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펙경쟁과 학점 인플레이션”,<HOOK>, 2010년 07월 1일,<http://hook.hani.co.kr>, (2012년 11월 27일).
· “학점인플레이션”,<위키백과사전>,2011년 6월 4일,<http://ko.wikipedia.org/wiki>, (2012년 12월 6일 ).
· “오바마, 한국이 세계 지배한다고 언급“, <천지일보>,2012년 11월 04일 (일), 제3면.
· “대기업 스펙”,<MEDIA CEO>, 2012년 10월 ,<http://blog.naver.com/PostView.nhnPostView.nhn
· blogId=mediaceo>, (2012년 12월 6일). 참조
· “취업자 수/실업률 추이”,<E-나라지표>, 2012년 11월 12일 ,<http://www.index.go.kr/egams
· /stts/jsp/potal/stts/PO_STTS_IdxMain.jsp?idx_cd=1063>,(2012년 12월 6일).
· “스펙경쟁과 학점 인플레이션”,<HOOK>, 2010년 07월 1일,<http://hook.hani.co.kr>, (2012년 11월 29일).
· “대학 수(347개)·진학률(82%) 세계 최대… 학문은 뒷전 '졸업장 장사'”,<조선일보>,2011년 6월 13일, 인터넷기사.
· “국내 대학 시간강사 비율 50% 육박”,<경상일보>,2011년 9월 23일 ,인터넷기사.
· “재수강”,<위키백과사전>,2011년 6월 4일,<http://ko.wikipedia.org/wiki>, (2012년 12월 6일 ).
· “ 논란의 재수강 제도를 진단하다”,<대학신문>, 2012년 9월 23일,www.snunews.com ,(2012년 12월 4일).
· “학사제도 분석 ‘엎치락뒤치락’, 재수강 제도 ”,< 연세 춘추 >,2012년 12월 4일,
· www.chunchu.yonsei.ac.kr, (2012년 12월 4일).
· “학점의 다른 이름, 대외활동”,<매일경제>, 2012년 10월 9일 ,제 3면.
· “하버드대 어너(Honor) 졸업률”<total happy>,2011년 4월 19일,http://cafe425.daum.net, 2012년 12월 4일.
· 신의항, 「학점인플레이션,학점불평등,학점압축화」, 『교양교육연구』,제 4권, 2010년,53쪽. 참조
· ACE 산업단, http://ace.silla.ac.kr/.
· “교과부의 '부실대학' 무기에 힘없이 무릎 꿇은 학교 ”,<가톨릭 대학보>,2012년 8월 31일, 인터넷신문.
· “대학마다 다른 재수강제도”, <이대학보>, 2012년 9월 12일, 인터넷기사.
· “연세대, 13학번부터 재수강 3회로 제한”, <데일리 뉴스>,2012년 9월 27일, 인터넷기사.
· “대학교육=신뢰도 하락”,<popcon>,2008년 1월 4일 ,인터넷기사.
· “아주대학교 ACE 사업 계획서”, <ACE협의회>, 2012년 8월 24일,<http://aceconsortium.or.kr
· /korean/viewtopic.php?t=1045>, 2012년 12월 9일.
· “서강대, 통섭형 인재 양성해 취업시장에서 두각”,<한국일보>,2012년 11월 29일, 인터넷신문.