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한국의 대중문화 소개 (99슬라이드)

"한국의 대중문화 소개 (99슬라이드)"에 대한 내용입니다.
99 페이지
파워포인트
최초등록일 2014.12.25 최종저작일 2014.12
99P 미리보기
한국의 대중문화 소개 (99슬라이드)
  • 미리보기

    목차

    1. 한국의 영상매체
    2. 한국의 노래
    3. 드라마, 영화, 노래의 한류

    본문내용

    한국의 TV와 최초방송
    1954년 7월 30일 서울의 미국 RCA(미국의 전기, 방송회사)
    한국대리점에서 처음 일반인에게 공개
    1956년 5월 12일 텔레비전 방송국을 개설
    세계에서 15번째로 TV전파를 발사
    시험방송을 거쳐 1956년 11월 1일부터 정규방송시작
    ※ KBS의 등장 -> 1961년 12월

    TV의 역사
    CF 시대별 대표작
    드라마 시대별 대표작
    영화 시대별 대표작

    국산 TV 발명과 컬러방송
    금성사는 일본의 히타치와 기술 제휴하여
    1966년 8월 1일 국내 최초의 텔레비전수상기를 시장에 내놓았다.
    컬러 텔레비전의 국내판매는 1980년 8월 1일부터 시작,
    1980년 12월 1일 컬러방영이 시작되었다.
    (KBS: 1980년 12월 1일, MBC: 1980년 12월 22일)
    우리나라의 디지털 TV
    2000년 9월부터 디지털TV 시험 방송을 시작
    2001년 11월 서울과 수도권 일부에서 본 방송이 실시
    2002년부터 광주, 대전, 부산 등 지방으로 디지털 시험방송이 시작
    2012년을 기점으로 지상파 아날로그 방송이 종료,
    -> 2013년부터 디지털 방송이 전국화되었다.

    <중 략>

    1970년대
    아씨, 청춘 극장, 형제, 임진왜란, 사모곡, 아버지, 장희빈, 물레방아, 아버지와 아들, 길, 북간도, 사슴아가씨, 통곡의 종, 외아들, 꽃집 아줌마, 문, 내 코가 석자, 첫 남자, 무지개 가족, 개미가족, 두 얼굴, 역풍, 임꺽정, 부부만세, 여보 정선달, 서울의 하늘 밑, 꽃동네 새 동네, 아들 낳고 딸 낳고, 구두쇠아빠, 수사반장, 암살, 옥녀, 개구리남편 등

    1980년대 - 드라마의 부흥기
    드라마가 시청자의 정서 속에 자리 잡던 시기.
    (삶의 이야기를 풀어내는 드라마가 많음)
    규제에 대한 순종과 저항이 뒤섞인 시기.
    오락, 향락, 문화가 대중화된 시기.
    불륜이나 애정 드라마가 많이 제작
    컬러텔레비전 시대가 열리는 시기.
    ->드라마 규모가 대형화되고 성숙된 시기이자 드라마가 일상성을 구축하던 시기.
    민주화 요구가 거셌던 1980년대 후반에는 금기시되던 소재가 늘어났고 ‘여명의 눈동자’처럼 민족 수난기를 다룬 드라마도 만들어졌다.

    참고자료

    · 최초의 tv, 한국의텔레비전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3903&cid=43667&categoryId=43667
    · http://ko.wikipedia.org/wiki/%ED%85%94%EB%A0%88%EB%B9%84%EC%A0%84
    · 디지털tv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7452&cid=43667&categoryId=43667
    · 70년대 광고모음 http://www.youtube.com/watch?v=cXJX4ORuMQg
    · 90년대 광고모음 http://www.youtube.com/watch?v=a7Eu1flH90k
    · 광고모음 http://www.youtube.com/watch?v=XtujJW9fT4c
    · https://www.kobaco.co.kr/index.asp
    ·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 KBS방송
    · 네이버 영화
    · http://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33261
    · 위키백과
    · http://ko.wikipedia.org/wiki/%EB%B6%84%EB%A5%98:1970%EB%85%84%EB%8C%80_%EB%93%9C%EB%9D%BC%EB%A7%88
    · 위키백과
    · http://ko.wikipedia.org/wiki/%EB%8C%80%ED%95%9C%EB%AF%BC%EA%B5%AD%EC%9D%98_%ED%85%94%EB%A0%88%EB%B9%84%EC%A0%84_%EB%93%9C%EB%9D%BC%EB%A7%88#.EC.B4.88.EC.B0.BD.EA.B8.B0.281962.EB.85.84.E2.88.BC1964.EB.85.84.29
    · iMBC
    · http://vodmall.imbc.com/offair.aspx
    · 한국영화데이터베이스
    · http://www.kmdb.or.kr/
    · KBS
    · http://tv.kbs.co.kr/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63278&cid=40942&categoryId=33374
    · [네이버 지식백과] 공무도하가 [公無渡河歌] (두산백과)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55747&cid=40942&categoryId=32868
    · [네이버 지식백과] 황조가 [黃鳥歌] (두산백과)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47591&cid=46642&categoryId=46642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74141&cid=46642&categoryId=46642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48070&cid=46642&categoryId=46642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43635&cid=46642&categoryId=46642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79735&cid=46642&categoryId=46642
    · [네이버 지식백과] 제망매가 [祭亡妹歌]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네이버 지식백과] 도솔가 [兜率歌]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네이버 지식백과] 안민가 [安民歌]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출처: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68504&cid=40942&categoryId=32868
    · [네이버 지식백과] 구지가 [龜旨歌] (두산백과)
    · 출처: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63603&cid=46642&categoryId=46642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69059&cid=41708&categoryId=41727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79247&cid=46642&categoryId=46642
    · [네이버 지식백과] 쌍화점 [雙花店] (외국인을 위한 한국고전문학사)
    · [네이버 지식백과] 정석가 [鄭石歌]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69281&cid=46642&categoryId=46642
    · [네이버 지식백과] 용비어천가 [龍飛御天歌] (두산백과)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71592&cid=46642&categoryId=46642
    · [네이버 지식백과] 훈민가 [訓民歌]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29088&cid=46642&categoryId=46642
    · [네이버 지식백과] 화전가 [花煎歌]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29088&cid=46642&categoryId=46642
    · [네이버 지식백과] 화전가 [花煎歌]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78533&cid=46642&categoryId=46642
    · [네이버 지식백과] 사미인곡 [思美人曲]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29769&cid=46661&categoryId=46661
    · [네이버 지식백과] 춘향가 [春香歌]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24175&cid=42583&categoryId=42583
    · [네이버 지식백과] 진도아리랑 (국악정보, 2010.7, 국립국악원)
    · http://blog.naver.com/jandb86/20168857344
    · 60년대, 흘러간 옛날 가요에 대한 이야기|작성자 Jet Blue (네이버 블로그), 위키백과
    · http://oldkpop.tistory.com/77
    · http://blog.naver.com/eoanf80/220045012663 (네이버 블로그)
    · 위키백과, 네이버 지식인, http://blog.naver.com/sgt000/220151313125
    · http://music.naver.com/todayMusic/index.nhn?startDate=20130313
    · http://blog.naver.com/mulpotato/150182583236
    ·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지식인 (개화기 노래)
    · 문화체육관광부, 네이버 지식백과, 위키백과, 두산백과
    · http://blog.naver.com/astronj1/220100046141,
    · http://kor.list.or.kr/articles/article_view.htm?Div1=8&Idx=789
    · [네이버 지식백과] k-pop (두산백과)
    · [네이버 지식백과] k-pop (위키백과)
  • 자료후기

    Ai 리뷰
    자료의 품질이 높고, 전문적인 내용이 많아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었습니다. 지식판매자에게 감사드리며, 계속해서 좋은 자료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