켜주었습니다. 과제 제출일이 얼마 남지 않아 시간이 부족했는데, 이 자료 덕분에 과제를 제출 할 수 있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